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문 (불교):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19번째 줄:
이후 불교교단이 확립된 [[부파불교]] 시대에서 성문은 [[출가자]]만을 뜻하게 되었고, [[대승불교]]에서 [[성문승]](聲聞乘){{.cw}}[[연각승]](緣覺乘){{.cw}}[[보살승]](菩薩乘)의 [[3승]](三乘)의 교의를 주장하면서 [[성문]]은 [[보살승]] 즉 [[보살의 길]]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열한 탈것[乘] 즉 저열한 교법(敎法) 또는 저열한 길인 '''성문승'''(聲聞乘) 즉 '''성문의 길''' 즉 '''[[4제현관]]'''(四諦現觀: [[4성제]]의 [[현관 (불교)|현관]], [[4성제]]를 현전에서 [[현관 (불교)|관찰함]])을 의지하여 [[도 (불교)|성도]](聖道)를 나아가는 [[부파불교]]의 수행자로,{{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84%B1%EB%AC%B8%EC%8A%B9&rowno=1 聲聞乘(성문승)]". 2013년 4월 9일에 확인|ps=<br>"聲聞乘(성문승):
3승의 하나. 성문 지위에 있는 이가 증과(證果)에 이르기 위하여 닦는 교법. 곧 고ㆍ집ㆍ멸ㆍ도의 4제법(諦法). 뒤에는 변해져서 성문의 기류(機類)도 성문승이라 함."}}{{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22908&DTITLE=%C1n%BBD%AD%BC 聲聞乘]". 2013년 4월 9일에 확인|ps=<br>"聲聞乘:
 為二乘之一,三乘之一,五乘之一。指能成就聲聞果之四諦法門。乘,為運載之意,指能乘載眾生至彼岸者;即指佛陀之教法。聲聞之人由觀四諦之理而出離生死,以達涅槃,故稱四諦法門為聲聞乘。又指聲聞之機類。〔稱讚大乘功德經、法華玄論卷七、大乘法苑義林章卷一末〕(參閱「二乘」206) p6499"}} [[불교 용어 목록/ㅈ#자리이타|자리]](自利) 즉 자신만의 [[깨달음]] 즉 자신의 [[열반]]의 [[증득]]에만 치중하는 수행자이며, 그 최고의 [[깨달음]]의 [[지위 (불교)|지위]]가 '[[아공]](我空)을 깨친 [[아라한]]'에서 그치고 마는 수행자를 뜻하게 되었다. 나아가 [[대승불교]]에서는 '''2종성문'''(二種聲聞){{.cw}}'''3종성문'''(三種聲聞){{.cw}}'''4종성문'''(四種聲聞) 또는 '''5종성문'''(五種聲聞)으로 성문의 성격을 세분하였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22907&DTITLE=%C1n%BBD 聲聞]". 2013년 4월 9일에 확인|ps=<br>"聲聞:
 梵語 śrāvaka,巴利語 sāvaka。音譯舍羅婆迦。又意譯作弟子。為二乘之一,三乘之一。指聽聞佛陀聲教而證悟之出家弟子。大乘義章卷十七本解釋聲聞之名義有三,即:(一)就得道之因緣而釋,聞佛之聲教而悟解得道,稱為聲聞。(二)就所觀之法門而釋,如十地經論卷四說,我眾生等,但有名故,說之為聲,於聲悟解,故稱聲聞。(三)就化他之記說而釋,如法華經卷二信解品載說,以佛道聲,令一切聞,故稱聲聞。此三釋中,前二者為小乘之聲聞,第三則為菩薩,隨義而稱為聲聞。<br>
 聲聞原指佛陀在世時之諸弟子,後與緣覺、菩薩相對,而為二乘、三乘之一。即觀四諦之理,修三十七道品,斷見、修二惑而次第證得四沙門果,期入於「灰身滅智」之無餘涅槃者。聲聞乘,乃專為聲聞所說之教法。聲聞藏,則為闡述其教說之經典。<br>
55번째 줄:
