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 로마: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38번째 줄:
{{본문|로마 공화정}}
 
[[에트루리아]]가 [[캄파니아]]에서 패배하고, 라티움인들이 반란을 일으키며, 게다가 산지 종족들이 라티움(latium)을 침공하는 등 몇 차례에 걸친 군사적 패배로 로마에 사회·정치적 위기가 일어나면서 왕정이 몰락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ref name="hp108">M.하이켈하임, p.108.</ref> 그러나 여러 학자들은 연대 목록(fasti)에 기록된 기원전 509~507년을 왕정 몰락의 시점으로 보기도 한다.<ref name="hp108"/> 초기에는 군사 위원회 (military tribune)에 의한 공동통치의 형태였다가 독재관을 자주 선출하는 문제가 생기자 2명의 집정관 제도로 바꾸었다. 로마의 정체는 견제와 균형, 권력 분점으로 구성된다. 가장 중요한 정무관은 두 [[집정관]]으로 군사 통솔권인 명령권(imperium)을 통해 집행 권력을 함께 행사했다.<ref>애드킨스, 1998년. pp.41-42.</ref> 집정관직은 오랜 기간의 실험과 발전을 거친뒤에야 비로소 정착된 것으로 보이며, 기원전 5세기 중엽쯤에는 공화정의 고위 정무관직을 집정관이라 하였다.<ref>M. 하이켈하임, pp.108~109.</ref> 집정관은 원래 [[로마의 귀족|귀족]]들의 자문 회의였던 [[원로원]]과 협조했는데, 시간이 지나면서 원로원은 양적으로 확대되었다.<ref>[http://www.wsu.edu/~dee/ROME/REPUBLIC.HTM 로마: 로마 공화정] 리차드 후커(Richard Hooker)가 씀. 워싱턴 주립 대학. 1999년 6월 6일, 확인일자 2007년 3월 24일</ref> 공화정의 다른 정무관으로는 [[법무관]], [[조영관]], [[재무관]]이 있었다.<ref name="Lacus">[http://penelope.uchicago.edu/Thayer/E/Roman/Texts/secondary/SMIGRA*/Magistratus.html 마기스트라투스(Magistratus)] 조지 롱, M.A. 《그리스와 로마 고대 역사 사전》(''A Dictionary of Greek and Roman Antiquities''), 723-724쪽, 윌리엄 스미스, D.C.L., LL.D. 존 머레이가 출판함, 런던, 1875. 웹사이트 기록 2006년 12월 8일. 확인일자 2007년 3월 24일.</ref> 정무관직은 원래 귀족 출신으로 제한되었으나 나중에는 [[로마의 평민|평민]]에게도 개방되었다.<ref name=autogenerated1>Livy II</ref> 공화정의 민회로는 [[로마 왕정|왕정 시대]]에 기원을 두며, 전쟁과 화의 여부를 결정하고 요직 관리를 선출하는 [[켄투리아회]](''comitia centuriata''), 하위직 주요 관리를 선출하는 트리부스회(''comitia tributa'')가 있었다.<ref>애드킨스, 1998년. p.39.</ref>
 
로마는 점차 에트루리아 등 [[이탈리아 반도]]의 다른 나라를 정복하게 되었다.<ref>헤이우드, 1971년. pp.350-358.</ref> 그중 베이 점령은 라티움 밖으로 영향력을 확대하는 징표가 되었으며 그 이후 로마는 이탈리아 내에서 팽창을 거듭한다. 이후 삼니움 족의 캄파니아 칩입에 개입하여 3차 삼니움 전쟁을 치루었고 여기서 승리한 로마는 중부 이탈리아의 패자가 된다.
45번째 줄:
 
