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심소: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잘못된 넘겨주기 삭제를 위한 링크 정리
352번째 줄:
====흔 (기뻐함)====
 
* [[흔 (불교) 용어 목록/ㅎ#흔|흔]](欣): 기뻐함{{sfn|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T.1585|loc=제6권. p.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31n1585_p0030c10 T31n1585_p0030c10 - T31n1585_p0030c12]. 무진을 본질로 하는 경우|ps=<br>"欣謂欲俱無瞋一分。於所欣境不憎恚故。不忿恨惱嫉等亦然。隨應正翻瞋一分故。"}}{{sfn|호법 등 지음, 현장 한역, 김묘주 번역|K.614, T.1585|loc=제6권. p.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897&startNum=297 297 / 583]. 무진을 본질로 하는 경우|ps=<br>"기뻐함[欣]이라는 것은 욕(欲)심소와 함께하는 무진심소의 일부이다. 기뻐하게 된 대상에 대해서 증오나 성냄이 없기 때문이다. 분노하지 않음, 원한을 품지 않음, 고뇌하지 않음, 질투하지 않음 등도 역시 그러하다.<sup style="color: blue">79)</sup> 상응한 바에 따라서 바로 진(瞋)심소의 일부에 정반대이기 때문이다.<br><sup style="color: blue">79)</sup> 분노하지 않음[不忿], 원한을 품지 않음[不恨], 고뇌하지 않음[不惱], 질투하지 않음[不嫉] 등은 분노[忿]{{.cw}}원한[恨]{{.cw}}고뇌[惱]{{.cw}}질투[嫉] 등의 심소를 뒤집어 정반대로 건립된 것인데, 어느 것이나 모두 무진(無瞋)심소의 일부이다."}}
** [[무기성]](無記性)의 [[불교 용어 목록/온#욕|욕]](欲)과 함께하는 [[불교 용어 목록/무#무진|무진]](無瞋)을 본질로 함
** 기뻐하는 것은 [[불교 용어 목록/온#욕|욕]](欲)에 속하지만, 기뻐하게 된 대상[所欣境]에 대해서는 증오[憎]나 성냄[恚]을 가지지 않으므로 [[불교 용어 목록/무#무진|무진]](無瞋)에 속한 것이기도 함
** 즉, [[흔 (불교) 용어 목록/ㅎ#흔|흔]](欣)은 [[무기성]](無記性)의 [[불교 용어 목록/온#욕|욕]](欲)이 [[선근]](善根)과 [[자성선]](自性善) 중의 하나인 [[불교 용어 목록/무#무진|무진]](無瞋)과 [[상응]]하여 [[삼성 (불교)#선·불선·무기|선]](善)이 된 것으로, 따라서 [[흔 (불교) 용어 목록/ㅎ#흔|흔]](欣)은 [[상응선]](相應善)임
** 요컨데, [[불교 용어 목록/ㅎ# (불교)|흔]](欣)하게 된 대상[所欣境]에 대해 [[마음 (불교)|마음]](8식, 즉 심왕, 즉 심법)은 증오[憎]나 성냄[恚]을 가지지 않으므로 [[불교 용어 목록/ㅎ# (불교)|흔]](欣)은 [[불교 용어 목록/무#무진|무진]](無瞋)의 특수한 경우[一分]임
 
====불분 (분노하지 않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