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 체조: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틀 이름 및 스타일 정리
박이별 (토론 | 기여)
잔글 거의 띄어쓰기 수정한 것
1번째 줄:
'''기계 체조'''(器械體操, {{문화어|예술체조}})는 기계를 사용하는 모든 예술적 체조를 칭한다. 근력, 지구력, 유연성, 민첩성, 평형감각을 이용해 제한 시간내에시간 내에 많은 기술을 사용해야하며사용해야 하며 미적 표현력을 가지고 아름다운 기술을 뽐내야 한다.
 
남자는 [[마루운동]], [[안마 (체조)|안마]], [[링 (체조)|링]], [[도마 (체조)|도마]], [[평행봉]], [[철봉]]의 6종목으로 구성되어 있고, 여자는 [[마루운동]], [[평균대]], [[이단평행봉]], [[도마 (체조)|도마]] 4종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종목별 경기와 함께 이를 바탕으로 한 단체종합과 개인종합으로 나뉜다.
 
고대 이집트에서 시작했으나 현대적 의미의 기계체조는기계 체조는 [[1896년 하계 올림픽]]에서 시작했고 그 후 [[국제올림픽위원회]](IOC)의 주관으로 4년마다4년 마다 개최하는 국제 스포츠대회인 [[올림픽]]의 한 종목으로 자리잡고 있다. 또한 올림픽이 개최되는 년도를연도를 제외하고 매년 [[국제 체조 연맹]](FIG) 주관하는 [[세계 체조 선수권대회]]를 개최하고 있다. 그 밖에 2년마다 개최 되는개최되는 [[유니버시아드 대회|하계 유니버시아드 대회]]의 한 종목으로도 존재한다.
 
== 명칭 ==
33번째 줄:
[[파일:Jade Barbosa, floor routine, 2007.jpg|thumb|left|250px]]
 
선수들은 헝겊으로 덮인 [[국제 체조 연맹]]에서 공인규격으로 인정되고 있는 사방 12m² 길이의 [[탄력]]을 가진 마루 위에서 여러 가지 동작을 연기한다. 유연성, 힘, 도약, 자세유지, 균형의 요소를 결합한 동작과 그 밖에 여러 가지 묘기를 보여야 한다. 처음부터 끝까지 율동적이어야 하고 동작과 동작이 조화를 이루어야 하며, 선수는 배정된 구역을 최대한 이용하여 여러 방향으로 움직여야 한다. 대개 옆으로 재주 넘기에 이어 앞이나 뒤로 손 짚고 재주 넘기와 공중제비를 하는 일련의 동작으로 시작하여 끝난다. 한 발로 균형잡기, 두 손으로 마루를 짚고 다리를 벌려 [[물구나무]]서기, [[발레]]와 비슷한 동작, 재주 넘기, 도약을 연기 사이사이에 끼워 넣는다. 선을 밟거나 벗어나면 감점이 된다.
 
기술로는 구르기 분야로서 앞구르기, 뒤구르기, 옆구르기 등이 있고, 돌기 분야로서 손짚고 앞돌기, 손짚고 옆돌기, 손짚고 뒤돌기 등이 있고, 공중돌기 분야로서 앞공중돌기, 뒤공중돌기, 옆공중돌기, 몸펴뒤공중돌기와 이 밖에 특기기술 등이 있다. 구성과 운동에서 불필요한 반복, 재주 넘기의 거리가 먼 도움닫기는 피해야하며 정지기술은 2회까지 허용되며 시간은 2초로 정하고 있다. 남자 마루운동은 덤블링이 중심이고, 그 밖에 여러 동작이 합해져서 연기가 구성된다.
48번째 줄:
현재 국제체조경기에서 사용하는 안마는 겉에 가죽이 씌워져 있으며, 길이가 1.6m, 폭이 34~36㎝이고 한가운데의 받침대를 포함해 바닥에서 꼭대기까지의 높이가 약 110㎝이며 구부러진 나무로 만든 높이 12㎝의 손잡이(안장머리) 2개가 말(안마) 위에 40~45㎝의 간격을 두고 끼어져 있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체조선수는 두 손으로 말 위에 있는 손잡이를 잡고 균형을 유지하면서, 한 다리나 두 다리를 빙빙 돌리거나 두 다리를 가위처럼 교차시키는 등 몸통과 다리를 쉬지 않고 움직인다. 이런 움직임과 더불어 몸의 방향을 바꾸고 손의 위치를 말의 앞쪽(목)과 가운데(안장)와 뒤쪽(엉덩이)으로 계속 바꾸어야 한다. 동작을 다양하게 변화시키고, 왼쪽과 오른쪽으로 동작의 방향을 바꾸는 것도 필요하다.
 
