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의식: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171번째 줄:
즉 [[대승불교]]에서는 [[마음 (불교)|마음]](즉 심왕, 즉 심법)이 1가지로 단일하며 [[심 (불교)|심]](心: 집기){{.cw}}[[의 (불교)|의]](意: 사량){{.cw}}[[심의식|식]](識: 요별)의 측면을 지니고 있다는 점에는 [[부파불교]]와 의견을 같이하지만, [[마음 (불교)|마음]](즉 심왕, 즉 심법)을 [[6식]]으로 나누는 [[부파불교]]와는 달리 [[마음 (불교)|마음]](즉 심왕, 즉 심법)을 [[8식]]으로 나누어야 한다는 견해를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대승불교]]에서는 제6식은 [[부파불교]]에서 사용하는 동일한 이름을 그대로 사용하여 [[육식|의식]](意識)이라 명명하지만, 제7식인 [[의 (불교)|의]](意)와 제8식인 [[심 (불교)|심]](心)에 대해서는 별도의 이름을 부여하여 각각 [[말나식]]과 [[아뢰야식]]이라 명명한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6742&DTITLE=%A4%DF%B7N%C3%D1 心意識]". 2012년 10월 3일에 확인}}
 
이를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부파불교]]에서는 [[마음 (불교)|마음]]을 [[심 (불교)|심]]{{.cw}}[[의 (불교)|의]]{{.cw}}[[심의식|식]] 또는 [[6식]]이라고 할 때, 본래부터 6가지의 서로 다른 [[마음 (불교)|마음]]이 있는 것이 아니라고 본다. [[마음 (불교)|마음]]은 본래 1가지로 단일한 것이지만 [[시각]]과 [[청각]]이 서로 다르듯이 그 인식의 종류에는 차별이 있는데 그 차별에 따라 [[6식]]으로 나누는 것이 편리하기에 그렇게 분류하는 것일 뿐이라고 본다. 즉 [[심 (불교)|심]]{{.cw}}[[의 (불교)|의]]{{.cw}}[[심의식|식]] 또는 [[6식]]의 [[자성 (불교)|체]](體)가 하나라고 본다.{{sfn|권오민|2003|p=67}}<ref>"오형근. 《월간불광》, 〈[http://www.bulkwang.co.kr/bbs/board.php?bo_table=ca_month&wr_id=11897&ho=125 유식학과 인간성: (3) 심의식(心意識)사상의 개요]〉. 불광출판사. 2013년 1월 19일에 확인.<br />"소승불교시대에 저술된 품류족론(品類足論)과 아비담심론(阿毘曇心論) 등에 의하면 『심(心)은 곧 의(意)이며, 의(意)는 또 식(識)으로서 그 체성(體性)은 서로 같으며 이름만 다를 뿐이다.』라고 하였다.
<br />
이에 의하면 소승불교시대에는 심의식(心意識)이라는 명칭이 서로 표현만 다를 뿐 그 체성은 동일한 것으로 보았으며 동시에 이러한 심의식 사상이 일반화 되었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전체 소승사상을 통해 본다면 인간의 심성은 그 체성이 각기 다르며 활동도 다르게 한다는 학설이 없지 않았다. 그러나 대체로 인간의 심체(心體)는 유일한 것이며 그 활동하는 작용만 다를 뿐이라고 주장한 학설이 대부분이었다. 그 대표적인 학설은 소승불교를 최종적으로 종합하여 정리하였다는 세친론사(世親, AD. 4세기)의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에 잘 나타나 있다.
<br />
아비달마구사론에 의하면 『심의식의 3가지 이름은 그 표현의 뜻이 비록 다르다 할지라도 그 체성은 유일하다<心意識三名 所 異 而體是一>』라고 하였다. 이에 의하여 소승불교는 우리 인간의 심체(心體)를 하나로 본 것이 지배적이었다고 볼 수 있다. "</ref> 이러한 이유로 [[설일체유부]]의 [[5위 75법]]의 [[법체계 (불교)|법체계]]에서 심법(心法)은 [[6식]]을 하나로 묶은 1가지의 [[법 (불교)|법]]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비해 [[대승불교]]의 [[유식유가행파]]에는 [[마음 (불교)|마음]] 즉 [[심 (불교)|심]]{{.cw}}[[의 (불교)|의]]{{.cw}}[[심의식|식]] 또는 [[8식]]의 [[자성 (불교)|체]](體)가 하나라는 [[심체일설]](心體一說) 또는 [[식체일설]](識體一說)의 견해와 [[심 (불교)|심]]{{.cw}}[[의 (불교)|의]]{{.cw}}[[심의식|식]] 또는 [[8식]] 각각에는 별도의 [[자성 (불교)|체]](體)가 있다는 [[심체별설]](心體別說) 또는 [[식체별설]](識體別說)의 견해가 있다. 전자의 [[심체일설]] 또는 [[식체일설]]은 [[안혜]] 계통의 [[무상유식파]](無相唯識派)의 견해이고, 후자의 [[심체별설]] 또는 [[식체별설]]은 [[호법]] 계통의 [[유상유식파]](有相唯識派)와 중국의 [[법상종]]의 견해이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23278&DTITLE=%C3%D1 識]". 2013년 1월 19일에 확인|ps=<br />"識: 梵語 vijñāna,巴利語 viññāna。音譯作毘闍那、毘若南。vijñāna 為 vi(分析、分割)與 jñāna(知)之合成語,乃謂分析、分類對象而後認知之作用。雖至後世時,心(梵 citta,巴同)、意(梵 mano,巴同)、識三語彙分別使用,然於初期時皆混合使用。依唯識宗之解釋,吾人能識別、了別外境,乃因識對外境之作用所顯現,故於此狀態之識稱為表識、記識(梵 vijñapti,音譯作毘若底)。<br />
 於大、小乘佛教皆立有六識說。六識各以眼、耳、鼻、舌、身、意等六根為所依,對色、聲、香、味、觸、法等六境,產生見、聞、嗅、味、觸、知之了別作用,此即眼識、耳識、鼻識、舌識、身識、意識等六種心識。喻如「六窗一猿」,六識之體為一,而起作用之門戶則六,概係六識說最初之意義。六識中,第六之意識稱為第六識,後世更賦予六識、意識、分別事識、四住識、攀緣識、巡舊識、波浪識、人我識、煩惱障識、分段死識等十名,稱為六識十名。<br />
 除以上六識外,唯識宗另舉末那識與阿賴耶識(即阿梨耶識),成立八識說。其中從眼識至身識之五識(與六識說相同),總稱為前五識。至第六意識,稱為前六識。至第七末那識(即第七識,或單稱七識),稱為前七識(或單稱七識)。前七識以阿賴耶識為所依,而緣各境轉起,故稱為七轉識或轉識。而前六識能清晰識別對象,故稱為了別境識。第七末那識稱思量識,第八阿賴耶識稱異熟識。據護法之唯識說,八識中第六與第七識具有執著虛妄之對象為我或為法之遍計性,故稱「六七能遍計」。而前五識與第八阿賴耶識因無我、法之執著,故稱此為「五八無執」。復次,印度之'''無相唯識派'''認為八識之體性皆同,故主張八'''識體一之說'''。但'''有相唯識派'''及'''唯識宗'''則謂其體性各別,而主張八'''識體別說''';且二識乃至八識同時並起,同時轉起(俱轉),稱為八識俱轉。然而,小乘有部宗等不主張二識並起,異於前說。<b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