《[[아함경]]》 등의 [[초기불교]] 경전에는 [[출가자]] 뿐만 아니라 [[재가신자]]도 모두 성문(聲聞)이라 불리고 있다. 즉 [[초기불교]] 시대에서 성문은 문자 그대로의 뜻 그대로 [[불제자]](佛弟子) 즉 '불교에 귀의한 사람'을 의미했다. 그 후 [[고타마 붓다]]의 [[입멸]] 후 후대에 불교교단이 확립되면서 [[부파불교]]와 [[대승불교]]에서는 [[출가자]]만을 성문이라 부르게 되었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22907&DTITLE=%C1n%BBD 聲聞]". 2013년 4월 9일에 확인}}
 
이후 [[대승불교]]에서 [[성문승]](聲聞乘){{.cw}}[[연각승]](緣覺乘){{.cw}}[[보살승]](菩薩乘)의 [[3승]](三乘)의 교의를 주장하면서 [[성문]]은 [[보살승]] 즉 [[보살의 길]]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열한 탈것[乘] 즉 저열한 교법(敎法) 또는 저열한 길인 '''성문승'''(聲聞乘) 즉 '''성문의 길''' 즉 '''[[4제현관]]'''(四諦現觀)을 의지하여 [[도 (불교)|성도]](聖道)를 나아가는 [[부파불교]]의 수행자를 뜻하게 되었다. [[대승불교]]에서는 [[부파불교]]의 수행자는 [[아라한]]을 목표로 하며 [[불교 용어 목록/ㅈ#자리이타|자리]](自利) 즉 자신만의 [[깨달음]] 즉 자신의 [[열반]]의 [[증득]]에만 치중하는 수행자라고 보았고, 그 [[깨달음]]의 지위도 [[아공]]과 [[법공]]을 모두 깨달은 [[부처]]의 지위 즉 '[[부처의 다른 명칭]]으로서의 [[아라한]]'이 아니라 '[[아공]]의 [[도리]]만을 깨달은 [[아라한]]'의 [[지위 (불교)|지위]]에서 그치고 만다고 보았다.<ref name="글로벌-삼승"/><ref name="종교학대사전-성문"/> 이러한 이유로 [[대승불교]]에서 성문{{.cw}}[[성문승]]과 [[연각]]{{.cw}}[[연각승]]은 [[보살]]{{.cw}}[[보살승]]에 대해 폄하하는 호칭이 되었고, [[대승불교]]에서는 [[성문승]]{{.cw}}[[연각승]]의 [[2승]](二乘)을 [[저열한]] [[탈것]] 즉 [[저열한]] [[교법]] 또는 [[저열한]] 길이라는 뜻에서 [[소승]](小乘)이라 폄칭하였으며, 이에 따라 대승불교권에서는 [[성문]]과 [[성문승]]을 무조건 기피하는 경향을 띠게 되었다.<ref name="종교학대사전-성문"/>
 
나아가 대승불교에서는 성문의 성격에 대해 여러 가지로 구분하여, '''2종성문'''(二種聲聞){{.cw}}'''3종성문'''(三種聲聞){{.cw}}'''4종성문'''(四種聲聞) 또는 '''5종성문'''(五種聲聞)으로 분류하였다. 이 가운데 2종성문은 성문을 '''정성성문'''(定性聲聞){{.cw}}'''부정성성문'''(不定性聲聞)으로 구분하는 것인데, [[정성성문]]은 성문으로서의 성격[性]이 고정[定]되어서 [[성문승]] 즉 [[성문의 길]]에서 [[보살승]] 즉 [[보살의 길]]로 들어갈 여지가 없는 수행자를 말하고, [[부정성성문]]은 아직 성문으로서의 성격이 고정되어 있지 않아서 [[보살승]] 즉 [[보살의 길]]로 들어설 수 있는 여지가 있는 성문이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22907&DTITLE=%C1n%BBD 聲聞]". 2013년 4월 9일에 확인}}<ref name="종교학대사전-성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