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로쓰기와 세로쓰기: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아시나요 (토론 | 기여)
ChongDae(토론)의 16720493판 편집을 되돌림
잔글 아시나요(토론)의 편집을 ChongDae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1번째 줄:
[[파일:Hunmin jeong-eum.jpg|thumb|《[[훈민정음]] 언해본》.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행갈이를 하고 있다.]]
[[파일:Su shi-calligraphy.jpg|thumb|[[송나라|송]]대의 학자 [[소식]](蘇軾)의 서예 작품 〈한식첩(寒食帖)〉.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행갈이를 하고 있다.]]
'''종서가로쓰기와 및 횡서세로쓰기'''는 [[문서]]에 [[문자]]를 써 나가는 방식이다.
 
[[세계]]에 존재하는 문서는 그 [[언어]] 및 표기 문자 체계의 조합에 따라 [[문자]]를 써나가는 서자방향방향(서자 방향(書字方向))이 다르다. 이 방법은 크게 '''종서가로쓰기'''〔'''횡서'''(, 세로쓰기)와 '''횡서세로쓰기'''〔'''종서'''(, 가로쓰기)〕로 나뉜다. 종서에서는가로쓰기에는 행갈이를[[왼쪽]]에서 우에서[[오른쪽]]으로 좌로 하는쓰는 '''우종서좌횡서'''(右縱左橫書)와 그 반대로 하는쓰는 '''좌종서우횡서'''(左縱右橫書)로 나뉘고, 횡서에서는세로쓰기에는 우에서행갈이를 좌로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하는 '''우횡서좌종서'''(右橫左縱書)와 그 반대로 쓰는하는 '''좌횡서우종서'''(左橫右縱書)로 나뉜다.
 
[[중국어한국어]]와 이외 ·[[한국어중국어]]·[[일본어]]·[[베트남어]] 등 [[한자 문화권]]의 언어는 전통적으로 우종서를 썼고, 간혹 편액간판과 같이 횡서를가로쓰기를 해야 할 때에는 우횡서로 썼다. 근대 이후 서양 문물이 동아시아에 전래한 이후에는 좌횡서도 도입되어 현재까지 병용되고 있다. 종서와가로쓰기와 횡서세로쓰기가 모두 가능한 문자는 현대에는 비교적 드물어, 문자가 정방형(正方形)의 네모 칸 안에 쓰이는 형태는 한자 문화권의 특징으로 자리하고 있다.
 
서양 언어들이 좌횡서가 주류를 이루고 있지만, [[아랍어]]·[[히브리어]] 등으로 대표되는 중동권에서는 반대로 우횡서가 쓰인다. 독자적인 문자를 가지는 [[남아시아]]·[[동남아시아]]에서는 서양처럼 좌횡서가 많다. [[몽골 문자]]로 표기되는 [[몽골어]]는 특이하게 좌종서를 사용하는데, 이것은 몽골 문자가 위구르 문자에서 파생한 것에서 유래한다.
 
고대에는 [[신성 문자|히에로글리프]]처럼 서자 방향이 꽤 융통성 있는 문자들은 행마다 방향을 반대로 바꾸는 [[우경식|우경식 서법]](牛耕式 書法, {{lang|en|boustrophedon}}) 등의 방법도 있었다. 또 아래에서 위로 행을 거듭하여 쓰는 횡서는가로쓰기는 확인되지 않았으며, 아래에서 위로 쓰는 종서는세로쓰기는 [[아일랜드어]]의 [[오검]] 비문의 예 및 [[돌궐]] 문자가 드물게 그처럼 쓰이는 데, 역사적으로도 매우 드물게 존재한다.
 
== 종서와가로쓰기와 횡서의세로쓰기의 차이점 ==
[[파일:Garo.png|thumb|400px|한국어(대한민국)의 원고지 가로쓰기]]
[[파일:Sero.png|thumb|80px|한국어(대한민국)의 원고지 세로쓰기]]
[[초서|초서체]]의 경우 가로쓰기는 다소 부적합한 면이 있기는 하나, [[한글]]·[[한자]]·[[가나 (문자)|가나]]는 종서,가로쓰기와 횡서세로쓰기 모두 가능쓸 수 있다. 실제 표기에서 종서와가로쓰기와 횡서세로쓰기 간의 차이점이 다소 있다. 숫자의 경우, [[아라비아 숫자|인도-아라비아 숫자]]는 가로로 쓰고, 한자의 숫자는 세로로 쓴다. 구두점의 경우, 한국어와 일본어는 종서와가로쓰기와 횡서세로쓰기에 차이가 있다([[#용례|아래]]를 보라).
 
