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조선: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테토봇 (토론 | 기여)
잔글 →‎문헌: 봇, replaced: 주석 → 각주 using AWB
잔글 테토봇(토론)의 편집을 Xakyntos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8번째 줄:
한나라 이전의 문헌(선진문헌{先秦文獻})에는 기자가 주나라의 지배를 거부하고 은둔하였던 사실만 기록하고 있으며, 그 이후 기자의 삶은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기자조선이 나타나는 최초의 문헌은 《상서대전(尙書大全)》과 《[[사기 (역사서)|사기]]》이다. 《상서대전》은 중국 최초의 역사서로 평가되는 《상서》에 각주과주석과 본문을 추가한 유교 경전으로 한나라 이전의 《상서》에는 나타나지 않는 기자동래설이 추가되어 있다. 《상서대전》에 따르면 기자는 주나라의 지배를 거부하고 조선으로 망명하였다고 하며 주나라 무왕은 이를 듣고 기자를 조선에 봉하였다고 한다. 한편 《사기》 〈송미자세가〉에도 기자가 조선의 군주가 되었다고 기록되어 있는데 《상서대전》과 반대로 무왕이 기자를 조선에 봉하여 기자가 조선에 가서 나라를 일으켰다고 한다. 이러한 두 문헌의 차이는 이후 기자가 스스로의 힘으로 조선을 세웠는지, 아니면 주나라의 제후국으로 조선을 세웠는지를 놓고 논쟁이 벌어지는 원인이 되었다. 이후 《위략(魏略)》, 《[[한서]]》, 《[[삼국지]]》 등에서 기자동래설을 계속 기록하는 한편 기자 이후의 고조선 역사에 대해서도 기자와 연관시켜 부왕과 준왕은 기자의 40여 세손 기부(箕否), 기준(箕準)으로 기록되었다.
 
이러한 기자동래설에 대한 기본 문헌들이 등장한 이후부터 기자동래설의 사실 여부와 관계없이 기자를 조선의 군주로 숭상하는 경향이 많아졌다. [[삼국시대]]에도 [[고구려]]가 기자에게 제사를 지냈다고 하며 [[신라]]의 [[최치원]]도 기자동래설을 긍정하였다. [[고려]]시대에는 [[유교]]가 통치 이념으로 점차 굳어져 가면서 한국 유교문화의 시원적 존재로 기자에 대한 숭배가 강화되었다. 그 결과 [[1102년]]에는 평양에 기자사당이 세워져 국가의 제사를 받았으며 기자의 묘까지 만들어졌다. 이후 [[조선]] 초기에는 단군과 기자가 나란히 국조로 숭상되었으며 《동국사략》에서 단군조선·기자조선·위만조선의 삼조선으로 이어지는 체계를 정립하면서 기자조선이라는 왕조가 확고하게 자리잡았다. [[성리학]]이 발달하면서 [[사림]]에 의해 기자 존숭 의식은 더욱 발전하였고, [[이이]]의 《기자실기(箕子實記)》와 같은 기자에 대한 전기적 서적이 편찬되었다. 조선 후기에는 [[이종휘]]의 《기자세가》, 정인기의 《기자지》 등에서 역대 왕의 명칭과 재위 연도 등 구체적인 내용이 등장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