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의 우주론: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171번째 줄:
<br>解釋: The Buddha Locana seated on a lotus of a thousand petals, each containing myriads of worlds in each world is, Śākyamuni seated under a bodhi tree, all such worlds attaining bodhi at the same instant."}}
 
요약하자면, [[기세간]]은 우주의 공간적인 구조와 생멸변천을 말한다. [[4륜]](四輪){{.cw}}[[9산8해]](九山八海){{.cw}}[[4대주]](四大洲){{.cw}}[[지옥 (불교)|지옥]](地獄){{.cw}}[[방생]]과 [[아귀]]의 거주처{{.cw}}[[해 (불교)|해]]와 [[달 (불교)|달]]{{.cw}}[[6욕천]](六欲天){{.cw}}[[색계]]의 [[무색계]]의 천궁(天宮)과 그 [[유정 (불교)|유정]]{{.cw}}[[3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 등의 주제가 [[기세간]]에 해당한다. 그리고 [[불교의 우주론|우주]] 즉 [[3천대천세계]]의 시간적인 생멸변천과 [[유전 (심불상응행법불교)|유전]], 즉 [[불교의 우주론|우주]]의 [[윤회]]를 설명하는 [[성 (4겁)|성]](成){{.cw}}[[주 (4겁)|주]](住){{.cw}}[[괴 (4겁)|괴]](壞){{.cw}}[[공 (4겁)|공]](空)의 [[4겁]](四劫) 역시 [[기세간]]에 속하는 주제이다.{{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K.955, T.1558|loc=아비달마구사론 해제. p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10020 20-24 / 57]. 《구사론》 〈3. 세간품〉의 목차|ps=<br>"[권제8]
<br>제3편 세간품(世間品)
<br>Ⅰ. 유정세간과 기세간(器世間)
283번째 줄:
<br>2) 대삼재(大三災)/579"}}
 
이에 비해, [[유정세간]]은 [[유정 (불교)|유정]]의 분류와 생멸변천을 말한다. [[3계]](三界){{.cw}}[[6도]](六道){{.cw}}[[7식주]](七識住){{.cw}}[[9유정거]](九有情居){{.cw}}[[25유]](二十五有){{.cw}}[[4식주]](四識住){{.cw}}[[4생]](四生) 등의 [[유정 (불교)|유정]]의 상태별{{.cw}}유형별 분류에 관련된 주제가 [[유정세간]]에 해당한다. 그리고 [[유정 (불교)|유정]]의 시간적인 생멸변천과 [[유전 (심불상응행법불교)|유전]], 즉 [[유정 (불교)|유정]]의 [[윤회]]를 설명하는 [[12연기]](十二緣起) 등의 [[연기설]] 역시 [[유정세간]]에 속하는 주제이다.{{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K.955, T.1558|loc=아비달마구사론 해제. p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10020 20-24 / 57]. 《구사론》 〈3. 세간품〉의 목차}}
 