또한, 종서와가로쓰기와 횡서세로쓰기에는 구두점·선·인용 부호의 방향에 차이가 있다. 괄호·인용 부호·선·물결표 등은 가로쓰기와 세로쓰기에서 서로 90도 회전한다.
 
우리가 흔히 쓰는 좌횡서로가로쓰기(좌횡서)로 된 책은 서양 언어와 마찬가지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쪽수가 넘어간다. 세로쓰기(우종서)로 반대로 우종서로책은 책은반대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쪽수가 넘어간다.
 
일본어의 [[후리가나]]나 중국어 정체의번체의 [[주음 부호|주음부호]]와 같은 [[루비 문자]]는 세로쓰기일 경우 다음과 같이 본 문자의 오른쪽에, 횡서일가로쓰기일 경우 주로 본 문자의 위쪽에 쓰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다.
 
<span lang="ja" xml:lang="ja">
50번째 줄:
서양으로부터 괄호 문자가 도입되기 이전인 전근대 시대에는 한자 다음에 훈민정음으로 발음을 단 문헌이 간행되었다. 《[[훈민정음#책|훈민정음]]》 [[훈민정음#훈민정음 해례본|해례본]]이 대표적이다. 이 책에서는 큰 글씨로 씌어진 본문의 경우, 한자마다 각 글자 다음 칸에 작은 글씨로 훈민정음을 써서 발음을 표시하였다. 그리고 작은 글씨로 씌어진 주석의 경우, 각각의 한자가 적힌 칸 다음에 훈민정음 발음을 적은 것은 본문과 동일하지만 가독성과 인쇄상의 편의를 위하여 글씨 크기를 더 줄이지는 않았다. 물론 《훈민정음》혜례본은 전통적인 세로쓰기 서적이므로, 일반적으로는 한자 아래에 훈민정음 발음 표기가 위치하게 된다. 하지만 한자가 줄의 마지막 칸에 적혀서 더 이상 그 줄에 글씨를 쓸 수 없는 경우에는 그 다음 줄 첫 칸에 훈민정음 발음을 표기하였다.
 
근대 이후에 동아시아 문자 표기에서 [[로마자]]나 [[아라비아 숫자]] 등 가로쓰기에 적합한 글자가 혼용되는 경우가 굉장히 많다. 이 때 횡서가로쓰기 문서에서는 그대로 좌횡서로 적는다. 종서세로쓰기 문서에서는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한 형태로 쓰는 경우가 일반적인데 이 경우 읽기가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다. 세로쓰기에서 로마자나 아라비아 숫자를 회전시키지 않고 그냥 매 글자를 순서대로 적는 경우도 있으나, 이 경우는 대개 글자 수가 적은 경우([[두문자어]] 등)에만 한정된다. 간혹 한 칸(한글, 한자, 가나, 주음 문자 기준) 안에 로마자나 아라비아 숫자 2~3개를 좌횡서로 쓰는 경우도 있다. 이것은 종서세로쓰기 안의 횡서라고가로쓰기라고 할 수 있다. 이런 표기는 대개 아라비아 숫자가 2~3개만 연이어 나오는 경우에 많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드물다.
 
=== 동아시아의 횡서가로쓰기 ===
[[파일:Inside the Forbidden City.jpg|thumb|left|[[베이징]] [[자금성|쯔진청]](자금성)의 옥좌. “正大光明”(정대광명)이 우횡서로 적혀 있다.]]
[[파일:독립신문.jpg|thumb|left|[[독립신문]] 창간호. ‘독닙신문’이라는 제목이 우횡서로 적혀 있다.]]
[[파일:Kasutera0038.jpg|thumb|right|‘카스테라({{lang|ja|カステラ}})’가 우횡서로 적혀 있다. 사진은 [[일본]] [[하코네 정|하코네]]에서 촬영.]]
 
동아시아에서 역사적으로 종서로세로쓰기는 표준 체계로 자리 잡아, 횡서는가로쓰기는 오로지 공간이 가로로만 한정된 편액 따위간판 등에서만 사용되었다. 사실 이 횡서는가로쓰기는 각 행에 한 글자만 들어갈 수 있는 ‘특수한 종서’라고세로쓰기’라고 볼 수 있다.
 
그래서 [[제2차 세계 대전]] 종료 이전의 [[일본]]에서는 이런 간판들이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읽혔다.
 
오늘날 동아시아에서는 서자 방향이 좌에서왼쪽에서 우인오른쪽인 것이 횡서가로쓰기에서 일반적이다. 이것은 [[영어]]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특히 컴퓨터에서 그런 경향이 강하다.
 
