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십오유: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174번째 줄:
# [[6욕천]](六欲天){{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9C%A1%EC%9A%95%EC%B2%9C&rowno=1 六欲天(육욕천)]". 2013년 6월 6일에 확인|ps=<br>"六欲天(육욕천):
또는 욕계육천(欲界六天)ㆍ6천(天). 3계(界) 중 욕계에 딸린 6종 하늘. 이 하늘 사람들은 모두 욕락이 있으므로 욕천이라 함. (1) 4왕천(王天). 수미산 제4층의 4면에 있는 지국천(동)ㆍ증장천(남)ㆍ광목천(서)ㆍ다문천(북)의 4왕과 그에 딸린 천중들. (2) 도리천(忉利天). 33천이라 번역. 수미산 꼭대기에 제석천을 중심으로 하고 4방에 8천씩이 있음. (3) 야마천(夜摩天). 선시천(善時天)ㆍ시분천(時分天)이라 번역. 때를 따라 쾌락을 받으므로 이렇게 이름. (4) 도솔천(兜率天). 지족(知足)이라 번역. 자기가 받는 5욕락에 만족한 마음을 내는 까닭. (5) 화락천(化樂天). 또는 낙변화천(樂變化天). 5욕의 경계를 스스로 변화하여 즐김. (6) 타화자재천(他化自在天). 다른 이로 하여금 자재하게 5욕 경계를 변화케 함. 6천 중 사왕천은 수미산 허리에 있고, 도리천은 수미산 꼭대기에 있으므로 지거천(地居天), 야마천 이상은 공중에 있으므로 공거천(空居天)이라 함. ⇒욕천(欲天)"}}
## '''제9유 4천처유'''(四天處有) - [[6도]] 가운데 [[천상도]]에 속하는, [[4왕천]](四王天)의 [[중생|유정]]들 즉 [[천중 (불교)|천중]](天衆)들을 말한다.
## '''제10유 33천처유'''(三十三天處有) - [[6도]] 가운데 [[천상도]]에 속하는, [[도리천]](忉利天)의 [[중생|유정]]들 즉 [[천중 (불교)|천중]](天衆)들을 말한다.
## '''제11유 염마천유'''(炎摩天有) - [[6도]] 가운데 [[천상도]]에 속하는, [[야마천]](夜摩天)의 [[중생|유정]]들 즉 [[천중 (불교)|천중]](天衆)들을 말한다.
## '''제12유 도솔천유'''(兜率天有) - [[6도]] 가운데 [[천상도]]에 속하는, [[도솔천]](兜率天)의 [[중생|유정]]들 즉 [[천중 (불교)|천중]](天衆)들을 말한다.
## '''제13유 화락천유'''(化樂天有) - [[6도]] 가운데 [[천상도]]에 속하는, [[낙변화천]](樂變化天)의 [[중생|유정]]들 즉 [[천중 (불교)|천중]](天衆)들을 말한다.
## '''제14유 타화자재천유'''(他化自在天有) - [[6도]] 가운데 [[천상도]]에 속하는, [[타화자재천]](他化自在天)의 [[중생|유정]]들 즉 [[천중 (불교)|천중]](天衆)들을 말한다.
 
===색계 7유===
197번째 줄:
# [[초선천]](初禪天){{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5%88%9D%E7%A6%AA%E5%A4%A9&rowno=1 初禪天(초선천)]". 2013년 6월 6일에 확인|ps=<br>"初禪天(초선천):
4선천의 하나. 욕계의 위에 있는 색계 4선천 가운데 첫 선천. 범중천(梵衆天)ㆍ범보천(梵輔天)ㆍ대범천(大梵天)의 3천이 있음."}}
## '''제15유 초선유'''(初禪有) - [[6도]] 가운데 [[천상도]]에 속하는, [[초정려]](初靜慮) 즉 [[이생희락지]](離生喜樂地)에서 [[대범천유]](大梵天有)를 제외한 나머지 [[천중 (불교)|천중]](天衆)들을 말한다. 즉, [[색계]] [[초선천]](初禪天)의 [[범중천]](梵衆天){{.cw}}[[범보천]](梵輔天){{.cw}}[[대범천]](大梵天)의 3천에서 이 3천의 왕인 [[대범천]](大梵天)을 제외한 나머지 모든 [[천중 (불교)|천중]](天衆)들을 말한다.
## '''제16유 대범천유'''(大梵天有) - [[6도]] 가운데 [[천상도]]에 속하는, [[색계]] [[초선천]](初禪天)의 [[범중천]](梵衆天){{.cw}}[[범보천]](梵輔天){{.cw}}[[대범천]](大梵天)의 3천의 왕인 [[대범천]](大梵天)을 말한다.<!--
 
