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번뇌: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173번째 줄:
[[심소법]]에 속한 46가지 [[마음작용]] 가운데 이들 6가지 [[근본번뇌]]와 [[대선지법]](大善地法)에 속한 10가지 [[마음작용]]을 제외한 나머지 30가지 [[마음작용]]이 모두 수번뇌가 '''될 수 있다'''.
 
이들 30가지 마음작용 중 [[대지법]](10가지)에 속한 [[수 (불교)|수]](受){{.cw}}[[불교 용어 목록/삽#상|상]](想){{.cw}}[[불교 용어 목록/ㅅ#사|사]](思){{.cw}}[[촉 (마음작용불교)|촉]](觸){{.cw}}[[불교 용어 목록/온#욕|욕]](欲){{.cw}}[[불교 용어 목록/ㅇ#염|염]](念){{.cw}}[[작의|작의]](作意){{.cw}}[[불교 용어 목록/수#승해|승해]](勝解){{.cw}}[[불교 용어 목록/삼#삼마지|삼마지]](三摩地)의 9가지와 [[부정지법]](不定地法: 8가지)에 속한 [[심 (마음작용)|심]](尋){{.cw}}[[불교 용어 목록/ㅅ#사|사]](伺)의 2가지의 총 11가지의 [[마음작용]]들은 무엇과 [[상응]]하느냐에 따라 [[번뇌]](煩惱)가 되기도 하고 [[삼성 (불교)#선·불선·무기|선]](善)이 되기도 하는데, [[근본번뇌]]를 비롯한 [[번뇌]] 또는 [[삼성 (불교)#선·불선·무기|불선]](不善)과 [[상응]]한 경우에는 [[번뇌]]가 되므로 따라서 수번뇌가 되며 [[삼성 (불교)#선·불선·무기|선]](善)과 [[상응]]한 경우에는 [[번뇌]]가 아닌 [[삼성 (불교)#선·불선·무기|선]](善)이 된다. 이와는 달리, 30가지 [[마음작용]] 가운데 이들 11가지를 제외한 나머지 19가지 [[마음작용]]은 그 자체가 [[근본번뇌]]로부터 파생하여 생긴 [[번뇌]]이기 때문에 언제나 수번뇌이다. 이러한 이유로 《[[아비달마구사론]]》에서는 지말번뇌 또는 지말혹으로서의 수번뇌로 여기서 말한 19가지를 들고 있다.{{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22007&DTITLE=%C0H%B7%D0%B4o 隨煩惱]". 2013년 1월 5일에 확인|ps=<br />"隨煩惱: 梵語 upakleśā,巴利語 upakkilesa。指隨根本煩惱而起之煩惱。與「根本煩惱」相對稱。又作隨惑、枝末惑。據俱舍論卷二十一載,隨煩惱有二義:(一)指隨心生起而惱亂有情之一切煩惱。(二)指依根本煩惱而起之其他煩惱。書中共舉出十九種隨煩惱,並總括為三類,即:(一)大煩惱地法,指放逸、懈怠、不信、惛沈、掉舉。(二)大不善地法,指無慚、無愧。(三)小煩惱地法,指忿、覆、慳、嫉、惱、害、恨、諂、誑、憍等十種,及不定地法中之睡眠、惡作。<br />
 據成唯識論卷六載,隨煩惱指根本煩惱之六大惑以外的二十種法,可分為三類,故又稱「三隨煩惱」。即:(一)小隨煩惱,相對於俱舍論之小煩惱地法而立,指忿、恨、覆、惱、嫉、慳、誑、諂、害、憍等十種;此十種煩惱各別而起,故稱小隨煩惱。(二)中隨煩惱,相對於俱舍論之大不善地法而立,指無慚、無愧;此二種煩惱遍於一切之不善心,稱為中隨煩惱。(三)大隨煩惱,相對於俱舍論之大煩惱地法而立,指掉舉、惛沈、不信、懈怠、放逸、失念、散亂、不正知等八種;此八種煩惱遍於一切染污心,而輾轉與小、中隨煩惱俱生,故稱大隨煩惱。〔大乘阿毘達磨雜集論卷三、品類足論卷一、成實論卷十隨煩惱品、瑜伽師地論卷五十五、華嚴經疏鈔卷三十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