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용어 목록 (삽):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159번째 줄:
2무명의 하나. 구사종에서는 10수면(睡眠)과 상응하여 일어나는 무명을 말하고, 유식종에서는 6근본번뇌와 상응하는 동시에 일어나는 무명을 말함."}}
 
[[무명 (불교)|무명]](無明)은 [[탐 (마음작용)|탐]](貪){{.cw}}[[진 (마음작용)|진]](瞋){{.cw}}[[만 (불교)|만]](慢){{.cw}}[[치 (마음작용)|치]](癡, 無明){{.cw}}[[불교 (마음작용)용어 목록/육#의|의]](疑){{.cw}}[[악견|견]](見, 惡見)의 [[6근본번뇌]] 가운데 하나인데, [[무명]]은 나머지 5가지 [[근본번뇌]]와 [[상응]]하면서 [[불교 용어 목록/ㅎ#현행|생기]](生起)할 수도 있고, 이들과 [[상응]]하지 않고 그 자체로 홀로 [[불교 용어 목록/ㅎ#현행|생기]]할 수도 있다. 전자의, 다른 [[근본번뇌]]와 [[상응|상응]]하면서 [[불교 용어 목록/ㅎ#현행|생기]]하는 [[무명 (불교)|무명]](無明)을 [[상응무명]] 또는 [[공무명]]이라 한다.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교학에서 [[6근본번뇌]]는 [[6수면]]이라고 하고 [[6수면]] 가운데 [[악견|견]]이 [[5견]]으로 세분되어 [[6수면]]은 [[10수면]]이 된다. 따라서 [[10수면]]의 문맥에서 [[상응무명]] 또는 [[공무명]]이라고 할 때는 나머지 9가지 [[수면 (불교)|수면]] 가운데 하나 혹은 다수와 [[상응]]하면서 그것들과 함께 일어나는 [[무명 (불교)|무명]]을 말한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83%81%EC%9D%91%EB%AC%B4%EB%AA%85&rowno=1 相應無明(상응무명)]". 2013년 3월 18일에 확인}}{{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3827&DTITLE=%AC%DB%C0%B3%B5L%A9%FA 相應無明]". 2013년 3월 18일에 확인|ps=<br>"相應無明:
 「不共無明」之對稱。又作共無明。即與貪等諸惑相應而生起之無明。(參閱「無明」5094) p3914"}}
 
268번째 줄:
<br><sup style="color: blue">29)</sup> 그곳에는 진(瞋)수면의 경계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니, 이를테면 '진'은 전5식이 감수하는 고수(苦受)에서 수증되는 것인데, 거기에는 고수가 없기 때문에 '진'도 존재하지 않는 것이다. 또한 그곳에서의 상속은 삼매[定]에 의해 윤택해지기 때문이며, 그곳에는 '진'의 이숙인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이다. 즉 '진'은 그 속성상 불선의 악으로 분류되나 상계의 수면번뇌는 악이 아닌 유부무기, 다시 말해 올바른 지혜의 생기를 방해하는 그릇된 의식일 뿐이기 때문이다.(『현종론』 권제25, 앞의 책, p. 138 참조)"}}
 
자세히 말하면, [[3계]] 가운데 [[색계]]에 존재하는 [[탐 (마음작용)|탐]](貪){{.cw}}[[진 (마음작용)|진]](瞋){{.cw}}[[만 (불교)|만]](慢){{.cw}}[[무명 (불교)|무명]](無明){{.cw}}[[유신견]](有身見){{.cw}}[[변집견]](邊執見){{.cw}}[[사견]](邪見){{.cw}}[[견취]](見取){{.cw}}[[계금취]](戒禁取){{.cw}}[[불교 (마음작용)용어 목록/육#의|의]](疑)의 [[10수면]] 즉 10가지 [[근본번뇌]]를 [[견고소단]](見苦所斷){{.cw}}[[견집소단]](見集所斷){{.cw}}[[견멸소단]](見滅所斷){{.cw}}[[견도소단]](見道所斷){{.cw}}[[수도소단]](修道所斷)의 [[불교 용어 목록/오#오부|5부]] 즉 5가지 부류로 분별하였을 때 그 결과로 구분되는 31가지의 [[근본번뇌]]를 말한다. 그런데 [[10수면]] 가운데 [[진 (마음작용)|진]](瞋)은 [[욕계]]에만 존재하는 [[번뇌]]이기 때문에,{{sfn|세친 조, 현장 한역|T.1558|loc=제19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9n1558_p0099c04 T29n1558_p0099c04 - T29n1558_p0099c06]. 색계·무색계의 10수면(十隨眠)의 5부(五部) 분별}}{{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K.955, T.1558|loc=제19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864 864 / 1397]. 색계·무색계의 10수면(十隨眠)의 5부(五部) 분별}} 실제로는 9가지 [[수면 (불교)|수면]] 즉 [[근본번뇌]]를 [[불교 용어 목록/오#오부|5부]] 분별한 것이다.
 