[[파일:Marius Carthage.jpg|thumb|upright|로마의 장군이자 정치가였던 [[가이우스 마리우스]]는 로마의 군사 제도에 극적인 개혁을 시행하였다.]]
해외 팽창은 내분을 불렀다. 원로원 의원은 [[로마 속주]]의 부를 통해 부유해졌지만 주로 소농 출신의 병사들은 고향을 오래 떠나있었기 때문에 자신의 땅을 지키지 못했으며, 임금 노동 대신 외국 [[노예]]에 크게 의존하게 되어 [[라티푼디움|대농장]]이 발달했다.<ref>다이커, 2001년. pp.136-137.</ref><ref>[http://web.ics.purdue.edu/~rauhn/fall_of_republic.htm 로마 공화정의 몰락, 기원전 133-27년]. Purdue University. 확인일자 2007년 3월 24일.</ref> 전리품 수입 덕분에 새로 확보한 속주에서 상업이 발달하였고, 세금 징수 할당 제도로 신흥 상인 계급인 [[기사 계급]]은 경제적 이익을 거머쥘 기회를 얻었다.<ref name="Liviuseques">[http://www.livius.org/ei-er/eques/eques.html Eques (기사)] 요나 렌더링(Jona Lendering). Livius.org. 확인일자 2007년 3월 24일.</ref> [[클라우디우스 법]](lex Claudia)으로 원로원 의원의 상업 행위가 금지되면서 이론상 원로원에 진출할 수 있었던 기사 계급은 정치 권력에 심각한 제약을 받게 된다.<ref name=autogenerated2>a</ref><ref>애드킨스, 1998년. p.38.</ref> 원로원은 끊임없이 정쟁을 일삼아 계속 토지 개혁에 발목을 잡았고, 기사 계급에 정치 발언권 확대를 거부했다. 원로원의 정적들끼리 도시 실업자 출신의 폭력조직을 조종하여 완력으로 유권자를 위협했다. 이런 상황은 기원전 2세기 말 평민에게 주로 귀족이 소유한 토지를 재분배하려는 토지 개혁 입법을 시도한 [[그라쿠스 형제]] 시대에 극에 달했다. 두 형제는 살해당했는데, 여기에 원로원은 불만을 품은 평민과 기사 계급을 달래고자 그라쿠스 형제가 추진한 개혁의 일부 입법을 통과시켰다. 또 이탈리아 동맹국에 로마 시민권 확대를 거부하면서 기원전 91~88년에 [[동맹국 전쟁]]이 일어났다.<ref>더랜트, 1944년. pp.120-122.</ref> [[가이우스 마리우스]]의 군제 개혁으로 병사들이 국가에 대한 충성심을 잃고 점차 사병화(私兵化)되었으며, 유력한 장군이 국가와 원로원을 장악하게 된다.<ref>[http://faculty.vassar.edu/jolott/old_courses/republic1998/marius/effects.htm 토지 요구 거부의 지속적인 효과]. 확인일자 2007년 3월 23일.</ref> 이로써 마리우스와 그의 부하 [[술라]]는 내전을 벌였으며, 술라가 기원전 82년 콜리네 문에서 압승을 거두었고, 결국 기원전 81년~79년에 술라가 독재 권력을 휘두르게 되었다.<ref name=Scullard1>스컬라드 1982년, chapters I-IV</ref> 술라는 무너져가던 공화정을 부흥시키려 개혁을 하고 독재관에 취임한지취임한 2년만에 자진퇴임한다2년 만에 자진 퇴임한다. 그러나 술라가 죽으면서 로마는 다시 혼란에 휩싸이게 된다.
 
기원전 1세기 중반에는 [[마리우스]]의 처조카인 [[율리우스 카이사르]]와 [[술라]]의 부하인 [[폼페이우스 마그누스]], [[크라수스]] 세 사람이 [[제1차 삼두정치]]를 이루어 공화국을 농단했다. 이후 기원전 53년에 파르티아와 벌인 [[카르하이 전투]]에서 크라수스가 전사하면서 삼두정치는 카이사르와 원로원파로 돌아선 폼페이우스로 나뉘어 전개된다. 기원전 58년부터 7년에 걸쳐 갈리아를 정복한 후에([[갈리아 전쟁]]) 원로원과 대립하던 카이사르는 기원전 49년에 루비콘 강을 건너 폼페이우스가 이끄는 원로원파 군대와 내전을 일으킨다.([[카이사르의 내전]]). [[기원전 48년]], [[파르살루스 전투]]에서 폼페이우스를 상대로 압승을 거두고, [[탑수스 전투]]와 [[문다 전투]]에서 폼페이우스의 잔당을 격파한 카이사르는 결국 내전에서 승리하면서 로마의 종신 독재관이 되어 각종 개혁을 실시하였다.<ref name=Scullard2>스컬라드 1982년, chapters VI-VII</ref> 기원전 44년 카이사르는 독재 의혹을 받다가 공화제 헌정을 복원하려는 정적([[브루투스]], [[카시우스 롱기누스]] 등)에 암살당한다. 그러나 카이사르의 암살자들은 정권을 잡지 못하였고, 카이사르의 후계자 [[옥타비아누스]]는 카이사르의 수하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레피두스]]의 [[제2차 삼두정치]]를 이루며 권력을 잡는다.<ref>[http://www.bbc.co.uk/history/historic_figures/caesar_julius.shtml 율리우스 카이사르 (BCE100 - BC44)]. [http://bbc.co.uk]. 확인일자 2007년 3월 21일.</ref><ref>[http://www.roman-emperors.org/auggie.htm 아우구스투스 (BC 31 - CE 14)] 가렛 G. 페이간. De Imperatoribus Romanis. 기록일자 2004년 7월 5일. 확인일자 2007년 3월 21일.</ref> 그러나 이 정치적 동맹은 권력 투쟁으로 기운다. 레피두스는 추방되며, 옥타비아누스는 안토니우스를 국가의 적으로 선포하며, 기원전 31년 [[악티움 해전]]에서 안토니우스와 [[클레오파트라]]를 격퇴하여 로마의 유일 지배자가 되었다.<ref name=Scullard3>스컬라드 1982년, chapter VIII</ref>
 
