백십이혹: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7번째 줄:
*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에서 세운 [[128근본번뇌]]에 속한다. 이 가운데 [[견도]]에서 끊어지는 [[견혹]](見惑) 112가지를 말한다.
 
'''112혹'''(百十二惑ㅡ, 一百十二惑, 一一二惑)은 [[유식유가행파]]를 비롯한 [[대승불교]]의 [[번뇌론]]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모든 [[근본번뇌]]를 [[견도]](見道)에서 끊어지는 [[견혹]](見惑)과 [[수도 (불교)삼도|수도]](修道)에서 끊어지는 [[수혹]](修惑)으로 나눌 때, [[견혹]]에 해당하는 속하는 [[근본번뇌]]의 총 개수이며 또한 이들을 통칭하는 낱말이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7%99%BE%E4%BA%8C&rowno=1 百二十八根本煩惱(백이십팔근본번뇌)]". 2013년 4월 30일에 확인|ps=<br>"百二十八根本煩惱(백이십팔근본번뇌):
128사(使)라고도 함. 대승에서 말하는 견혹ㆍ사혹(見惑ㆍ思惑)의 번뇌 수. 견혹 112, 사혹 16. 견혹 112는 욕계 4제(諦)의 아래에 각각 탐(貪)ㆍ진(瞋)ㆍ치(癡)ㆍ만(慢)ㆍ의(疑)ㆍ신견(身見)ㆍ변견(邊見)ㆍ사견(邪見)ㆍ견취견(見取見)ㆍ계금취견(戒禁取見)의 10혹이 있고, 색계ㆍ무색계에 각각 4제의 아래에 10혹 가운데서 진(瞋)을 빼고 남은 9혹이 있으므로 112가 되며, 사혹 16은 욕계에 탐ㆍ진ㆍ치ㆍ만ㆍ신견ㆍ변견의 6혹이 있고 색계ㆍ무색계에 각각 6혹에서 진을 빼고, 남은5혹씩이 있으므로, 합하여 16이 되어 모두 128을 근본번뇌라 함."}}{{sfn|곽철환|2003|loc="[http://terms.naver.com/entry.nhn?cid=99&docId=899318&categoryId=1885 백이십팔근본번뇌(百二十八根本煩惱)]". 2013년 4월 30일에 확인|ps=<br>"백이십팔근본번뇌(百二十八根本煩惱):
유식설에서 상정하는 견혹(見惑)의 번뇌 112가지와 사혹(思惑)의 번뇌 16가지. 견혹은 욕계의 사제(四諦) 각각에 유신견(有身見)·변집견(邊執見)·사견(邪見)·견취견(見取見)·계금취견(戒禁取見)·탐(貪)·진(瞋)·치(癡)·만(慢)· 의(疑)의 10번뇌가 있고, 색계·무색계의 사제 각각에 10번뇌 가운데 진(瞋)을 뺀 9번뇌가 있으므로 112번뇌. 사혹은 욕계에 유신견(有身見)·변집견(邊執見)·탐(貪)·진(瞋)·치(癡)·만(慢)의 6번뇌가 있고, 색계·무색계에 6번뇌 가운데 진(瞋)을 뺀 5번뇌가 있으므로 16번뇌. 따라서 합계 128번뇌."}}{{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0896&DTITLE=%A8%A3%B4b 見惑]". 2013년 4월 30일에 확인|ps=<br>"見惑:
491번째 줄:
<br>。亦斷俱生所知一分。而今且說最初斷者。 (01)║ 後九地中。凡言斷者。皆此例也。"</ref>
 
또한 모든 [[번뇌]]를 [[견도]]에서 끊어지는 [[견소단]](見所斷: 즉 [[견혹]])과 [[수도 (불교)삼도|수도]]에서 끊어지는 [[수소단]](修所斷: 즉 [[수혹]])으로 나눌 때, [[유식유가행파]]의 [[번뇌론]]에 따르면 모든 [[분별기]]는 [[견소단]]이다. 이런 점에서 [[112분별수면]]을 '''견소단의 112분별수면'''(見所斷百一十二分別隨眠)이라고도 한다.<ref>구글 CBETA 검색, "[http://www.google.com/search?q=%22%E7%99%BE%E4%B8%80%E5%8D%81%E4%BA%8C%E5%88%86%E5%88%A5%E9%9A%A8%E7%9C%A0%22+site%3Awww.cbeta.org%2Fresult%2Fnormal&hl=zh-TW&inlang=zh-TW&domains=www.cbeta.org%2Fresult%2Fnormal&sitesearch=www.cbeta.org%2Fresult%2Fnormal&sitesearch=www.cbeta.org%2Fresult%2Fnormal&oq=%22%E7%99%BE%E4%B8%80%E5%8D%81%E4%BA%8C%E5%88%86%E5%88%A5%E9%9A%A8%E7%9C%A0%22+site%3Awww.cbeta.org%2Fresult%2Fnormal&gs_l=heirloom-serp.3...3128.5761.0.6118.2.2.0.0.0.0.137.225.1j1.2.0...0.0...1ac.1.12.heirloom-serp.bxKT-0I8uXs 百一十二分別隨眠]". 2013년 5월 7일에 확인.<br>"百一十二分別隨眠:
<br style="margin-bottom: 10px">CBETA T31 No. 1585《成唯識論》卷9 - CBETA 中華電子佛典協會
<br>www.cbeta.org/result/normal/T31/1585_009.htm
518번째 줄:
<br>六心。 X50n0821_p0797c07 (06)║ 總斷一<span style="color: #cc0033">百一十二分別隨眠</span>。皆是見道所斷惑也。"</ref> 후자의 명칭은 [[견도]]에서 끊어진다는 점을 명확히 강조하는 명칭이다.
 