그러나 우횡서는우횡서 가로쓰기는 여전히 쓰이고 있다. [[정체자]]가 쓰이는 중국어권 지역이나 일본의 경우, 간판이나 차량의 오른편 등에 우횡서가우횡서 가로쓰기가 사용되고 있다.
 
== 역사 ==
70번째 줄:
한국어도 다른 한자 문화권 언어와 마찬가지로 전통적으로 우종서를 써왔고, 간혹 간판 등에서 우횡서를 썼다.
 
광복 이후 [[한국]]의 근대화가 진행되면서 일본과 마찬가지로 좌횡서가가로쓰기(좌횡서)가 적극적으로 도입되게 되었다. [[책|서적]]도 점진적으로 종서에서세로쓰기에서 횡서로가로쓰기로 변모해 갔다. 다만, [[대한민국]]의 신문 대부분은 오랫동안 횡서를세로쓰기를 고수하였는데, [[1988년]] 창간된 중앙 일간지 《[[한겨레|한겨레신문]]》은 창간 때부터 횡서를가로쓰기를 도입하였다.<ref name="한국최초">1988년 이전에도 횡서를가로쓰기를 채용한 신문이 있었다. [[1947년]] [[8월 15일]] [[광주광역시|전라남도 광주]]에서 창간된 《[[호남신문]]》이 한국 최초로 횡서를가로쓰기를 도입한 신문이다. 다만 중앙지로서는 《[[한겨레|한겨레신문]]》이 최초이다.{{서적 인용
|저자=김은신|제목=이것이 한국 최초|꺾쇠표=예|날짜=1995-11-01|출판사=삼문|id=ISBN 978-89-85407-35-9|쪽=96~98쪽}}</ref> 그리고 [[1990년대]] 들어 《[[중앙일보]]》를 필두로 하여 종서로세로쓰기를 하던 대한민국의 다른 중앙 일간지들도 가로로 쓰기 시작했다. 현재 대한민국의 중앙 일간지 가운데 종서로세로쓰기를 기재하는쓰는 신문은 없다.<ref>{{뉴스 인용|제목=결산공고는 세로쓰기의 ‘마지막 보루’?|url=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55899|출판사=미디어오늘|저자=이수강 기자|쪽=|날짜=2007년 4월 4일|확인일자=}} 단, 결산공고는 아직까지도 세로쓰기를 고집한다.
</ref>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건국 이후 횡서가가로쓰기가 일반적이었다. 《로동신문》을 비롯한 주요 일간지들은 가로쓰기이며, [[조선말규범집]]에서는 이와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다.
 
{{인용문|조선글은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으로 가로쓰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특수하게 내려쓸 때에는 오른쪽으로부터 왼쪽으로 내려쓴다. 그러나 가로쓰는 글과 배합하여 내려쓰는 경우에는 왼쪽으로부터 오른쪽으로 쓰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내려쓸 때의 맞춤법, 띄어쓰기, 부호 등은 다 가로쓸 때의 규칙을 그대로 적용한다. }}
 
=== 중국어 ===
최초로 횡서로가로쓰기로 인쇄된 중국어 텍스트는 [[1815년|1815]]~[[1823년|1823]] [[마카오]]에서 출판된 [[로버트 모리슨]]({{lang|en|Robert Morrison}})의 《중국어 사전({{lang|en|Dictionary of the Chinese language}})》이다.
 
횡서로가로쓰기로 된 중국어 출판물 중 널리 알려진 것 중에서 가장 오래된 것은 잡지 《과학(科學)》이다. [[1915년]] [[1월]]에 발행된 이 잡지의 첫 호는 당시에는 생소했던 판형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인용문| {{lang|zh-tw|本雜誌印法,旁行上左,並用西文句讀點之,以便插寫算術及物理化學諸程式,非故好新奇,讀者諒之。}}<br />
본 잡지의 인쇄법은 위 왼쪽에서 옆으로 가는 방식에 서양문의 구두점을 병용하였습니다. 이것은 산술·물리·화학의 여러 공식을 삽입하기 편리하게 하기 위함이며 새로움을 추종하기 위함이 아닙니다. 독자들께서는 이를 양해해 주십시오. }}
 
횡서의가로쓰기의 증가와 더불어, 종서,가로쓰기와 횡서세로쓰기 모두 동시에 사용되게 되었다. 횡서가로쓰기 지지자들은 우종서는 글을 쓸 때 때 묻기 쉽다고 주장하였다. 반대로 종서세로쓰기 주장자들은 횡서는가로쓰기는 확립된 전통의 파괴라고 생각하였다.
 
