콤바인: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문단 이름 변경 (주석 → 각주)
메이 (토론 | 기여)
각주 수정. {{각주}} 틀로 바꿈.
4번째 줄:
[[파일:Rice-combine-harvester,katori-city,japan.JPG|섬네일|벼를 수확중인 콤바인]]
[[파일:CAT combine harvester.jpg|섬네일|[[오스트레일리아]] [[뉴사우스웨일스 주]]에서 수확 중인 42 피트 대형 콤바인]]
예취부, 탈곡부, 주행부로 구성되어 있다. 콤바인은 맥류가 주 대상인 보통형(서양형)과 벼의 특성에 맞게 [[일본]]에서 개발된 자탈형 콤바인으로 구별할 수 있다. <ref>{{저널 인용 |저자 저자1=서신원, | 저자2=이상우, | 저자3=허윤근 | 날짜=2006.-12, | 제목=공급률 및 탈곡통 길이 변화에 따른 자탈형 콤바인 탈곡 성능 | 저널=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 권=33 | 호=2 | issn= | url= <!--url없이 사용됨. | 형식=농업과학연구 | 확인날짜=2013-01-18 --> }}</ref>
 
벼 수확은 보통 수분함량 18 ~ 28 퍼센트 범위에서 이루어진다.
예전에 [[낫]]으로 수확된 [[벼]]는 햇볕에 말렸다가, 탈곡을 하고 오랜시간 말린 다음 수분 함량이 14 퍼센트 아래가 되면 수매하거나 저장을 시작했다.<ref>{{저널 인용 |저자 저자1=李浩鎭, | 저자2=徐鐘許, | 저자3=李殷雄 | 날짜=1990.6,-06 | 제목=벼 品種의 콤바인 水穫과 乾燥방법에 따른 米粒質의 變化 | 저널=한국작물학회 | 권=35 | 호=3 | issn= | url= <!--url없이 사용됨. | 형식=학회지 | 확인날짜=2013-01-18 --> }}</ref>
 
수확된 벼는 [[폴리프로필렌]] 재질 40 [[킬로그램]] 포대나 벌크 백(톤백 )에 담아 RPC로 운반되어 건조된다. 벌크백은 500, 750, 1,000 킬로그램 등이 쓰인다.<ref>{{저널 인용 |저자 저자1=이춘기 ,| 저자2=윤종탁 ,| 저자3=송진 ,| 저자4=정응기 ,| 저자5=이유영 ,| 저자6=김욱한 | 날짜=2010.-12, | 제목=벌크 백 수확 벼의 건조대기 시간 중 온ㆍ습도 변화양상 구명 | 저널=한국작물학회 | 권=55 | 호=4 | issn= | url= <!--url없이 사용됨. | 형식=학회지 | 확인날짜=2013-01-18 --> }}</ref>
 
== 각주 ==
{{각주}}
<references/>
 
== 함께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