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정견: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386번째 줄:
[[비도계도]]의 [[계금취견]]에 대해 [[설일체유부]]의 정통 [[비바사사]]는 이것이 [[고제]]에 미혹한 것이기 때문에 [[견고소단]]이라고 본다. 반면 [[세친]]은 [[그릇된 길]]을 [[바른 길]]이라고 주장하는 것이므로 [[견도소단]]이 되어야 하지 않는가 하고 의문을 제기한다. 한편 [[중현]]은 [[비도계도]]의 [[계금취견]]을 더 세분하여 예를 들어 개처럼 사는 [[유루도]]를 [[해탈도]]라고 집착하는 경우와 [[도제]]를 비방하는 [[사견]] 등을 [[청정도]]로 집착하는 경우로 나누어, 전자는 '거칠에 나타나는 과상[麤果相]' 즉 [[고 (불교)|고]]의 현실 즉 [[고제]]에 대해 [[미혹]]하여 즉 바르게 알지 못해 일어나는 것이기 때문에 [[견고소단]]이며, 후자는 [[도제]]를 부정하는 것이므로 [[도제]]를 어긴 것이지만 '거칠에 나타나는 과상[麤果相]' 즉 [[고 (불교)|고]]의 현실 즉 [[고제]]에 대해 별도로 [[미혹]]하여 집착한 것이 아니므로 [[견도소단]]이라고 본다.{{sfn|세친 조, 현장 한역|T.1558|loc=제19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9n1558_p0100b04 T29n1558_p0100b04 - T29n1558_p0100b20]. 비도계도(非道計道)의 계금취견}}{{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K.955, T.1558|loc=제19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871 871 / 1397]. 비도계도(非道計道)의 계금취견}}
 
세 번째 유형은 온갖 [[견도소단]]의 법을 [[불교 용어 목록/이#인식대상|소연]]으로 하여 생겨난 [[계금취견]]이다. 구체적으로는, [[탐 (마음작용)|탐]]{{.cw}}[[진 (마음작용불교)|진]]{{.cw}}[[만 (불교)|만]]{{.cw}}[[무명 (불교)|무명]]{{.cw}}[[사견]]{{.cw}}[[견취]]{{.cw}}[[계금취]]{{.cw}}[[불교 용어 목록/육#의|의]]의 8가지 [[견도소단]]의 [[수면 (불교)|수면]](隨眠)을 [[불교 용어 목록/이#인식대상|소연]]으로 생겨난 온갖 [[계금취견]]을 말하는데, [[설일체유부]]의 정통 [[비바사사]]에 따르면 이것은 [[견도소단]]이다.{{sfn|세친 조, 현장 한역|T.1558|loc=제19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9n1558_p0100b04 T29n1558_p0100b04 - T29n1558_p0100b20]. 비도계도(非道計道)의 계금취견}}{{sfn|세친 지음, 현장 한역, 권오민 번역|K.955, T.1558|loc=제19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14&startNum=871 871 / 1397]. 비도계도(非道計道)의 계금취견}}
 
== 5견의 구생기·분별기 분별 ==
402번째 줄:
== 단멸의 단계 ==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와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 모두에서 [[근본번뇌]](根本煩惱)로 규정하는 번뇌로는 [[탐 (마음작용)|탐]](貪){{.cw}}[[진 (마음작용불교)|진]](瞋){{.cw}}[[만 (불교)|만]](慢){{.cw}}[[무명 (불교)|무명]](無明, 癡){{.cw}}'''견'''(見, 不正見, 惡見){{.cw}}[[불교 용어 목록/육#의|의]](疑)의 6가지 [[번뇌]]가 있다.
 
이들 중에서 '''견''' 즉 '''부정견'''은 [[유신견]](有身見, 薩迦耶見){{.cw}}[[변집견]](邊執見){{.cw}}[[사견]](邪見){{.cw}}[[견취]](見取){{.cw}}[[계금취]](戒禁取)의 5견(五見)으로 나뉜다. 따라서, 세부적으로는, 총 10가지의 [[근본번뇌]], 즉 [[탐 (마음작용)|탐]]{{.cw}}[[진 (마음작용불교)|진]]{{.cw}}[[만 (불교)|만]]{{.cw}}[[무명 (불교)|무명]]{{.cw}}[[유신견]]{{.cw}}[[변집견]]{{.cw}}[[사견]]{{.cw}}[[견취]]{{.cw}}[[계금취]]{{.cw}}[[불교 용어 목록/육#의|의]]가 있게 된다.
 
===설일체유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