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밀리 드 브르퇴유 뒤 샤틀레 후작부인: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마담 샤틀레는 여기로 넘어오지 않음.
테토봇 (토론 | 기여)
잔글 봇, replaced: 주석 → 각주 (5) using AWB
22번째 줄:
}}
 
'''샤틀레 후작부인 가블리엘레 에밀리 르 토넬리에 드 브르퇴유'''({{llang|fr|Gabrielle Émilie Le Tonnelier de Breteuil, marquise du Châtelet}})는 '''에밀리 뒤 샤틀레'''({{llang|en|Emilie du Chatelet}}, [[1706년 12월 17일]]~[[1749년 9월 10일]])로 알려진 프랑스의 과학자이다. 최초의 근대과학의 여성과학자로 불린다. 여성의 중등교육을 허락하지 않았던 시대였지만 에밀리의 가문은 높은 계급에 속했고 상당한 자산을 소유했기 때문에 과학을 전문적으로 연구할 수 있었다. 그러나 여전히 남자들의 도움이 필요한 상황 속에서 학문을 연구할 수밖에 없었다. 라틴어로 쓰여진 [[아이작 뉴턴]]의 [[프린키피아]]를 프랑스어로 번역하고 명료한 이해를 돕는 상세한 주석을각주을 달았다. 그만큼 프린키피아를 뿌리 깊게 이해하고 있었다. 또 형이상학적인 개념에 머물렀던 [[라이프니츠]]의 활력({{llang|la|vis viva}}) 개념을 과학에 도입했다. 언어학에도 뛰어났던 그녀는 라틴어, 이태리어, 그리스어, 독일어에 능했고 과학연구 뿐 아니라 번역에도 힘썼다. 문법 연구와 성서에도 관심을 갖고 연구를 했으며, 라틴어와 그리스 고전들을 번역했다. 《[[오이디푸스]]》를 번역하기도 하였으며 《행복론》을 쓰기도 했다.
 
== 생애 ==
47번째 줄:
=== 시레이 성 ===
 
에밀리의 남편은 시레이에 오래된 성을 소유하고 있었다. 에밀리와 볼테르는 이 곳을 두 사람의 연구실 및 주거공간으로 개조했다. 2년여의 공사를 거친 끝에 탄생한 시레이 성은 파리의 프랑스 과학 아카데미에 견줄 만한 도서관과 런던에서 수입해온 최신 실험 장비를 갖추게 되었다. 방문객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객실용 방들과 세미나실도 있었다. 공동 서재를 두었고 서로 독립적으로 이용할 수 있는 개인 서재에는 학문 연구를 위해 항상 커튼을 내려 동트기 전후의 조명 상태를 유지하였다. 점차 시레이 성에는 유럽의 최고 과학자들이 방문하기 시작했다. 에밀리와 볼테르는 10년 이상 시레이의 성에서 함께 살았다. 오래된 성을 개조해서 공동 서재와 개인 작업실, 여러 개의 객실을 두었다. 볼테르는 종종 에밀리의 작업실에 방문해서 뉴턴의 라틴 원문을 네덜란드어 주석과각주과 비교하는데 도움을 받았다.
외국의 많은 신진 학자들이 이곳에 머물다 갔다. [[쾨니그]]나 [[베르누이]] 같은 과학자들은 이곳에서 장기간 묵기도 하였다. 에밀리 뒤 샤틀레와 볼테르는 유럽 과학자들과의 협력으로 뉴턴 연구의 기초가 확립되는 것에 만족했다.
운동하는 물체가 갖는 힘에 관한 연구로 시레이는 몇 안되는 진정한 독립 연구소로 인정받게 된다. 연구소와 같은 역할을 담당했던 시레이 성에서 그들이 독자적으로 개척한 삶은 많은 사람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그 둘은 파리에서 떠나 있었기 때문에 세간의 시선에서 자유로워질 수 있었다. 에밀리는 이곳에서부터 본격적으로 철학을 공부했으며 뉴턴 학문에 대해 공부하였다. 이 시기에 그녀는 여러 저작을 남겼으나 대부분 소실되었다.
67번째 줄:
[[파일:Isaac Newton - Principes mathématiques de la philosophie naturelle, tome1.djvu|thumb|뉴턴의 프린키피아 프랑스어 번역본 2판 1권]]
 
