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용어 목록 (ㅊ):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91번째 줄:
==초감==
 
'''초감'''(招感)의 문자 그대로의 뜻은 '불러[招] [온 후] 감수(感受)함'으로, 어떤 [[원인 (불교)인연|원인]]이 [[불교 용어 목록/정#증득|결과]]를 초래(招來: 일반 사전적인 뜻은, 불러 옴, 그렇게 되게 함, 어떤 결과를 가져옴<ref>"[http://hanja.naver.com/word?q=%E6%8B%9B%E4%BE%86 招來]", 《네이버 한자사전》. 2013년 2월 3일에 확인.<br>"招來 초래: ①불러 옴 ②그렇게 되게 함 ③어떤 결과(結果)를 가져옴 "</ref>)한 후 [[신 (불교)|몸]]([[소의신]])과 [[마음 (불교)|마음]]이 그 [[불교 용어 목록/정#증득|결과]]에 대해 [[삼수 (불교)|고]]{{.cw}}[[삼수 (불교)|낙]]{{.cw}}[[삼수 (불교)|불고불락]]의 [[삼수 (불교)|3수]]를 [[수 (불교)|느끼게]][感受] 된 것까지를 말한다. 간단히 말하면, '''초감'''(招感)은 [[원인 (불교)인연|원인]]이 [[불교 용어 목록/정#증득|결과]]를 가져오는 것 즉 '''초래'''(招來)하는 것이다.
 
[[초감]](招感)을 줄여서 '''감'''(感)이라고도 하고,{{sfn|안혜 조, 현장 한역|T.1606|loc=제2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1n1606_p0700c22 T31n1606_p0700c22 - T31n1606_p0700c25]. 감(感)|ps=<br>"相應者。謂於因果相稱假立相應。因果相稱者。雖復異類因果相順亦名相稱。由如布施'''感'''富財等。"}}{{sfn|안혜 지음, 현장 한역, 이한정 번역|K.576, T.1605|loc=제2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1365&startNum=37 37 / 388]. 감(感)|ps=<br>"어떠한 것이 ‘상응(相應)불상응행법’입니까?
인과가 서로 대칭되는 것을 가립하여 상응이라 한다.
[釋] ‘인과가 서로 대칭된다는 것’이란 비록 그 종류가 다른 인과 과가 서로 순응하는 것도 서로 대칭한다고 이름한다. 예를 들어 보시 따위에 연유해서 부유'''해지는 것'''과도 같다."}} 다른 말로는 '''감득'''(感得)이라고도 한다. [[감득]]의 일반 사전적인 뜻은 '①감감하여 얻음 ②영감(靈感)으로 깨달아 얻음 ③믿는 마음이 신불(神佛)에 통(通)하여 바라는 것을 얻음'인데,<ref>"[http://hanja.naver.com/word?q=%E6%84%9F%E5%BE%97 感得]", 《네이버 한자사전》. 2013년 2월 3일에 확인.<br>"感得 감득: ①감감하여 얻음 ②영감(靈感)으로 깨달아 얻음 ③믿는 마음이 신불(神佛)에 통(通)하여 바라는 것을 얻음 "</ref> 불교 용어로서의 감득의 의미와는 차이가 있다. 불교 용어로서의 감득은 '[[원인 (불교)인연|원인]]이 불러 온 [[불교 용어 목록/정#증득|결과]]를 [[수 (불교)|느끼게]] 된 것' 즉 [[원인과 결과의 법칙 (불교)|원인과 결과의 법칙]]을 통해 그 [[불교 용어 목록/정#증득|결과]]가 즐거운 것이건 괴로운 것이건 혹은 즐겁지도 괴롭지도 않은 것이건 그 [[불교 용어 목록/정#증득|결과]]를 [[수 (불교)|느끼게]][感] 되고 [[득 (불교)|얻는 것]][得]을 뜻한다.
 
==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