=== 제정 시대 ===
88번째 줄:
=== 교육 ===
{{참고|고대 로마의 교육}}
공화정 초기 로마에는 공립 학교가 없었다. 따라서 소년들은 [[부모]]나 노예 교사(paedagogi, [[고대 그리스|그리스]]에서 기원한 것이다)에게서 읽고 쓰는 법을 배웠다.<ref name="Lecture 13">[http://www.historyguide.org/ancient/lecture13b.html 강의 13: 로마제국의 사회사 요약], 스티븐 크레이스. 기록일자 2006-10-11. 확인일자 2007-4-2.</ref><ref name="Adk211">애드킨스, 1998년. p.211.</ref><ref name="Werner31">Werner, 1978. page 31.</ref> 이 시대 교육의 일차적인 목적은 젊은이에게 농업, 전쟁, 로마의 전통, 공무를 가르치기 위한 것이었다.<ref name=autogenerated2 /> 어린 소년은 아버지와 함께 종교ㆍ정치 활동을 하면서 사회 생활을 다양하게 익혔다.<ref name=autogenerated2 /> 귀족 자제는 16세 나이에 유력 정치인 밑에서 정치를 배웠으며, 17세부터 군대에서도 활동했다(이런 관습은 [[로마 제정|제정]] 시대에도 일부 귀족 가문 사이에서 계속되었다).<ref name=autogenerated2 /> 기원전 3세기에 [[헬레니즘]] 나라를 정복하면서 그리스 문화가 유입되어 교육 방식에도 변화가 생겼지만 그리스의 교육 방식과는 여전히 달랐다고 한다.<ref name=autogenerated2 /><ref>다이커, 2001년. p.143.</ref> 부모가 여력이 있으면 7살 나이의 소년과 일부 소녀들을 집 밖의 사립 학교(ludus)로 보냈다. 이들이 11살이 될 때까지 교사(litterator 또는 magister ludi)가 기본적인 읽기, 쓰기, 셈법, 때론 그리스어까지 가르쳤다.<ref name=autogenerated2 /><ref name="Werner31"/><ref name="TexEd">[http://www.txclassics.org/exceteducation.htm 로마의 교육]. 라틴어 ExCET 준비. 텍사스 고전 연합, 지니 린제이(Ginny Lindzey) 씀, 1998년 9월. 확인일자 2007-3-27.</ref> 12살부터 학생은 중등 학교에 가서 교사(grammaticus)에게서 [[고대 그리스어|그리스어]]와 [[라틴 문학|로마 문학]]을 배웠다.<ref name=autogenerated2 /><ref name=autogenerated2 /> 16세 나이가 되면 몇몇 학생은 [[수사학]] 학교에 갔다.(이곳 교사(rhetor)는 대개 그리스인 출신이었다).<ref name=autogenerated2 /><ref name=autogenerated2 /> 이 정도의 교육 수준은 법조인을 지망하는 학생들이 준비했으며, 이들은 로마의 법을 암기해야 했다.<ref name=autogenerated2 /> 학생들은 종교 축제나 장날 외에는 매일 학교에 갔으며, 여름 방학도 있었다.
 