경기시 주로 사용되는 기술로서는 다리엇갈리기, 선회돌기, 틀어옮기기, 들어옮기기 등의 기술이 있다. 경기시 연기의 구성에 유의해야 할 사항은 진동과 선회에서 정지하지 않고 실시해야 하며, 발엇갈리기의 바로와 반대 동작을 구사하여야 하며, 안마의 세 부분을 반드시 적절히 사용해야 한다. 또한 모든 동작은 반드시 스윙과 함께 이루어져야 하며, 경기도중경기 도중 아주 경미한 중단도 있어서는 안 된다. 힘기와 버티기 동작을 해서는 안 된다.
 
==== 링 ====
60번째 줄:
9세기 초부터 뜀틀과 안마 운동의 연습용 기구인 평행봉의 활용법을 1811년 독일의 얀이 개발함으로써 하나의 운동 종목이 되었다. 평행봉 운동은 어깨·팔·가슴의 근력을 발달시키고, 정확한 동작, 아름다운 자세 등과 함께 주의력·침착성 등도 향상된다.
 
평행봉 운동은 팔로 지지한 상태에서 진동을 이용한 동작과 또는 매달린 상태에서의 진동을 이용한 동작을 통해서 행하여진다. 42~48㎝의 간격을 두고 나란히 세워져 있는 2개의 나무봉은 절단면이 지름 5㎝의 타원형이며, 길이 3.5m, 높이 1.7m으로서 국제 체조 연맹에서 공인규격으로 인정한 것이다. 봉의 높이와 폭은 경우에 따라 조정이 가능하다. 시합에 임하는 선수들은 몸 흔들어 움직이기, 도약, 힘, 균형 등을 보여야 한다. 특히 흔들기와 도약이 가장 중요한 내용이다. 봉 아래에서의 움직임, 봉을 놓았다가 다시 잡기 등도 경기내용에경기 내용에 반드시 포함된다. 정지기술로서는 물구나무서기나 엘자버티기 등으로 주로 [[상지대]] 근력을 사용해서 행하는 운동이다. 경기 기술은 자세유지영역과 진동영역으로 구분된다.
 
2개의 봉을 이용하여 돌기·흔들기·물구나무서기 등의 동작을 연속적으로 연기한다. 즉, 흔들기를 중심으로 하는 기술, 두 손을 떼고 하는 기술, 정지기술, 힘을 나타내는 기술 등을 복합시켜서 구성한다. 연기의 대부분은 흔들기를 중심으로 하는 기술과 두 손을 떼고 하는 기술이어야 하며, 연기 중에 적어도 하나는 힘을 나타내는 기술과 봉 위 또는 아래서, 두 손을 떼고 하는 B난이도의 기술을 구사해야 한다. 정지 기술은 2회 이내로 하는데, 대부분의 기술이 물구나무서기에서 시작되므로 강한 근력이 요구된다.
70번째 줄:
1813년 독일의 얀이 자기가 경영하는 하젠하이데의 체조장에서 수평봉을 만들어 시작한 것이 철봉 운동이다. 매달리는 힘이 중심으로, 매달려 흔들기, 돌기 운동이 기본 동작이다. 이 운동을 하면 매달리는 힘과 팔·어깨·가슴 부위의 근육이 발달된다.
 
철봉운동은 철봉에 매달린 자세에서 진동을 이용하여 행하는 운동으로 기계체조종목기계체조 종목 가운데 가장 불안한 요소를 가지고 있으며, 기술이 다양하여 관중의 입장에서 관전하기에는 흥미있는 종목이다. 세계 체조 협회에서 [[1975년]] [[1월 1일]]에 규정한 철봉은 광택이 나는 강철로 되어 있으며 지름 2.7㎝, 길이 2.35~2.5m이고, 높이는 바닥에서 약 2.5m으로서 계속 사용하고 있다. 선수들은 대개 손 보호대를 착용하고 규정 경기시간은 15~30초이다. 경기내용에 포함되는 운동은 철봉에 매달려 있다가 봉 위로 몸을 들어 올려 지탱하는 업스타트, 물구나무 선 자세에서 팔을 쭉 뻗은 채 몸을 봉 주위로 돌리며 손을 서로 교차시키거나 봉에서 떼었다가 방향을 바꾸는 휘돌기, 양손을 봉에서 떼어 봉 위로 도약했다가 다시 봉을 잡는 운동 등이다. 마무리는 양다리를 벌리고 봉을 뛰어넘거나, 앞 또는 뒷방향으로 공중제비 돌며 착지하는 것이다.
 
