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정거천: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641번째 줄:
: [[5정거천]]의 두 번째인 [[무열천]](無熱天)에는 세 가지 뜻이 있다.
 
: 첫째, [[불교 용어 목록/ㅇ#열|열]](熱)은 [[중품 (잡수정려)|중품]](中品)의 [[잡수정려]](雜修靜慮)로써 [[불교 용어 목록/ㄷ#대치|대치]](對治)되는 [[번뇌]]에 의한 [[열뇌]](熱惱)를 뜻한다. 이런 뜻에서, [[무열]](無熱)은 '''이제열뇌'''(離諸熱惱)를 뜻한다. 즉, [[하품 (잡수정려)|하품]](下品){{.cw}}[[중품 (잡수정려)|중품]](中品){{.cw}}[[오정거천#(2) 무열천|상품]](上品){{.cw}}[[오정거천#(2) 무열천|상승품]](上勝品){{.cw}}[[오정거천#(2) 무열천|상극품]](上極品)의 [[5품 (잡수정려)|5품]]의 [[잡수정려]] 가운데 [[중품 (잡수정려)|중품]](中品)의 [[잡수정려]]로써 해당 [[장애이장 (불교)|장애]]를 잘 복제(伏除: 조복시키고 제거함)하였으며 의요(意樂)가 고르고 순[調柔]하여 모든 [[열뇌]](熱惱)를 떠났다는 것을 뜻한다.
 
: 둘째, [[불교 용어 목록/ㅇ#열|열]](熱)은 하지(下地)에서 [[번뇌]]를 낳게 하는 것을 뜻한다. 이런 뜻에서, [[무열]](無熱)은 '''초원리'''(初離遠)를 뜻한다. 즉, 이 처소 또는 [[하늘 (불교)|하늘]][天]은 처음으로 이러한 [[지 (불교)|상태]]로부터 [[멀리 떠난]] [[지 (불교)|상태]][初離遠]라는 것을 뜻한다.
730번째 줄: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논서 《[[아비달마순정리론]]》 제21권에 따르면,{{sfn|중현 조, 현장 한역|T.1562|loc=제21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9n1562_p0456c12 T29n1562_p0456c12]. 선견천(善見天)|ps=<br>"雜修定障。餘品至微。見極清澈。故名善見。"}}{{sfn|중현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K.956, T.1562|loc=제21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54&startNum=996 996 / 3087]. 선견천(善見天)|ps=<br>"잡수정(雜修定)의 장애 중 나머지 품류(즉 상극품)는 지극히 미세하여 견(見)이 매우 맑기 때문에 ‘선견천’이라 이름하였다."}}
 
: [[5정거천]]의 네 번째인 [[선견천]](善見天)에서, [[선견]](善見)은 '''견극청철'''(見極清澈)을 뜻한다. 즉, [[오정거천#(2) 무열천|상승품]](上勝品)의 [[잡수정려]](雜修靜慮)를 [[증득]]한 상태로서, [[잡수정려]]로서는 마지막 [[장애이장 (불교)|장애]]인 [[오정거천#(2) 무열천|상극품]](上極品)의 [[장애이장 (불교)|장애]]만이 남아 있는데 이 [[장애이장 (불교)|장애]]는 지극히 [[미세]]하여 '[[견 (불교)|견]](見)이 극히 [[맑다]][見極清澈]'는 것을 뜻한다.
 
===(5) 색구경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