=== 뉴턴의 [[프린키피아]] 번역 및 주석각주 ===
 
당대의 현대 수학이었던 [[미적분]]을 토대로, 복잡한 [[기하학]]을 보다 쉽고 명료하게 재해석을 한 주석각주 및 논평을 달았다. 에밀리는 뉴턴의 책을 단순히 번역하는 작업을 넘어서서 뉴턴의 저작 속에 든 핵심적인 두 가지 정리를 밝혀내고자 했다. 에밀리는 뉴턴이 중력이 어떻게 작용하는지, 어떻게 지구 중심에서 바깥쪽으로 뻗어나가는지를 밝히려고 한 정리를 70번에서 75번정리<ref>30번 정리. 70번 명제: 만일에 구형 물체의 그 구면상의 모든 점들을 향하여, 그것들의 거리의 제곱비로 감소하는 같은 구심력이 작용한다면 그 면의 내부에 놓인 한 입자는 그것들에 의하여 전혀 끌리지 않을 것이다. <br /> 31번 정리. 71번 명제: 이전과 같은 것을 가정하면 구면 밖에 놓인 한 입자는 구의 중심으로 향하여 그 중심서부터의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는 힘으로 끌린다. <br /> 32번 정리. 72번 명제: 만일에 구의 각 점을 향하여 그 점들로부터의 저리의 제곱비로 감소하는 같은 구심력이 작용하고, 또한 구의 밀도 및 구의 지름과 그 중심서부터 입자의 거리와의 비가 함께 주어진다면 입자가 끌리는 그 힘은 구의 반지름에 비례한다. <br /> 33번 정리. 73번 명제: 만일에 주어진 하나의 구의 각점으로 향하여 그 점들로부터의 거리의 제곱비로 감소하는 같은 구심력이 작용되면 그 구의 내부에 놓여진 입자는 중심서부터의 거리에 비례하는 힘으로 끌릴 것이다. <br /> 34번 정리. 74번 명제: 이와 같은 일들이 가정된다고 하면 구의 밖에 자리 잡은 한 입자는 중심서부터의 그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는 힘으로써 끌릴 것이다. <br /> 35번 정리. 75번 명제: 만일에 어떤 주어진 하나의 구의 각 점을 향하여 그 점으로부터의 거리의 제곱비로 감소하는 같은 구심력이 작용된다면 또하나의 닮은 구는 그것에 의하여 중심(간)의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하는 힘으로 끌릴 것이다.</ref><ref>조경철 옮김, 프린시피아 1권, p.349~357, </ref>1999 에서 찾았다. 뉴턴이 복잡한 기하학 양식으로 기술해놓았기 때문에 그 정리의 중요성이 눈에 띄지 않았는데, 에밀리는 그 속에 숨은 개념을 명료하게 드러냈다. 여기서 그녀는 행성이나 항성 전체이 운동할 때에 하나의 수학적 점과 같이 취급할 수 있다는 결론을 도출했다. 또 에밀리는 에너지 보존에 관한 다른 정리들을 정확하게 짚어내 현대용어로 바꾸면서 자신이 연구했던 불에 대한 실험과 연관시켜보려 시도했다. 그에 대한 답이 13번 정리에 딸려있던 40번 명제<ref>만일에 어떤 구심력이 작용되는 물체가 어떤 방식으로 운동하며, 딴 한 물체가 한 직선상을 상승 또는 하강하며, 또한 그 속도들이 고도가 같은 경우에는 서로 같다고 하면, 그 속도들은, 다른 모든 같은 고도에서도 마찬가지로 서로가 같을 것이다.</ref><ref>같은 책, p.239~241</ref>에 숨어있다는 것을 발견하고는, 그 개념이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보임으로써 후대 과학자들에게 길잡이 역할을 했다. 에밀리는 출산을 앞둔 8월 30일 원고를 탈고했다.
이 책은 에밀리가 죽고 난 후에 출간되었으며 오늘날에도 프랑스에서 쓰이는 《프린키피아》의 표준적인, 그리고 유일한 번역서이다. 에밀리가 이 책을 훌륭히 번역하였기 때문에 프랑스는 영국보다 100년 앞서 과학이 발달할 수 있었다는 시각도 있다. 왜냐하면 영국에서는 복잡한 기하학으로 가득찬 판본을 읽었기 때문이다.
 
115번째 줄:
* 1779.《행복론({{llang|fr|Discours sur le bonheur}})》에피쿠로스주의적 성격이 있는 이 책은 그녀의 인생에 대한 이야기이기도 하다. 이 책은 행복의 방법론을 논한 최초의 책으로 6번 재발행 되는 베스트셀러였다. 이 책의 내용은 사랑의 형이상학에 관한 것이었다. 1746년에 쓰여졌고 1779년에 출판되었다.
 
== 주석각주 ==
<reference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