기술의 분류는 철봉에 손을 잡는 방향에 따라 다르게 되는데, 잡기의 명칭으로는 바로잡기·엎어잡기·엇걸어잡기·한손엎어잡기·틀어잡기 등이 있으며, 기술로는 차오르기·흔들어오르기·앞뒤크게 휘돌기 등이 있다. 구성상 유의해야 할 점은 진동기술과 크게 휘돌기의 방향전환, 틀기기술, 양손을 철봉에서 놓았다가 다시잡는 기술이 포함되어 시작에서부터 착지시까지 멈추지 않고 동작이 연결되어야 한다.
89번째 줄:
== 경기 방식 ==
* '''단체 종합 예선'''
:단체 종합 예선은 1팀에서 최대 6명중6명 중 각 종목 1명씩 5명이 경기를 펼쳐, 상위 4명 득점의 합계를 가지고 순위를 매긴다.
* '''단체 종합 결승'''
: 단체 종합 예선은 1팀에서 최대 6명중6명 중 각 종목 1명씩 3명이 경기를 펼쳐, 총점을 더한 값을 가지고 순위를 매긴다.
* '''개인 종합'''
:개인 종합은 단체 종합 예선의 개인 종합 성적의 상위 성적자가 남자는 6종목, 여자는 4종목의 경기를 펼쳐 그 합계 득점을 가지고 순위를 매긴다.
99번째 줄:
== 경기 규칙 ==
경기의 규칙은 국제 체조 연맹의 결정에 따라 규칙이 정해지며 각지에서 개최되는 대회에는 쥬니어 규칙등 많은 로컬 규정도 존재하지만 기본적으로는 모두 같다고 보아야한다.
 
• 채점<ref>{{서적 인용|url=|제목=고등학교 운동과 건강 생활|성=양재근 외 7명|이름=|날짜=|출판사=씨마스|확인날짜=}}</ref>
 
단체 경기는 각각 1명씩 실시하여 팀원 전체 점수를 합산한다.
 
30초 이내의 너무 짧은 연기는 5.0점의 감점을 받는다.
 
경기 종목 필수 요소는 도마를 제외하고 남자는 10개 요소, 여자는 8개 요소가 포함되어야 한다.
 
• 감점
{| class="wikitable"
|마루 운동
|한 발 또는 한 손이 마루 공간 밖에 닿을 경우
 
양발 또는 양손, 신체 일부가 마루 공간 밖에서 착지할 경우
 
규정연기 시간이 모자라거나 초과했을 경우
|-
|도마 운동
|물구나무서기 자세가 수직이 되지 않을 경우
 
공중 돌기 시 다리가 벌어지는 경우
 
착지 시 라인을 이탈한 경우
 
도움닫기 거리 25m를 위반한 경우
|-
|철봉 운동
|봉에 오를 때 다리가 벌어지거나 굽혀질 경우
 
일시적으로 동작이 정지할 경우
 
동작의 크기가 작거나 팔이 굽혀진 경우
|-
|평균대
|평균대에서 떨어지려고 할 때 평균대에 손을 짚을 경우
 
연기 제한 시간 90초를 초과했을 경우
 
30초 이내의 짧은 연기를 했을 경우
|}
 
== 채점 ==
채점규칙이 제정된 이후 올림픽을 주기로 매 4년마다 변경되어 왔으며 채점규칙을 근거로 기계체조 연기를 평가해왔으나 [[2005년]]까지 10점 만점제도틀은 바뀌지 않고 계속 유지해왔다. 그러나 선수들의 연기수준이 평준화되면서 채점규칙에 변별력이 부족하다는 평가를 하게 됨에 따라 [[2006년]]부터 10점 만점제도가 폐지되고 기록경기제도로 변경되었다. 예컨대 최종점수를 산출하는 방식은 '''A점수(난도점수)+B점수(감점점수)=최종점수'''이다. 현재까지 최종 점수가 16.500 이상이 나오게되면 상위점수이며, 아직까지 17점대가 나온 적이 없다. 이런 방식에 대해 반대하는 입장에서는 어려운 기술만 난무하게 되어 기계체조에만 느껴지는 아름다움이 손상될지도 모른다고 주장한다. 그러므로 [[2008년 하계 올림픽]] 이후 채점규칙이 어떤 방식으로 변경되어야 할지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 체조 주관 기관 ==
줄 160 ⟶ 201:
== 대중문화 ==
=== 영화 ===
대부분 기계체조 관련 영화는 [[미국]] [[할리우드]] [[영화]]에 치우쳐져 있다. 거의 모든 기계체조 관련 영화가 주인공이 역경을 이겨내고 성공하는 내용을 담은 것으로서 [[1986년]]작인 〈American Anthem(불타는 도전)〉, [[2006년]]작인 〈Peaceful Warrior(평화로운 전사)〉, [[2006년]]작인 〈Stick It(스틱잇)〉 모두 그렇다. [[1986년]]에 개봉한 〈짐카타(Gymkata)〉는 주인공 본래의 직업인 기계체조 선수를 조명하기보다는 적의 음모를 막는 부분에 초점을 맞췄기 때문에 정확히 기계체조 영화라고 볼 수는 없다.
 
=== 문학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