그리고 모든 [[번뇌]]는 [[근본번뇌]]와 [[수번뇌]]로 나뉘는데, [[수번뇌]]는 [[근본번뇌]]에서 파생된 2차적인 [[번뇌]]이므로, [[근본번뇌]]가 끊어진다는 것을 [[수번뇌]]도 [[끊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이들 31가지 [[근본번뇌]]는 '색계의 모든 번뇌'가 수행계위 중 언제 끊어지는가를 기준으로 구분하였을 때의 31가지라고 할 수 있다. 달리 말하면, [[색계]]로부터 언제 [[해탈]]하게 되는가의 관점에서 구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310번째 줄:
* [[견취]](見取): [[견고소단]]{{.cw}}[[견집소단]]{{.cw}}[[견멸소단]]{{.cw}}[[견도소단]]의 4부만 존재한다. 누적 개수는 25가지
* [[계금취]](戒禁取): [[견고소단]]{{.cw}}[[견도소단]]의 2부만 존재한다. 누적 개수는 27가지
* [[불교 (마음작용)용어 목록/육#의|의]](疑): [[견고소단]]{{.cw}}[[견집소단]]{{.cw}}[[견멸소단]]{{.cw}}[[견도소단]]의 4부만 존재한다. 누적 개수는 31가지
 
[[색계]]의 '''31수면'''을 [[불교 용어 목록/오#오부|5부]]에 따라 나누면 다음과 같다.{{sfn|세친 조, 현장 한역|T.1558|loc=제19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9n1558_p0099b16 T29n1558_p0099b16 - T29n1558_p0099b25]. 욕계의 수면(欲界隨眠)}}{{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K.955, T.1558|loc=제19권. p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862 862-863 / 1397]. 욕계의 수면(欲界隨眠)}}{{sfn|세친 조, 현장 한역|T.1558|loc=제19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9n1558_p0099c04 T29n1558_p0099c04 - T29n1558_p0099c06]. 색계·무색계의 10수면(十隨眠)의 5부(五部) 분별}}{{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K.955, T.1558|loc=제19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864 864 / 1397]. 색계·무색계의 10수면(十隨眠)의 5부(五部) 분별}}
 
* [[견고소단]](見苦所斷): [[탐 (마음작용)|탐]]{{.cw}}[[만 (불교)|만]]{{.cw}}[[무명 (불교)|무명]]{{.cw}}[[유신견]]{{.cw}}[[변집견]]{{.cw}}[[사견]]{{.cw}}[[견취]]{{.cw}}[[계금취]]{{.cw}}[[불교 (마음작용)용어 목록/육#의|의]]의 9가지. 누적 개수는 9가지
* [[견집소단]](見集所斷): [[탐 (마음작용)|탐]]{{.cw}}[[만 (불교)|만]]{{.cw}}[[무명 (불교)|무명]]{{.cw}}[[사견]]{{.cw}}[[견취]]{{.cw}}[[불교 (마음작용)용어 목록/육#의|의]]의 6가지. 누적 개수는 15가지
* [[견멸소단]](見滅所斷): [[탐 (마음작용)|탐]]{{.cw}}[[만 (불교)|만]]{{.cw}}[[무명 (불교)|무명]]{{.cw}}[[사견]]{{.cw}}[[견취]]{{.cw}}[[불교 (마음작용)용어 목록/육#의|의]]의 6가지. 누적 개수는 21가지
* [[견도소단]](見道所斷): [[탐 (마음작용)|탐]]{{.cw}}[[만 (불교)|만]]{{.cw}}[[무명 (불교)|무명]]{{.cw}}[[사견]]{{.cw}}[[견취]]{{.cw}}[[계금취]]{{.cw}}[[불교 (마음작용)용어 목록/육#의|의]]의 7가지. 누적 개수는 28가지
* [[수도소단]](修道所斷): [[탐 (마음작용)|탐]]{{.cw}}[[만 (불교)|만]]{{.cw}}[[무명 (불교)|무명]]의 3가지. 누적 개수는 31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