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번뇌: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150번째 줄: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에서는, 먼저, [[근본번뇌]](根本煩惱)를 [[수면 (불교)|수면]](隨眠)이라고 한다. [[수면 (불교)|수면]](隨眠)은 6가지, 7가지, 10가지 또는 98가지로 세분되는데 각각을 [[6수면]]{{.cw}}[[7수면]]{{.cw}}[[10수면]]{{.cw}}[[98수면]]이라 한다. [[7수면]]{{.cw}}[[10수면]]{{.cw}}[[98수면]]은 모두 [[6수면]]을 재차 세분한 것이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22016&DTITLE=%C0H%AFv 隨眠]". 2013년 1월 3일에 확인|ps=<br />"隨眠: 梵語 anuśaya,巴利語 anusaya。為煩惱之異名。煩惱隨逐我人,令入昏昧沈重之狀態;其活動狀態微細難知,與對境及相應之心、心所相互影響而增強(隨增),以其束縛(隨縛)我人,故稱為隨眠。此有貪、瞋、慢、無明(癡)、見(惡見)、疑等六種,稱為六隨眠(六根本煩惱)。其中,貪復分為欲貪與有貪,稱為七隨眠;見分為身、邊執、邪、見取、戒禁取等五見,稱為十隨眠。此外,以此更加細分,則有九十八隨眠。<br />
 關於隨眠之體另有異說,說一切有部認為貪等煩惱即隨眠,屬於心相應之法;大眾部、化地部等認為現起之煩惱稱為纏,另外稱熏成種子之法為隨眠,與心不相應;經部認為煩惱於覺醒活動之位為纏,對此,煩惱為眠伏狀態之種子稱為隨眠,為非心相應亦非不相應。於唯識宗,不承認煩惱即隨眠之說,蓋隨眠為煩惱之習氣,即指種子而言。此煩惱之種子隨逐我人,眠伏潛在於阿賴耶識。〔大毘婆沙論卷五十、俱舍論卷十九、卷二十、發智論卷三、品類足論卷三、成唯識論卷九、瑜伽師地論卷五十九、卷八十九〕"}}
[[설일체유부]]의 교학에서 [[6수면]] 즉 6가지 [[근본번뇌]]는 [[탐 (마음작용)|탐]](貪){{.cw}}[[진 (마음작용불교)|진]](瞋){{.cw}}[[만 (불교)|만]](慢){{.cw}}[[불교 용어 목록/육#의|의]](疑){{.cw}}[[무명 (불교)|무명]](無明){{.cw}}[[견 (불교)|견]](見)을 말한다.{{sfn|세친 조, 현장 한역|T.1558|loc=제19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29n1558_p0098b18 T29n1558_p0098b18 - T29n1558_p0098c03]. 6수면(六隨眠)|ps=<br />"前言世別皆由業生。業由隨眠方得生長。離隨眠業無感有能。所以者何。隨眠有幾。頌曰。<br />
  隨眠諸有本  此差別有六<br />
  謂貪瞋亦慢  無明見及疑<br />
169번째 줄:
<br /><sup style="color: blue">1)</sup> 여기서 '근본'은 번뇌의 득(得)을 말한다. 즉 번뇌가 일어남으로 말미암아 번뇌의 득이 더욱더 견고해져 끊을래야 끊을 수 없게 되기 때문이다.
<br /><sup style="color: blue">2)</sup> 여기서 '자구'는 번뇌 자신의 자량이 되는 비리작의(非理作意) 즉 참답지 못한 사유를 말한다.
<br /><sup style="color: blue">3)</sup> 식의 흐름에는 다음 생을 받을 때 부모에 대한 애념(愛念)을 일으키는 속생(續生)의 식과, 소연의 경계에 대해 촉(觸)을 일으키는 촉연(觸緣)의 식이 있다. 곧 번뇌는 후유의 소연에 대해 능히 속생의 식을 일으키며 소연에 대해 능히 염오식을 낳기 때문에 '식의 흐름을 인도한다'고 말한 것이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5831&DTITLE=%A4%BB%C0H%AFv 六隨眠]". 2012년 10월 31일에 확인. 6수면(六隨眠)|ps=<br />"六隨眠: 謂貪、瞋、癡、慢、疑、見等六種根本煩惱,此乃俱舍家之說。隨眠即根本煩惱之異稱,根本煩惱隨逐有情,行相微細,故稱隨眠。"}}{{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88%98%EB%A9%B4&rowno=10 六隨眠(육수면)]". 2012년 10월 9일에 확인|ps=<br />"六隨眠(육수면): 구사종(俱舍宗)에서 탐(貪)·진(瞋)·치(癡)·만(慢)·의(疑)·악견(惡見) 등 6종의 근본 번뇌를 말함. 이 번뇌는 항상 중생을 따라다니면서 마음을 혼미케 하고 그 작용이 미세(微細)하여 알기 어려우므로 수면이라 함."}} [[설일체유부]]의 [[5위 75법]]의 [[법체계 (불교)|법체계]]에서 살펴보면, [[탐 (마음작용)|탐]](貪){{.cw}}[[진 (마음작용불교)|진]](瞋){{.cw}}[[만 (불교)|만]](慢){{.cw}}[[불교 용어 목록/육#의|의]](疑)는 [[심소법]](心所法: 46가지) 중 [[부정지법]](不定地法: 8가지)에 속하고, [[무명 (불교)|무명]](無明)은 [[심소법]] 중 [[대번뇌지법]](大煩惱地法: 6가지) 가운데 하나인 [[치 (마음작용)|치]](癡)의 다른 이름이며, [[견 (불교)|견]](見)은 [[심소법]] 중 [[대지법]](大地法: 10가지) 가운데 하나인 [[혜 (마음작용)|혜]](慧)의 그릇된 상태를 말한다.