203번째 줄:
# [[2선천]](二禪天){{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9D%B4%EC%84%A0%EC%B2%9C&rowno=1 二禪天(이선천)]". 2013년 6월 6일에 확인|ps=<br>"二禪天(이선천):
색계제천(色界諸天)을 4선(禪)으로 나눈 가운데서 제2선. 2선정(禪定)을 닦은 이가 나는 천상 세계. 소광천(少光天)ㆍ무량광천(無量光天)ㆍ광음천(光音天)."}}
## '''제17유 2선유'''(二禪有) - [[6도]] 가운데 [[천상도]]에 속하는, [[제2정려]](第二靜慮) 즉 [[정생희락지]](定生喜樂地)의 [[천중 (불교)|천중]](天衆)들을 말한다. 즉, [[소광천]](少光天){{.cw}}[[무량광천]](無量光天){{.cw}}[[광음천]](光音天)의 3천의 [[천중 (불교)|천중]](天衆)들을 말한다.<!--
 
-->
211번째 줄:
<br>頁數: p686"}}<ref>세종대왕기념사업회 (2001). 《한국고전용어사전》 "[http://terms.naver.com/entry.nhn?cid=2887&docId=96020&categoryId=2887 삼선삼천(三禪三天)]", 네이버 지식백과. 2013년 6월 6일에 확인.<br>"삼선삼천(三禪三天):
<br>색계(色界) 삼선천(三禪天)의 삼천(三天). 곧 소정천(少淨天){{.cw}}무량정천(無量淨天){{.cw}}편정천(徧淨天). [참고어] 삼선천(三禪天)."</ref>
## '''제18유 3선유'''(三禪有) - [[6도]] 가운데 [[천상도]]에 속하는, [[제3정려]](第三靜慮) 즉 [[이희묘락지]](離喜妙樂地)의 [[천중 (불교)|천중]](天衆)들을 말한다. 즉, [[소정천]](少淨天){{.cw}}[[무량정천]](無量淨天){{.cw}}[[변정천]](遍淨天)의 3천의 [[천중 (불교)|천중]](天衆)들을 말한다.<!--
 
