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용어 목록 (선):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140번째 줄:
논하여 말한다. '''오직 선(善)으로서 심왕과 함께하는 것'''을 선심소라고 이름한다. 신(信){{.cw}}참(慚) 심소 등 반드시 열한 가지가 있다.<br><sup style="color: blue">2)</sup> 무탐(無貪){{.cw}}무진(無瞋){{.cw}}무치(無癡)의 심소를 세 가지 선근[三善根]의 심소라고 한다."}}{{sfn|황욱|1999|p=54. 선심소(善心所)|ps="‘善心所’란 善心 중에서만 일어나는 一類의 심소를 의미하는 것으로"}}<ref name="한국민족문화대백과-유식사상">한국학중앙연구원 (1996). 《한국민족문화대백과》,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39428&categoryId=1620 유식사상(唯識思想)]". 네이버 지식백과. 2012년 10월 22일에 확인.<br>"선심소는 착한마음에서 작용하는 것을 뜻하며 11종의 작용이 있다."</ref> 보다 정확히 말하면, 그 성질이 [[자성선]](自性善) 또는 [[상응선]](相應善)이면서 [[4일체]](四一切)의 기준에서 보았을 때 같은 성격을 가진 [[마음작용]](심소법)들의 그룹을 말한다. [[불교]]에서 [[삼성 (불교)#선·불선·무기|선]](善)이란, [[부파불교]]에서는 결과를 기준으로 보아서 편안하고 즐거운 과보[樂報]를 받을만한 것을 [[삼성 (불교)#선·불선·무기|선]](善)이라고 하며, [[대승불교]]에서는 현재{{.cw}}미래에 걸쳐 자기와 남을 순익(順益)하는 것을 말한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84%A0&rowno=1319 善(선)]". 2012년 10월 22일에 확인}} 순익(順益)에서 순(順)은 '편안하게 하다, 안락하게 하다, 도리(道理)에 따르게 하다'의 뜻이며,<ref>"[http://hanja.naver.com/small/hanja?q=%E9%A0%86 順]", 《네이버 한자사전》. 2012년 10월 22일에 확인</ref> 익(益)은 {{nowrap|'이롭게 하다,}} 돕다, 넉넉하게 하다, 향상되게 {{nowrap|하다'의}} 뜻이다.<ref>"[http://hanja.naver.com/small/hanja?q=%E7%9B%8A 益]", 《네이버 한자사전》. 2012년 2012년 10월 22일에 확인</ref>
 
[[유식유가행파]]와 [[법상종]]에 따르면, [[믿음 (불교)|신]](信, {{lang|sa|[[:en:sraddhā|<span style="color: black">sraddhā</span>]]}}){{.cw}}[[불교 용어 목록/정#정진|정진]](精進, {{lang|sa|[[:en:vīrya|<span style="color: black">vīrya</span>]]}}){{.cw}}[[불교 용어 목록/ㅊ#참|참]](慚, {{lang|sa|[[:en:hrī|<span style="color: black">hrī</span>]]}}){{.cw}}[[불교 용어 목록/경#괴|괴]](愧, {{lang|sa|[[:en:apatrāpya|<span style="color: black">apatrāpya</span>]]}}){{.cw}}[[불교 용어 목록/무#무탐|무탐]](無貪, {{lang|sa|[[:en:alobha|<span style="color: black">alobha</span>]]}}){{.cw}}[[불교 용어 목록/무#무진|무진]](無瞋, {{lang|sa|[[:en:adveṣa|<span style="color: black">adveṣa</span>]]}}, {{lang|sa|[[:en:apratigha|<span style="color: black">apratigha</span>]]}}){{.cw}}[[불교 용어 목록/무#무치|무치]](無癡, {{lang|sa|[[:en:amoha|<span style="color: black">amoha</span>]]}}){{.cw}}[[불교 용어 목록/경#경안|경안]](輕安, {{lang|sa|[[:en:praśrabdhi|<span style="color: black">praśrabdhi</span>]]}}){{.cw}}[[불방일|불방일]](不放逸, {{lang|sa|[[:en:apramāda|<span style="color: black">apramāda</span>]]}}){{.cw}}[[행사불교 (마음작용)용어 목록/ㅎ#행사|행사]](行捨, {{lang|sa|[[:en:upekṣa|<span style="color: black">upekṣa</span>]]}}){{.cw}}[[불교 용어 목록/불#불해|불해]](不害, {{lang|sa|[[:en:ahiṃsā|<span style="color: black">ahiṃsā</span>]]}})의 11가지 [[마음작용]]이 [[선심소]]를 구성한다.{{sfn|세친 조, 현장 한역|T.1614|loc=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1n1614_p0855b27 T31n1614_p0855b27 - T31n1614_p0855b29]. 선심소(善心所)|ps=<br>"三善十一者。一信二精進。三慚四愧。五無貪六無嗔七無癡。八輕安九不放逸十行捨十一不害。"}}{{sfn|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T.1585|loc=제6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1n1585_p0029b17 T31n1585_p0029b17 - T31n1585_p0029b22]. 선심소(善心所)}}{{sfn|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K.614, T.1585|loc=제6권. p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897&startNum=283 283-284 / 583]. 선심소(善心所)}}{{sfn|황욱|1999|pp=53-59}}
 
==선자타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