 
[[심소법]]에 속한 46가지 [[마음작용]] 가운데 이들 6가지 [[근본번뇌]]와 [[대선지법]](大善地法)에 속한 10가지 [[마음작용]]을 제외한 나머지 30가지 [[마음작용]]이 모두 수번뇌가 '''될 수 있다'''.
189번째 줄:
[[지말번뇌]] 또는 [[지말혹]]으로서의 수번뇌의 경우,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에서는, 먼저, [[근본번뇌]](根本煩惱)를 [[수면 (불교)|수면]](隨眠)이라고 하는데 특히 [[현행]]하고 있는 [[근본번뇌]]의 [[불교 용어 목록/정#종자|종자]]적 측면을 가리켜 [[수면 (불교)|수면]]이라고 한다. [[유식유가행파]]에서는 [[수면 (불교)|수면]] 즉 [[근본번뇌]]를 6가지, 7가지, 10가지 또는 128가지로 세분되는데 각각을 [[6근본번뇌]]{{.cw}}[[7근본번뇌]]{{.cw}}[[10근본번뇌]]{{.cw}}[[128근본번뇌]]라 한다. [[7근본번뇌]]{{.cw}}[[10근본번뇌]]{{.cw}}[[128근본번뇌]]는 모두 [[6근본번뇌]]를 재차 세분한 것이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22016&DTITLE=%C0H%AFv 隨眠]". 2013년 1월 3일에 확인|ps=<br />"隨眠: 梵語 anuśaya,巴利語 anusaya。為煩惱之異名。煩惱隨逐我人,令入昏昧沈重之狀態;其活動狀態微細難知,與對境及相應之心、心所相互影響而增強(隨增),以其束縛(隨縛)我人,故稱為隨眠。此有貪、瞋、慢、無明(癡)、見(惡見)、疑等六種,稱為六隨眠(六根本煩惱)。其中,貪復分為欲貪與有貪,稱為七隨眠;見分為身、邊執、邪、見取、戒禁取等五見,稱為十隨眠。此外,以此更加細分,則有九十八隨眠。<br />
 關於隨眠之體另有異說,說一切有部認為貪等煩惱即隨眠,屬於心相應之法;大眾部、化地部等認為現起之煩惱稱為纏,另外稱熏成種子之法為隨眠,與心不相應;經部認為煩惱於覺醒活動之位為纏,對此,煩惱為眠伏狀態之種子稱為隨眠,為非心相應亦非不相應。於唯識宗,不承認煩惱即隨眠之說,蓋隨眠為煩惱之習氣,即指種子而言。此煩惱之種子隨逐我人,眠伏潛在於阿賴耶識。〔大毘婆沙論卷五十、俱舍論卷十九、卷二十、發智論卷三、品類足論卷三、成唯識論卷九、瑜伽師地論卷五十九、卷八十九〕"}} [[유식유가행파]]의 교학에서 [[6근본번뇌]]는 [[탐 (마음작용)|탐]](貪){{.cw}}[[진 (마음작용불교)|진]](瞋){{.cw}}[[만 (불교)|만]](慢){{.cw}}[[무명 (불교)|무명]](無明){{.cw}}[[불교 용어 목록/육#의|의]](疑){{.cw}}[[부정견|부정견]](不正見)을 말한다.{{sfn|세친 조, 현장 한역|T.1614|loc=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1n1614_p0855b29 T31n1614_p0855b29 - T31n1614_p0855c02]. 번뇌심소(煩惱心所)|ps=<br />"四煩惱六者。一貪二嗔。三慢四無明。五疑六不正見。"}}{{sfn|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T.1585|loc=제6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1n1585_p0031b15 T31n1585_p0031b15 - T31n1585_p0031b19]. 번뇌심소(煩惱心所)|ps=<br />"煩惱心所其相云何。頌曰。<br />
  12煩惱謂貪瞋  癡慢疑惡見<br />
論曰。此貪等六性是根本煩惱攝故。得煩惱名。"}}{{sfn|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K.614, T.1585|loc=제6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897&startNum=305 305 / 583]. 번뇌심소(煩惱心所)|ps=<br />"번뇌심소의 양상은 어떠한가? 게송(『삼십송』의 제12)에서 다음과 같이 말한다.<b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