=== 정치 ===
129번째 줄:
{{참조|로마 신화}}
 
초기 로마 종교는, 최소한 신에 대해서는 글로 쓰여진 이야기가 없으며<ref>Matyszak, 2003. page 24.</ref>, 기본적으로 하나의 신념 체계라기보다는 숭배의례이며 의식(儀式)에 가까웠다.<ref>허승일, 2000, p.324.</ref> 그리고 종교의 목적은 의식을 통해 신을 불러내어 자신이 원하는 것을 요구하며 보답을 약속하는 일종의 거래였다.<ref>허승일, 2000, p.325.</ref> 그리스 신화와 달리 로마의 신은 인격화가 완전히 이루어지지 않았으며.<ref>허승일, 2000, p.329.</ref>, 문, 경계, 꽃, 곡물 등에 서린 정령(numen)을 숭배하였다.<ref>허승일, 2000, p.330.</ref> 로마 사람들은 모든 사람이나 장소, 사물에 신성한 혼(genius)가 있다고 믿었다. [[로마 공화정|공화정]] 시대에 로마 종교는 사제직을 갖춘 엄격한 체제를 갖추게 되었으며, 사제들은 원로원 의원 출신이었다. [[국가 사제단]](Collegium Pontificum)은 종교 제문을 보관하고 종교 의식을 감독하였으며, 가장 높은 성직자는 [[최고 제사장]](pontifex maximus)으로 국가 종교의 수장이었다.<ref>R.더들리, p.27.</ref> 사제(flamen)는 여러 신의 의식을 치렀으며, 복점관(augur)은 점을 쳤다. [[렉스 사크로룸]](rex sacrorum)은 왕이 축출된 뒤 왕 대신 종교 권한을 얻았다.<ref name="h110"/>
 
[[고대 그리스|그리스]] 문화를 점점 접하게 되면서 옛 로마의 신은 점차 그리스의 신과 동일시되었다<ref>윌리스, 2000년. p.168.</ref> 그리하여 [[유피테르]]는 [[제우스]]와, [[마르스]]는 [[아레스]]와, [[넵투누스]]는 [[포세이돈]]과 같은 신으로 여겨졌다. 또 로마의 신은 각자 동일시된 그리스 신의 신화와 속성도 이어받게 되었다. [[로마 제정|제정]] 시대에 로마 사람들은 정복당한 민족들의 신화도 흡수하여, 외국신을 모시는 신전 옆에 전통적인 이탈리아 신전이 있는 경우도 생겼다.<ref>윌리스, 2000년. p.166.</ref> 최초의 기독교 박해는 기원후 64년 네로 시대에 로마 대화재의 주범으로 그리스도 교도를 수색하면서 잔인한 고문과 태형을 가한 것이었다.<ref>{{서적 인용 |성= 카르코피노|이름= 제롬 |제목= 고대 로마의 일상생활 |날짜=4 |연도= 2003 |발행월=8 |출판사=우물이 있는 집 |출판위치=서울 |id= 89-89824-18-4 03920 |쪽= 264}}</ref> [[디오클레티아누스]] 시대에 기독교 박해는 극에 달했다. 그러나 [[콘스탄티누스 1세]] 시대에 기독교는 로마 정부의 지원을 받았으며, 지배적인 종교가 되었다. 기원후 391년 [[테오도시우스 1세]]의 칙령으로 제국 내에서 기독교 외의 모든 종교 숭배가 금지되었다.<ref>[http://www.roman-emperors.org/theo1.htm 테오도시우스 1세 (379-395 AD)], 데이비드 우즈. De Imperatoribus Romanis. 기록일자 1999-2-2. 확인일자 2007-4-4.</ref>
148번째 줄:
로마의 음악은 주로 그리스의 음악에서 나왔으며, 로마인의 삶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ref name=iClassics>[http://www.iclassics.com/periodArticle?contentId=3003 연대기: 고대와 중세: 고대 로마]. iClassics. "서양 음악사, 제 5판"에서 발췌, 도날드 제이 그로우트와 클라우드 V. 펠리스카(Donald Jay Grout and Claude V. Palisca), 노턴 앤 컴퍼니.: 1960. 확인일자 2007-4-22.</ref> 추수나 베짜기, 결혼식이나 장례식, 사랑이나 풍자 등 일상 생활과 관련된 여러 가지 노래가 있었으며, 부유한 가정에서는 저녁 식사 때 음악이 연주되곤 하였다.<ref name="ep18">Wade-Matthews, 2004, p.18.</ref>
 