그리고, 《[[구사론]]》《[[대승아비달마집론]]》《[[천태사교의]]》 등의 [[부파불교]]와 [[대승불교]]의 논서들에 따르면, [[유정세간]]과 [[기세간]], 즉 '''불교의 우주론'''은 [[유정 (불교)|유정]]의 현실세계 또는 [[유정 (불교)|유정]]의 실제 모습으로서의 현재 상태를 밝히는 것으로 곧 [[4성제]] 가운데 [[고제]](苦諦)에 해당한다.{{sfn|제관 록|T.1931|loc=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46n1931_p0776a05 T46n1931_p0776a05 - T46n1931_p0776b21]. 고제와 25유|ps=<br>"自下明'''化法四教'''。第一'''三藏教'''者。一修多羅藏(四阿含等經)二阿毘曇藏(俱舍婆沙等論)三毘尼藏(五部律)此之三藏名通大小。今取小乘三藏也。大智度論云。迦旃延子。自以聰明利根。於婆沙中明三藏義。不讀衍經。非大菩薩。又法華云。貪著小乘三藏學者。依此等文故。大師稱小乘為三藏教。此有三乘根性。初聲聞人依生滅四諦教。言'''四諦'''者。一'''苦諦'''。二十五有依正二報是。言'''二十五有'''者。四洲四惡趣六欲。并梵天四禪四空處無想五那含(四洲四趣成八。六欲天并梵王天成十五。四禪四空處成二十三。無想天及那含天成二十五)別則二十五有。總則六道生死。一地獄道。梵語捺洛迦。又語泥黎。此翻苦具。而言地獄者。此處在地之下。故言地獄。謂八寒八熱等大獄。各有眷屬其類無數。其中受苦者。隨其作業各有輕重。經劫數等。其最重處。一日之中八萬四千生死。經劫無量。作上品五逆十惡者。感此道身。二畜生道。亦云旁生。此道遍在諸處。披毛戴角。鱗甲羽毛。四足多足。有足無足。水陸空行。互相吞噉。受苦無窮。愚癡貪欲作中品五逆十惡者。感此道身。三餓鬼道。梵語闍黎哆。此道亦遍諸趣。有福德者。作山林塚廟神。無福德者。居不淨處。不得飲食。常受鞭打填河塞海。受苦無量。諂誑心意作下品五逆十惡。感此道身。四阿修羅道。此翻無酒。又無端正又無天。或在海岸海底宮殿嚴飾。常好鬥戰怕怖無極。在因之時懷猜忌心。雖行五常欲勝他故。作下品十善。感此道身。五人道。四洲不同。謂東弗婆提(壽二百五十歲)南閻浮提(壽一百歲)西瞿耶尼(壽五百歲)北鬱單越(壽一千歲命無中夭。聖人不出其中。即八難之一)皆苦樂相間。在因之時行五常五戒。五常者。仁義禮智信。五戒者。不殺不盜不邪淫不妄語不飲酒。行中品十善。感此道身。六天道。二十八天不同(欲界六天。色界十八天。無色界四天)初欲界六天者。一四天王天(居須彌山腹)二忉利天(居須彌山頂。自有三十三天。已上二天單修上品十善。得生其中)三夜摩天。四兜率天。五化樂天。六他化自在天(已上四天空居。修上品十善。兼坐未到定。得生其中)次色界十八天分為四禪。初禪三天(梵眾梵輔大梵)二禪三天(少光無量光光音)三禪三天(少淨無量淨遍淨)四禪九天(無雲福生廣果。已上三天凡夫住處。修上品十善坐禪者得生其中。無想天外道所居。無煩無熱善見善現色究竟。已上五天第三果居處。上之九天離欲麤散。未出色籠故名色界。坐得禪定故得禪名)三無色界四天(空處識處無所有處非非想。已上四天只有四陰而無色蘊。故得名也)上來所釋。從地獄至非非想天。雖然苦樂不同。未免生而復死死已還生。故名生死。此是藏教實有苦諦。"}}{{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A%B5%AC%EC%82%AC%EB%A1%A0&rowno=4 阿毘達磨俱舍論(아비달마구사론)]". 2013년 6월 29일에 확인|ps=<br>"阿毘達磨俱舍論(아비달마구사론):
652번째 줄:
 漢譯有安慧俱舍論實義疏之殘本五卷,敦煌本有此書(收於大正藏第二十九冊),真諦注舊俱舍之疏十六卷、義疏五十三卷等已逸失。注釋玄奘之譯著,有普光之俱舍論記三十卷及法寶之俱舍論疏三十卷,向來被視為研究俱舍論之指南書。圓輝之俱舍論頌疏三十卷亦受珍視,此疏省略爭論部分,簡明地解釋有部之教理,故容易理解。近年日人旭雅撰冠導俱舍論一書亦常被利用;法宣著俱舍論講義十卷,對初學者極有助益。我國有演培之俱舍論頌講記一書。〔大唐西域記卷四、歷代三寶紀卷九、開元釋教錄卷七、卷八、阿毘達磨論の研究(木村泰賢)、小乘仏教思想論(木村泰賢著,演培譯)、俱舍論講義(舟橋一哉)、俱舍論の教義及び其發達(舟橋一哉)、俱舍論の原典解明(山口益、舟橋一哉)、Th. Stcherbatsky: The central conception of Buddhism and the meaning of the word“Dharma”, London, 1923; O. Rosenberg: Die Probleme der buddhistischen Philosophie, Heidelberg, 1924〕 p3644"}}
 
〈세간품〉은 크게 [[유정세간]]과 [[기세간]]으로 나뉘어 설명되고 있는데, [[유정세간]]을 다루는 부분에서는 [[3계]](三界){{.cw}}[[5취]](五趣){{.cw}}[[7식주]](七識住){{.cw}}[[9유정거]](九有情居){{.cw}}[[4식주]](四識住){{.cw}}[[4생]](四生) 등의 [[유정 (불교)|유정]]의 상태별{{.cw}}유형별 분류에 관련된 주제가 다루어지고 있으며, 또한 [[유정 (불교)|유정]]의 시간적인 생멸변천과 [[유전 (심불상응행법불교)|유전]], 즉 [[유정 (불교)|유정]]의 [[윤회]]를 [[3세양중인과]](三世兩重因果)의 [[12연기]](十二緣起)로 설명하고 있다. 그런 후 [[기세간]]을 다루는 부분에서는 우주의 공간적인 구조인 [[대지사륜|3륜]](三輪){{.cw}}[[9산8해]](九山八海){{.cw}}[[4대주]](四大洲){{.cw}}[[지옥 (불교)|지옥]](地獄){{.cw}}[[방생]]과 [[아귀]]의 거주처{{.cw}}[[해 (불교)|해]]와 [[달 (불교)|달]]{{.cw}}[[6욕천]](六欲天){{.cw}}[[색계]]의 [[무색계]]의 천궁(天宮)과 그 [[유정 (불교)|유정]]{{.cw}}[[3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 등의 주제를 다루고 있으며, 또한 [[불교의 우주론|우주]] 즉 [[3천대천세계]]의 시간적인 생멸변천과 [[유전 (심불상응행법불교)|유전]], 즉 [[불교의 우주론|우주]]의 [[윤회]]를 [[성 (4겁)|성]](成){{.cw}}[[주 (4겁)|주]](住){{.cw}}[[괴 (4겁)|괴]](壞){{.cw}}[[공 (4겁)|공]](空)의 [[4겁]](四劫)으로 설명하고 있다.{{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K.955, T.1558|loc=아비달마구사론 해제. p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10020 20-24 / 57]. 《구사론》 〈3. 세간품〉의 목차|ps=<br>"[권제8]
<br>제3편 세간품(世間品)
<br>Ⅰ. 유정세간과 기세간(器世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