전체적으로 말하면, [[유식유가행파]]의 [[번뇌론]]에 따르면, [[견도]]에서 끊어지는 [[분별기]] [[근본번뇌]]가 [[112근본번뇌|112가지]], [[수도 (불교)삼도|수도]]에서 끊어지는 [[구생기]] [[근본번뇌]]가 [[16근본번뇌|16가지]]로, 총 [[128가지의 근본번뇌]]가 있는데 이들 중 전자를 칭하는 여러 명칭들 가운데 하나가 [[112분별수면]] 또는 [[견소단의 112분별수면]]이고 후자를 칭하는 여러 명칭들 가운데 하나가 '''16구생수면'''(十六俱生隨眠) 또는 '''수소단의 16구생수면'''(修所斷十六俱生隨眠)이다.
 
한편, [[유식유가행파]]에서는 모든 번뇌를 [[번뇌장]](煩惱障)과 [[소지장]](所知障)의 [[이장 (불교)|2장]]으로 나누기도 하는데, [[128근본번뇌]]처럼 수효를 정확히 헤아릴 수 있는 것은 [[번뇌장]]이다. 따라서 [[128근본번뇌]]의 일부인 [[112분별수면]] 즉 [[112근본번뇌]]도 [[번뇌장]]이다. 그리고 [[유식유가행파]]의 번뇌론에 따르면 모든 [[번뇌장]]의 번뇌에는 반드시 그것에 해당하는 [[소지장]]이 있다.{{sfn|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T.1585|loc=제9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1n1585_p0048c18 T31n1585_p0048c18 - T31n1585_p0048c23]. 번뇌장과 소지장의 관계|ps=<br>"煩惱障中此障必有。彼定用此為所依故。體雖無異而用有別。故二隨眠隨聖道用有勝有劣斷惑前後。此於無覆無記性中是異熟生。非餘三種。彼威儀等勢用薄弱非覆所知障菩提故。此名無覆望二乘說。若望菩薩亦是有覆。"}}{{sfn|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K.614, T.1585|loc=제9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897&startNum=485 485 / 583]. 번뇌장과 소지장의 관계|ps=<br>"번뇌장 중에는 이 장애가 반드시 있다. 그것(소지장 [→ 번뇌장으로 해석해야 한다])은 반드시 이것(번뇌장 [→ 소지장으로 해석해야 한다])을 사용해서 의지처로 삼기 때문이다.<sup style="color: blue">62)</sup> 자체는 다르지 않지만, 작용의 차이가 있다. 따라서 두 가지 수면은 성스러운 도(道)의 작용이 뛰어나거나 열등함에 따라서 미혹을 단멸함이 앞뒤가 있다. 이것은 무부무기성에 있어서는 이숙생(異熟生)이고,<sup style="color: blue">63)</sup> 다른 세 가지<sup style="color: blue">64)</sup>가 아니다. 그 위의무기(威儀無記) 등은 세력이 약해서 인식의 대상을 덮거나 깨달음을 장애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것을 무부무기라고 이름하는 것은 2승(乘)에 배대해서 말하는 것이고, 만약 보살에 배대해서는 역시 유부무기이다.
867번째 줄:
==112혹의 조복과 단멸==
 
[[번뇌장]]과 [[소지장]]에는 [[구생기]]와 [[분별기]]가 있으며, 다시 [[현행]](現行){{.cw}}[[종자 (불교)|종자]](種子){{.cw}}[[습기]](習氣)로 구분되는데 이것들이 [[조복]](調伏: 굴복시킴)되고 [[단멸]](斷滅: 끊어짐)되는, [[견도]]{{.cw}}[[수도 (불교)삼도|수도]]{{.cw}}[[무학도]]의 [[3도]]와 [[52위]]의 [[보살 수행계위]]에서의 해당 [[지위 (불교)|지위]][地]는 아래 목록과 같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19148&DTITLE=%B7%D0%B4o%BB%D9 煩惱障]". 2013년 5월 2일에 확인|ps=<br>"煩惱障:
 梵語 kleśāvarana。又作惑障。指妨礙至菩提之道(即聖道),而使無法證得涅槃之煩惱而言。<br>
 (一)俱舍論卷十七、卷二十五謂,常起(指數行而言)而妨礙無漏慧之產生,並使不得慧解脫之煩惱,稱為煩惱障。至於離煩惱障,得慧解脫時,既得滅盡定,然無法得俱解脫之障礙,則稱解脫障(定障)。前者係以染污無知為體,後者則以不染污無知為體。<br>
902번째 줄:
==같이 보기==
 
* [[3도]]: [[견도]]{{.cw}}[[수도 (불교)삼도|수도]]{{.cw}}[[무학도]]
** [[견도]]: [[16심]]{{.cw}}[[고법지인]]
** [[무학도]]: [[34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