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가관위: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문단 이름 변경 (주석 → 각주)
大夫 는 '다이부' 로 발음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7번째 줄:
 
== 센고쿠 시대에서 아즈치 모모야마 시대에 이르기까지 ==
[[센고쿠 시대]](戦国時代)에 이르러 막부의 권력은 약해졌고, 다이묘(大名)가 직접 조정과 교섭해 관위를 받는 직주(直奏) 사례가 증가하게 되었다. 재정적으로 몹시 궁핍했던 조정에 다이묘들은 막대한 헌금을 바치며 관위를 요청했고, 조정도 그 헌금을 받고 무가의 가격(家格)보다도 훨씬 높은 관위를 발급해 주기도 했다. 이를테면 사쿄노다이후사쿄노다이부(左京大夫)는 다이묘 가운데서도 시시케(四職) 집안에게밖에 허용되지 않던 것이 센고쿠 시대에는 지방의 소규모 다이묘들에게까지 주어지게 되었으며, 때로는 복수의 다이묘들이 같은 시기에 사쿄노다이후로 임명되는 일까지 벌어졌다. [[스오 국|스오]](周防)를 중심으로 사이고쿠(西國)의 패권을 장악한 [[오우치 요시타카]](大内義隆)는 거액의 헌금을 배경으로 최종적으로는 종2위 병부경(兵部卿)이라는 어마어마한 지위의 관위를 얻기에 이른다.
 
관위는 권위 뿐만 아니라 영지 지배의 정당성이나 전투의 대의명분으로써도 쓸모가 있었다. 오우치 씨가 쇼니 씨(少弐氏)에 저항하기 위해 조정에 다자이노다이니(大宰大弐)<ref>다자이후의 최고 책임자인 다자이노소치(大宰帥) 바로 아래에 위치한 수석 차관직.</ref>를 요구한 것이나, 미카와 국(三河国)의 지배를 정당화하기 위해 오다 노부히데(織田信秀), [[이마가와 요시모토]](今川義元), [[도쿠가와 이에야스]](徳川家康) 모두 해당 구니의 카미(守)직을 조정에 요구한 사례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