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근과 육근: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175번째 줄:
[[설일체유부]]에서는 [[정색]]으로 만들어진 이러한 정묘한 내적인 감각기관을 '''승의근'''(勝義根)이라 하고, 육신의 거친 외적인 감각기관을 승의근을 돕는다는 뜻의 '''부진근'''(扶塵根)이라 한다. [[설일체유부]]에서 [[안근]](眼根) 등의 [[5근]]이라고 할 때는 기본적으로 [[승의근]]을 말한다.{{sfn|권오민|2003|pp=61-67}}
 
[[설일체유부]]에서, [[마음 (불교)|마음]]은 [[육식|안식]]{{.cw}}[[이식 (불교)육식|이식]]{{.cw}}[[비식]]{{.cw}}[[육식|설식]]{{.cw}}[[신식]]{{.cw}}[[육식|의식]]의 [[6식]]([[:zh:六識|<span style="color: black">六識</span>]])을 말한다.{{sfn|권오민|2003|p=67}}{{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pp=[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77 77-78 / 1397]}} 그런데, [[6식]]을 [[마음 (불교)|마음]]이라고 할 때, 본래부터 6가지의 서로 다른 [[마음 (불교)|마음]]이 있다는 뜻이 아니다. [[마음 (불교)|마음]]은 본래 1가지로 단일한 것이지만 [[시각]]과 [[청각]]이 서로 다르듯이 그 [[인식]]의 종류에는 차별이 있는데 그 차별에 따라 [[6식]]으로 나누는 것이 편리하기에 그렇게 분류하는 것일 뿐이다.{{sfn|권오민|2003|p=67}}
 
그리고 [[6식]]에서 [[육식|의식]]을 제외한 나머지를 [[전5식]] 또는 [[5식]]이라 한다. [[5식]]은 [[색경 (불교)|색]]{{.cw}}[[오경 (불교)#성경|성]]{{.cw}}[[향 (5경)|향]]{{.cw}}[[오경 (불교)#미경|미]]{{.cw}}[[촉 (5경)|촉]]에 대한 [[인식]]을 말하며, 이 다섯 가지 [[인식]]은 [[5근]]을 소의(所依: 성립 근거, 도구)로 하여 이루어진다고 본다. 즉, [[부진근]]이 아니라 [[승의근]]을 성립 근거로 하여 [[육식|안식]]{{.cw}}[[이식 (불교)육식|이식]]{{.cw}}[[비식]]{{.cw}}[[육식|설식]]{{.cw}}[[신식]]의 인식이 이루진다고 본다.{{sfn|권오민|2003|pp=61-67}}{{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K.955, T.1558|loc=제1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14 14 / 1397]. 5근(五根)}}
 
예를 들어, [[승의근]](勝義根)인 [[안근]]이 [[부진근]](扶塵根)인 육신의 [[눈 (인체)|눈]]의 도움[扶]를 받아 외계대상인 [[색경]](色境)을 취하면 이러한 취함을 바탕으로 [[안식]](眼識)이 생겨난다. 즉, [[안식]]이 외계대상을 직접 취하여 [[안식]]이 생겨나는 것이 아니라, 반드시 [[안근]]의 취함을 바탕으로 하여 [[안식]]이 생겨나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5근]]을 [[5식]]의 소의(所依), 즉 성립 근거라고 말하는데, [[설일체유부]]는 [[5근]]이 단순한 인식도구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인식]]의 폭과 깊이를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는 [[인식론]]적 관점을 가지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