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정거천: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169번째 줄:
<br>頁數: 出天台四教儀"}}
 
'''5정거천'''(五淨居天, {{llang|sa|[[:en:Śuddhâvāsa-deva|<span style="color: black">Śuddhâvāsa-deva</span>]]}}, {{lang|sa|[[:en:Śuddhāvāsa|<span style="color: black">Śuddhāvāsa</span>]]}}) 또는 '''정거천'''(淨居天)에서 정거(淨居, {{llang|sa|[[:en:śuddhāvāsa|<span style="color: black">śuddhāvāsa</span>]]}})는 [[정 (불교) 용어 목록/정#정|정]](淨, {{llang|sa|[[:en:śuddha|<span style="color: black">śuddha</span>]]}}: [[청정]])과 [[거 (불교)|거]](居, {{llang|sa|[[:en:vāsa|<span style="color: black">vāsa</span>]]}}: 거주처, 처소)가 합쳐진 낱말로,{{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B2%AD%EC%A0%95&rowno=16 淸淨(청정)]". 2013년 2월 16일에 확인|ps=<br />"淸淨(청정): 【범】 Śuddhā 나쁜 짓으로 지은 허물이나, 번뇌의 더러움에서 벗어난 깨끗함. 자성청정(自性淸淨)ㆍ이구청정(離垢淸淨)의 2종이 있음. ⇒이종청정(二種淸淨)"}}{{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2919&DTITLE=%B2M%B2b 清淨]". 2013년 2월 16일에 확인|ps=<br />"清淨: 梵語 śuddha, viśuddha, pariśuddha,巴利語 suddha, visuddha, parisuddha。音譯毘輸陀、輸陀、尾戍馱、戍馱。略稱淨。或作梵摩(梵 brahma,巴同)。指遠離因惡行所致之過失煩惱。一般常用身語意三種清淨。<br />
 有關清淨之種類,於諸經論中,均有詳載,如下:(一)無性之攝大乘論釋卷二就煩惱之伏斷述及二種清淨:(1)世間清淨,由有漏道之修行能暫時壓抑現行之煩惱,稱為世間清淨。(2)出世間清淨,由無漏道之修行能完全滅盡煩惱,稱為出世間清淨。颴世親淨土論則分為:(1)器世間清淨,令環境變成清淨。(2)眾生世間清淨,住於其地眾生變為聖眾。二者係顯依、正二報皆清淨。(三)大智度論卷七十三列舉三種清淨,即:(1)心清淨,修學般若不起染心、瞋心等。(2)身清淨,心既清淨常得化生,故身清淨。(3)相清淨,得具足相好莊嚴身。(四)梁譯攝大乘論卷中謂四種清淨,即:本來自性清淨、無垢清淨、至得道清淨與道生境界清淨。(五)究竟一乘寶性論卷四說二種清淨,謂本來自性清淨分為二,即:(1)自性清淨,萬法皆空,本來即清淨。(2)離垢清淨,離煩惱而成為清淨。(六)顯揚聖教論卷三列舉尸羅、心、見、度疑、道非道智見、行智見、行斷智見、無緣寂滅、國土等九種清淨。(七)大乘本生心地觀經卷七列舉三昧、智慧、神通、現身、多聞等各有八種清淨。〔大品般若經卷十二歎淨品、大寶積經卷十四、卷三十九、無上依經卷上、集異門足論卷六、釋淨土群疑論卷一〕p4667"}}{{sfn|Sanskrit and Tamil Dictionaries|loc="[http://www.sanskrit-lexicon.uni-koeln.de/cgi-bin/tamil/recherche?dictionary=all&prst=exact&maxhits=50&st=vasa vasa]". 2013년 6월 11일에 확인|ps=<br>"vasa:
<br>(mwd) = Cologne Digital Sanskrit Lexicon
299번째 줄:
<br>解釋: 顯揚二卷九頁云:若雜修下品世間及無漏第四靜慮者;受無煩淨宮天生果。若雜修中品者;受無熱淨宮天生果。若雜修上品者;受妙現淨宮天生果。若雜修上勝品者;受妙見淨宮天生果。若雜修上極品者;受無礙究竟淨宮天生果。若善修習菩薩無量不思議三摩地所引第十地中第四靜慮者;受出過淨宮大自在天生果。"}}
 
:# [[정 (불교) 용어 목록/정#정|정]](淨)은 '''탁번뇌구'''(濯煩惱垢)를 뜻한다. 즉, [[이욕]](離欲)의 모든 [[성인 (불교)|성자]]들, 즉 [[욕계의 번뇌]]를 떠난 모든 [[성인 (불교)|성자]]들, 즉 [[불환과]](아나함과)를 [[증득]]한 모든 [[성인 (불교)|성자]]들은 [[도 (불교)|성도]](聖道)라는 물로써 [[번뇌구]](煩惱垢: [[번뇌]]의 [[불교 용어 목록/구#구|때]], 즉 거친 번뇌, 즉 욕계의 번뇌)를 씼었다는 것을 뜻한다. '''정신소지'''(淨身所止), 즉, 청정한 몸[淨身]이 머무는 곳이라는 뜻에서 정거(淨居)라고 이름한다.<!--
 
-->
:# [[정 (불교) 용어 목록/정#정|정]](淨)은 '''여환책진'''(如還債盡)을 뜻한다. 즉,[[정거천]]이라는 처소 또는 [[하늘 (불교)|하늘]][天]에 머물면서 [[생사윤회]]를 완전히 끝내게 되는데, 이것이 마치 부채를 다 갚는 것과 같다[如還債盡]는 것을 뜻한다. '''정자소주'''(淨者所住), 즉, 청정한 이가 머무는 곳이라는 뜻에서 정거(淨居)라고 이름한다.<!--
 
-->
:# [[정 (불교) 용어 목록/정#정|정]](淨)은 '''무이생잡'''(無異生雜)을 뜻한다. 즉, [[정거천]]이라는 처소 또는 [[하늘 (불교)|하늘]][天]에는 [[이생]](異生) 즉 [[범부]]가 섞여 있지 않다는 것을 뜻한다. '''순성소지'''(純聖所止), 즉, 순전히 [[성인 (불교)|성자]]들만 머무는 곳이라는 뜻에서 정거(淨居)라고 이름한다.
 
===유가사지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