[[파일:Cornicen on Trajan's column.JPG|thumb|200 px200px|right|[[코르누]]를 연주하는 로마군 장교(cornicen). [[트라야누스 기둥]].]]
로마 군대에서는 투바(tuba, 긴 [[트럼펫]])나 코르누(cornu, [[프렌치 호른]]과 비슷하다)같은 악기를 써서 여러가지 명령을 전달했으며, 부키나(bucina, [[호른]]이나 [[트럼펫]]으로 추정)나 리투스(lituus)<ref>긴 J모양의 악기로 추정. 에트루리아에서 유래되었으며 [[트럼펫]]과 [[알펜호른]]의 전신. Wade-Matthews, 2004, p.162.</ref>는 의전 행사에 쓰였다.<ref>애드킨스, 1998년. p.89.</ref> 투바와 코르누를 비롯하여 물 오르간은 원형 경기장에서 검투 막간에 쓰여 전차 경주와 검투의 흥분을 고조하였으며, 극장에서도 물 오르간과 티비아이(tibiae, 로마식 [[아울로스]]에 해당하는 더블 파이프)이 쓰였다.<ref name="ep19">Wade-Matthews, 2004, p.19.</ref><ref>애드킨스, 1998년. p.349-350.</ref> 무언극도 로마의 인기있는 오락이었으며, 합창, 기악, 무용과 함께 정기적으로 협연하였다.<ref name="ep19"/>
 
161번째 줄:
로마의 젊은이는 뛰기, [[레슬링]], [[권투]], 경주 등 여러가지 놀이와 체육을 즐겼다.<ref name=Cassononsports>카슨, 1998년. pp.98-108.</ref> 시골에서 부유층은 [[낚시]]와 [[사냥]]도 즐겼다.<ref name=SPQRonline>[http://library.thinkquest.org/26602/entertainment.htm#leisure 일상 생활:오락]. SPQR 온라인. 기록 1998. 확인일자 2007-4-22.</ref> 로마에는 [[핸드볼]]과 비슷한 구기 종목도 있었다.<ref name=Cassononsports/> [[주사위]] 놀이, [[보드 게임]], [[도박]]도 매우 인기 있는 오락거리였다.<ref name=Cassononsports/> 여성들은 이런 활동에 참가하지 않았다. 부자들은 저녁 잔치에서 음악, 춤, 시 낭송과 같은 오락을 즐겼다.<ref name=Adkinsonparties>애드킨스, 1998년. p.350.</ref> 평민들은 클럽이나 모임에서 비슷한 잔치를 열기도 했는데, 보통 오락을 즐기는 저녁 식사란 후원을 받아 선술집에서 여는 모임을 뜻했다.<ref name=Adkinsonparties/> 아이들은 자기들끼리 장난감을 가지고 혹은 목마 넘기를 하며 놀았다.<ref name=SPQRonline/><ref name=Adkinsonparties/>
[[파일:Retiarius stabs secutor (color).jpg|right|thumb|창투사 레티아리우스가 결투 상대인 검투사 세쿠토르에게 삼지창을 겨누고 있다.]]
검투는 인기있는 오락이었다. [[검투사]]는 죽거나 혹은 여러가지 시나리오에 따라 갖가지 무기를 들고 "첫‘첫 피"를피’를 볼 때까지 싸웠다. [[클라우디우스]] 시대에 검투의 인기는 절정에 이르렀는데, 황제의 손짓으로 경기의 결과를 마무리지었다. 영화에 나오는 모습과 달리, 여러 전문가들은 검투사를 죽이라는 손 동작은 "엄지손가락을‘엄지손가락을 내리는"내리는’ 것이 아니라고 보고 있다. 그 손짓이 어떤 것인지는 아무도 확실히 모르지만, 어떤 전문가는 승자 쪽으로 주먹을 들어올렸다가 엄지 손가락을 위로 올려서 패자의 죽음을 명령했으며, 엄지 손가락을 들지 않고 주먹을 들어올리면 살려주라는 뜻이었다고 보고 있다.<ref>[http://penelope.uchicago.edu/~grout/encyclopaedia_romana/gladiators/polliceverso.html 검투사와 엄지 손가락]. 로마나 백과사전. 시카고 대학. 확인일자 2007-4-24.</ref> 동물을 보여주는 것도 인기 있었는데, 외국의 동물을 데려다 사람들에게 보여주거나, [[투수사]]와 싸움을 시키기도 하였다. 죄수나 검투사를 무장하거나 맨몸으로 경기장에 놓고 동물을 풀기도 하였다.
 