[[1949년]] [[국공 내전|공산당의공산 대륙혁명의 점거성공]] 이후에 세운 [[중화인민공화국]]은 [[간체자]]를 제정하면서 또한, 횡서를가로쓰기를 적극적으로 사용하기로 했다. 중국 대륙의 모든 신문은 [[1956년]] [[1월 1일]]에 종서를세로쓰기를 횡서로가로쓰기로 변경했다바꾸었다. 이후에 간체자를 도입한 [[싱가포르]]에서도 종서는세로쓰기는 희귀해졌다. [[타이완]] 및 [[홍콩]], 마카오와 오래된 [[화교]] 사회에서는 기존의 방식을 이어오다가 [[1990년대]]에 들어와 점진적으로 횡서가가로쓰기가 도입되게 되었다. [[2000년대]] 초반까지 이 지역의 신문 대부분은 좌횡서로 대체하거나 좌횡서 제목에 종서를세로쓰기를 결합한 형태로 바꾸었다.
 
=== 일본어 ===
[[파일:Tateyoko-ko.png|thumb|일본어의 가로쓰기와 세로쓰기]]
[[파일:RIKEN VITAMIN.png|thumb|right|[[1938년]] 일본의 한 잡지 광고. 우종서와 미기 요코가키(右橫書き)로 쓰여 있다. 다만 상품 레이블에는 영어와 같이 좌횡서로 쓰여져 있다.]]
일본어의 횡서는가로쓰기는 원래 [[메이지 시대]]에 일본인들이 서양어 사전의 인쇄를 시도한 데에서 유래한다. 최초에는 횡서로가로쓰기로 된 서양어 텍스트와 종서로세로쓰기로 된 일본어 텍스트를 혼합한 형태로 인쇄되었는데, 이것은 일본어 텍스트를 읽으려면 책을 90도 돌려야 한다는 것을 의미했다. 이것은 다루기 어려웠기 때문에 ‘요코가키({{lang|ja|橫書き}}: 횡서가로쓰기) 사상(思想)’이 받아들여지게 되었다. 일본어에 횡서를가로쓰기를 부분적으로 사용한 최초의 출판물 중 하나는 [[1885년]]([[메이지 시대|메이지]] 18년)에 출판된 《수진삽도독화사서(袖珍揷圖獨和辭書)》이다.
 
횡서가로쓰기 배열로 이행하던 초기에 잠깐 유행한 ‘미기 요코가키({{lang|ja|右橫書き}})’가 있었다. 이것은 아랍어와 비슷한 방식이었다. 이 방식은 널리 사용되지 못하여 살아남지 못했다. 현재도 일본은 신문과 출판물이 대부분 세로쓰기를 사용한다.
 
== 용례 ==
109번째 줄:
[[파일:Forbidden City Gate of Heaven 1.jpg|thumb|[[톈안먼]]의 표어(‘중화인민공화국 만세’와 ‘세계 인민 대단결 만세’)은 간체자로 좌횡서로 씌어 있다.]]
 
==== 중국어 간체자간체 ====
한자의 간체자가 사용되는 [[중국 대륙]]과 [[싱가포르]]에서는 종서가세로쓰기가 매우 드물어졌다. 현재 [[출판물|출판]] 대부분은 [[영어]]처럼 횡서로가로쓰기로 되어 있으며, 종서는세로쓰기는 주로 [[예술]]적이거나 [[미학]]적인 목적에서 사용된다.
 
횡서는가로쓰기는 좌횡서로 쓰이는 게 일반적이나, [[아랍어]] [[사전]] 같은 경우 우횡서로 출판된다.
 
==== 일본어와 중국어 정체자 ====
 
종서,가로쓰기와 횡서세로쓰기는 모두 중국어 정체가 쓰이는 타이완·홍콩·마카오와 일본에서 쓰인다. 중국어 정체는 중국 대륙에서 고전을 쓸 때와 같이 제한된 경우에 쓰인다. 이때는 종서,가로쓰기와 횡서세로쓰기 모두 쓰인다.
 
[[파일:Hebei Wen'an jin fasheng dizhen - Beijing you zhengan.png|thumb|right|중국어 정체로 세로쓰기로 쓰인 신문 기사. 제목은 좌횡서로 씌어 있다. 로마자와 인도-아라비아 숫자는 90도 회전되어 있다.]]
종서는세로쓰기는 소설·신문·만화 등에 폭넓게 사용된다. 종서는세로쓰기는 글씨가 아래로 내려가기 때문에 늘 책의 옆면에 사용된다. 몇몇 신문은 두 가지 형태를 섞어 기사 내용은 세로쓰기로 하되 제목은 좌횡서로 쓰는 식으로 하고 있다. [[샤쿠하치]](尺八) 같은 일본 악기의 악보도 세로쓰기로 쓰인다.
 