-->
# [[4선천]](四禪天){{sfn|佛門網|loc="[http://dictionary.buddhistdoor.com/word/30425/%E5%9B%9B%E7%A6%AA%E5%A4%A9 四禪天]". 2013년 6월 6일에 확인}}
## '''제19유 4선유'''(四禪有) - [[6도]] 가운데 [[천상도]]에 속하는, [[제4정려]](第四靜慮) 즉 [[사념청정지]](捨念淸淨地)에서 [[무상천]]과 [[5정거천]]을 제외한 나머지 [[하늘 (불교)|하늘]][天]들의 [[천중 (불교)|천중]](天衆)들을 말한다. 즉, [[4선천]]에 속한 [[천중 (불교)|천중]]들 중 [[무상유]]와 [[정거아나함유]]를 제외한 [[천중 (불교)|천중]]들을 말한다.
## '''제20유 무상유'''(無想有) - [[6도]] 가운데 [[천상도]]에 속하는, [[무상정]]을 닦은 [[외도 (불교)|외도]]나 [[범부]]가 태어나 받는 삶으로, [[색계]] [[4선천]](四禪天)의 [[무운천]](無雲天){{.cw}}[[복생천]](福生天){{.cw}}[[광과천]](廣果天){{.cw}}[[무상천]](無想天){{.cw}}[[무번천]](無煩天){{.cw}}[[무열천]](無熱天){{.cw}}[[선견천]](善見天){{.cw}}[[선현천]](善現天){{.cw}}[[색구경천]](色究竟天)의 9천 가운데 제4천인 [[무상천]]의 [[천중 (불교)|천중]](天衆)들을 말한다.{{sfn|제관 록|T.1931|loc=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46n1931_p0776a05 T46n1931_p0776a05 - T46n1931_p0776b21]. 고제와 25유}}{{sfn|고려대장경연구소|loc="[http://kb.sutra.re.kr/ritk/service/diction/dicView.do?popupYn=Y&dicId=2547 무상천 無想天]". 2013년 2월 2일에 확인|ps=<br>"무상천 無想天:
<br>ⓟ
<br>ⓣ’du shes med pa’i lha
226번째 줄:
<br>약어: 무상(無想)
<br>동의어: 무상계(無想界), 무상처(無想處), 무상유정천(無想有情天)"}}
## '''제21유 정거아나함유'''(淨居阿那含有) - [[6도]] 가운데 [[천상도]]에 속하는 [[정거천]](淨居天) 또는 [[5정거천]](五淨居天)의 [[천중 (불교)|천중]](天衆)들을 말한다. [[성문4과]] 중 제3과인 [[아나함과]]([[불환과]])를 [[증득]]한 [[성인 (불교)|성인]]이 태어나 받는 삶이다. 즉, [[색계]] [[4선천]](四禪天)을 이루는 [[무운천]](無雲天){{.cw}}[[복생천]](福生天){{.cw}}[[광과천]](廣果天){{.cw}}[[무상천]](無想天){{.cw}}[[무번천]](無煩天){{.cw}}[[무열천]](無熱天){{.cw}}[[선견천]](善見天){{.cw}}[[선현천]](善現天){{.cw}}[[색구경천]](色究竟天)의 9천 가운데 [[무번천]]{{.cw}}[[무열천]]{{.cw}}[[선견천]]{{.cw}}[[선현천]]{{.cw}}[[색구경천]]의 5천의 [[천중 (불교)|천중]](天衆)들을 말한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6%B7%A8%E5%B1%85%E5%A4%A9&rowno=2 淨居天(정거천)]". 2013년 6월 6일에 확인|ps=<br>"淨居天(정거천):
색계 제4선천(禪天). 불환과를 증득한 성인이 나는 하늘. 여기에는 무번천(無煩天)ㆍ무열천(無熱天)ㆍ선현천(善現天)ㆍ선견천(善見天)ㆍ색구경천(色究竟天)의 다섯 하늘이 있음. 5정거천과 같음."}}{{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6%B7%A8%E5%B1%85%E5%A4%A9&rowno=1 五淨居天(오정거천)]". 2013년 6월 6일에 확인|ps=<br>"五淨居天(오정거천):
【범】 Śuddhavāsa 수타발사(首陀跋娑)ㆍ슬타바사사(秫陀婆娑私)ㆍ수타수(首陀穗)라 음역. 오정거처(五淨居處)ㆍ오나함천(五那含天)ㆍ오불환천(五不還天)ㆍ오정거(五淨居)ㆍ정거(淨居)라 번역. 성자(聖者)가 거주하는 5종의 하늘. 색계 제사선천(色界第四禪天)에 9천(天)이 있는 중, 성문(聲聞) 제3과인 아나함과를 증득한 성자가 나는 곳. 무번천(無煩天)ㆍ무열천(無熱天)ㆍ선현천(善現天)ㆍ선견천(善見天)ㆍ색구경천(色究竟天)."}}{{sfn|佛門網|loc="[http://dictionary.buddhistdoor.com/word/55998/%E6%B7%A8%E5%B1%85%E5%A4%A9 淨居天]". 2013년 6월 6일에 확인|ps=<br>"淨居天:
267번째 줄:
 
# [[무색계 제1천]](無色界 第一天)
## '''제22유 공처유'''(空處有) - [[6도]] 가운데 [[천상도]]에 속하는, [[공무변처정]](空無邊處定) 즉 [[공무변처지]](空無邊處地)의 [[천중 (불교)|천중]](天衆)들을 말한다.<!--
 
-->
# [[무색계 제2천]](無色界 第二天)
## '''제3유 식처유'''(識處有) - [[6도]] 가운데 [[천상도]]에 속하는, [[식무변처정]](識無邊處定) 즉 [[식무변처지]](識無邊處地)의 [[천중 (불교)|천중]](天衆)들을 말한다.<!--
 
-->
# [[무색계 제3천]](無色界 第三天)
## '''제24유 불용처유'''(不用處有) - [[6도]] 가운데 [[천상도]]에 속하는, [[무소유처정]](無所有處定) 즉 [[무소유처지]](無所有處地)의 [[천중 (불교)|천중]](天衆)들을 말한다.<!--
 
-->
# [[무색계 제4천]](無色界 第四天)
## '''제25유 비상비비상처유'''(非想非非想處有) - [[6도]] 가운데 [[천상도]]에 속하는, [[비상비비상처정]](非想非非想處定) 즉 [[비상비비상처지]](非想非非想處地)의 [[천중 (불교)|천중]](天衆)들을 말한다.
 
==25유 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