[[대경기장]](circus maximus)도 로마에서 인기있는 장소였는데, 주로 경마나 전차 경주를 벌이는 곳이며, 경기장에 물을 채워 가상 해전을 벌일 수도 있었다. 이곳에는 그 밖에도 여러가지 행사가 많았다.<ref>[http://penelope.uchicago.edu/~grout/encyclopaedia_romana/circusmaximus/circusmaximus.html 대경기장]. 로마나 백과사전, 시카고 대학. 확인일자 2007-4-19.</ref> 이 경기장은 385,000명을 수용할 수 있었으므로, 로마 시에 사는 사람들 모두가 이곳에 왔을 것이다. 대경기장의 경주로 한가운데에는 각각 일곱 개의 커다란 달걀과 일곱 개의 돌고래가 있는 신전이 둘 있었는데, 선수가 한 바퀴 돌때마다 일곱 중 하나씩 없애서 횟수를 표시했다.<ref>{{서적 인용 |성= 카르코피노|이름= 제롬 |제목= 고대 로마의 일상생활 |날짜=4 |연도= 2003 |발행월=8 |출판사=우물이 있는 집 |출판위치=서울 |id= 89-89824-18-4 03920 |쪽= 370}}</ref> 스포츠 말고도 대경기장은 시장과 도박판이기도 했다. 황제 등 정부 고위인사도 대경기장 경기를 관람했는데, 경기장에 참석하지 않는 일은 무례한 일로 여겨졌다. 고위 인사, 기사, 그 밖에 경기와 관련된 사람들은 가장 높은 곳의 예약석에 앉았다. 황제가 특정 팀을 좋아하는 것도 부적절한 일로 여겨졌다. 대경기장은 기원전 600년에 생겼으며, 천년이 넘도록 이어지다 기원후 549년에 마지막 경마 경기가 치러진 후 문을 닫았다.
168번째 줄:
{{참고|로마의 도로}}
 
고대 로마는 인상적인 기술적 업적을 남겼으나, 그 성과는 [[중세 시대]]에 잊혀지고 말았다. 로마의 여러 실용적인 기술 혁신은 이전의 [[그리스]]의 것에서 받아들인 것이다.
 
로마의 공학 기술은 군사 관련 기술과 더불어 로마의 우수한 기술 수준을 보여주는 중요한 분야이며, [[로마의 도로|도로]], [[교량]], [[수도관]], [[목욕탕]], [[극장]], [[경기장]]을 건설하는데 기여했다. [[콜로세움]], [[퐁 뒤 가르]], [[판테온]] 등 여러 유적이 아직도 로마의 공학과 문화의 증거로 남아있다.
195번째 줄:
* [[타키투스]]: [[연대기 (타키투스)|연대기]], [[역사 (타키투스)|역사]]
* [[수에토니우스]]: [[황제전]]
 
== 같이 보기 ==
* [[로마 왕정]]
* [[로마 공화정]]
* [[로마 제정]]
* [[로마 집정관 목록]]
* [[로마 황제 목록]]
* [[로마 문화]]
* [[로마]]
* [[검투사]]
 
== 각주 ==
줄 210 ⟶ 200:
 
== 참고 문헌 ==
{{위키공용|Category:Ancient Rome|고대 로마}}
{{위키배움터|포털:교양/그리스로마사}}
* {{서적 인용 |저자= 김진경 외 |제목= 서양고대사강의 |날짜= 16 |연도= 1996 |발행월= 9|출판사= 한울 |출판위치= 서울 |id= ISBN 89-460-2372-4 94920}}
* {{서적 인용 |저자= D.J. 그라우트 외|제목= 그라우트의 서양 음악사 제7판 (상) |연도= 2007 |출판사= 이앤비플러스 |위치= 서울 |id= 978-89-959901-0-0 }}
줄 319 ⟶ 307:
|id = 1-86458-089-5
}}
 
== 같이 보기 ==
{{위키공용|Category:Ancient Rome|고대 로마}}
{{위키배움터|포털:교양/그리스로마사}}
* [[로마 왕정]]
* [[로마 공화정]]
* [[로마 제정]]
* [[로마 집정관 목록]]
* [[로마 황제 목록]]
* [[로마 문화]]
* [[로마]]
* [[검투사]]
 
{{Authority control}}
 
[[분류:고대 로마| ]]
[[분류:고대사]]
[[분류:문명]]
[[분류:유럽의 옛 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