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 (성씨):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Wind2539 (토론 | 기여)
24번째 줄:
 
==맑을 설 偰==
중국에서는 설을 주로 설(薛)로 적는다. 고대 [[설연타]]라는 부족이 있었는데, 부족 이름을 따서 성으로 삼은 것이며, 설자의 경우 薛, 偰는 고대에 공용으로 사용되었다. 설연타는 [[셀렝가 강]] (薛延河江, 偰輦河江)에 시작되어 부족 이름이 되었다.
설(偰)씨의 시조는 [[원나라]] 태부 '''설극직'''(偰克直)의 6세손 '''설문질'''(偰文質)이다. 그의 손자 '''설손'''(偰遜)은 [[홍건적의 난]]을 피해 고려에 귀화하였다. '''설극직'''(偰克直) 선조는 원래 [[위구르족|위구르 사람]]으로 몽골과 러시아 국경 지역에 있는 [[설련하]](偰輦河, [[셀렝가]] 강) 근처에서 살았으므로 '''설'''(偰)씨가 되었다고 한다. 偰 대신 楔로 쓰기도 한다. 본관은 [[경주 설씨]]이다.
 
[[위구르]][回鶻] 사람이 [[설련하]](偰輦河)에서 살았기 때문에 설(偰)로 성씨를 삼았다. [[원나라]] 태부 '''설극직'''(偰克直)의 6세손 '''설문질'''(偰文質)이 원나라에서 참지정사를 지냈고, 설문질의 손자 '''[[설손]]'''(偰遜, ? ~ [[1360년]])은 순제(順帝) 때 진사시(進士試)에 급제해 한림응봉문자(翰林應奉文字)·선정원단사관(宣政院斷事官)을 지내고 단본당(端本堂) 정자(正字)로 선발되어 황태자(皇太子)에게 경서를 가르쳤다. 그러나 승상 카마[哈麻]가 그를 꺼렸기 때문에 단주(單州 : 지금의 산동성 챤현[單縣]) 수령으로 나갔다가 부친상을 당하자 대령(大寧)에서 우거했다. 홍건적이 대령을 침범하자 1358년(공민왕 7)에 병란을 피하여 [[고려]]로 왔다. 왕이 원나라에 있을 때 황태자를 단본당(端本堂)에서 시종하면서 설손과 구면이 있었으므로 그를 크게 후대했다. 집을 하사하고 고창백(高昌伯)으로 봉하였다가 부원후(富原侯)로 다시 봉하고 부원(富原)에 농토를 하사하였다. 9년()에 죽었으며 그의 저술인 『근사재일고(近思齋逸藁)』가 간행된 바 있다. 아들은 [[설장수]](偰長壽)·[[설연수]](偰延壽)·[[설복수]](偰福壽)·[[설경수]](偰慶壽)·[[설미수]](偰眉壽)이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671998&cid=49632&categoryId=49632&expCategoryId=49632 『고려사』 권112, 열전25]</ref>
 
[[설손]]의 맏아들 [[설장수]](偰長壽)는 서역인(西域人) 출신이기 때문에 왕의 특명으로 [[1362년]] 문과에 급제해 판전농시사(判典農寺事)와 밀직제학(密直提學)을 역임하고, 완성군(完城君)에 봉해졌으며 추성보리공신(推誠輔理功臣)에 녹권되었다. 1387년(우왕 13) 지문하부사(知門下府事)로 명나라에 다녀오고, 1389년(창왕 즉위년) 정당문학(政堂文學)으로 우왕(禑王) 손위(遜位)의 표문(表文)을 가지고 다시 명나라에 다녀왔다. 공양왕을 세울 때 모의에 참여, 공이 있었으므로 1390년(공양왕 2) 충의군(忠義君)에 봉해졌고,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로 승진하였다. 이듬해 정난공신(定難功臣)의 호를 받았고, 1392년 판삼사사(判三司事)로서 지공거(知貢擧)를 겸하였다. 이 해 정몽주(鄭夢周)가 살해될 때 일당으로 지목되어 해도(海島)에 유배되었다. 조선이 건국된 뒤 태조(太祖)의 특명으로 1396년(태조 5) 검교문하시중(檢校門下侍中)에 복직되고, 계림(鷄林)을 본관으로 받고 연산[[부원군]](燕山府院君)에 봉해졌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575335&cid=46621&categoryId=46621 『고려사』 권112, 열전25]</ref> 시호는 문량(文良)이다.
 
[[설손]]의 넷째 아들 [[설경수]](偰慶壽) 1376년(우왕 2) 문과에 급제하였고, 「[[천상열차분야지도]](天象列次分野之圖)」의 글씨를 썼다. [[설경수]]의 아들 [[설순]](偰循)은 1427년 문과에 급제하여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를 지냈다.
 
[[설손]]의 [[설미수]](偰眉壽)는 1407년 참지의정부사로 재직 중 둔전제(屯田制)의 실시를 건의하여 실행하게 하였고, 호조와 공조의 판서를 거쳐, 1410년 예조판서, 이듬해 검교판한성부사(檢校判漢城府事)를 지냈으며, 1414년 다시 예조판서를 거쳐 검교우참찬(檢校右參贊)에 이르렀다. 시호는 공후(恭厚)이다.
 
설(薛)씨는 한자를 卨(사람이름 설) 또는 楔(문설주 설)을 쓰기도 하는데, 동일 성씨이며 한자만 다르다. 본래는 맑을 설(薛)이었는데 卨 또는 楔 자를 혼용한 경우라고 한다. 특히 偰 자가 한글 완성형코드에 들어 있지 않기 때문에 楔 자를 대신 사용한 것이라고 한다.
 
다른 [[위구르족]] 성본으로는 [[덕수 장씨]], [[임천 이씨]]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