다른 언어의 문구를 포함하는 학술적인 텍스트에서는 주로 횡서가가로쓰기가 쓰인다. 과학이나 수학 텍스트는 거의 항상 횡서가가로쓰기로 쓰인다. 컴퓨터 텍스트도 거의 횡서로가로쓰기로 쓰인다.
 
일본의 명함은 한 면은 일본어를 종서로세로쓰기로 인쇄하고, 반대 면은 영어를 횡서로가로쓰기로 인쇄한다. 엽서나 손으로 쓴 편지는 종서,가로쓰기와 횡서세로쓰기 모두 사용되는데, 횡서가세로쓰기가 더 일반적이다.
 
일본어는 종서에세로쓰기에서 사용되는 ‘、’대신에 ‘,’가 사용되도록 규정되어 있으나, 현실에서 잘 지켜지고 있지는 않다. 중국어에서는 ‘:’이 종·횡서가로쓰기와 세로쓰기 모두 같은 모양으로 쓰이는데, 이것은 한국어에서 종서일세로쓰기일 때 90도 회전되는 것과 다르다.<ref>[[:그림:Hengpai-shupai.png|횡서와 종서 예시 그림 (위키미디어 공용)]]</ref>
 
타이완 등 중국어 정체번체 사용 지역에서는 구두점이 가운데에 놓이는 경우가 일반적인데, 중국 대륙이나 일본과 다른 점이다. 다음 표에 그 예가 있다.
 
{| align="center" class="wikitable"
188번째 줄:
| <div style="-webkit-writing-mode:vertical-rl; height:300px;">「<ruby><rb>吾</rb><rp>(</rp><rt>오</rt><rp>)</rp></ruby><ruby><rb>等</rb><rp>(</rp><rt>등</rt><rp>)</rp></ruby>은 <ruby><rb>玆</rb><rp>(</rp><rt>자</rt><rp>)</rp></ruby>에 <ruby><rb>我</rb><rp>(</rp><rt>아</rt><rp>)</rp></ruby> <ruby><rb>朝</rb><rp>(</rp><rt>조</rt><rp>)</rp></ruby><ruby><rb>鮮</rb><rp>(</rp><rt>선</rt><rp>)</rp></ruby>의 <ruby><rb>獨</rb><rp>(</rp><rt>독</rt><rp>)</rp></ruby><ruby><rb>立</rb><rp>(</rp><rt>립</rt><rp>)</rp></ruby><ruby><rb>國</rb><rp>(</rp><rt>국</rt><rp>)</rp></ruby>임과 <ruby><rb>朝</rb><rp>(</rp><rt>조</rt><rp>)</rp></ruby><ruby><rb>鮮</rb><rp>(</rp><rt>선</rt><rp>)</rp></ruby><ruby><rb>人</rb><rp>(</rp><rt>인</rt><rp>)</rp></ruby>의 <ruby><rb>自</rb><rp>(</rp><rt>자</rt><rp>)</rp></ruby><ruby><rb>主</rb><rp>(</rp><rt>주</rt><rp>)</rp></ruby><ruby><rb>民</rb><rp>(</rp><rt>민</rt><rp>)</rp></ruby>임을 <ruby><rb>宣</rb><rp>(</rp><rt>선</rt><rp>)</rp></ruby><ruby><rb>言</rb><rp>(</rp><rt>언</rt><rp>)</rp></ruby>하노라。 <ruby><rb>此</rb><rp>(</rp><rt>차</rt><rp>)</rp></ruby>로써 <ruby><rb>世</rb><rp>(</rp><rt>세</rt><rp>)</rp></ruby><ruby><rb>界</rb><rp>(</rp><rt>계</rt><rp>)</rp></ruby><ruby><rb>萬</rb><rp>(</rp><rt>만</rt><rp>)</rp></ruby><ruby><rb>邦</rb><rp>(</rp><rt>방</rt><rp>)</rp></ruby>에 <ruby><rb>告</rb><rp>(</rp><rt>고</rt><rp>)</rp></ruby>하야 <ruby><rb>人</rb><rp>(</rp><rt>인</rt><rp>)</rp></ruby><ruby><rb>類</rb><rp>(</rp><rt>류</rt><rp>)</rp></ruby><ruby><rb>平</rb><rp>(</rp><rt>평</rt><rp>)</rp></ruby><ruby><rb>等</rb><rp>(</rp><rt>등</rt><rp>)</rp></ruby>의 <ruby><rb>大</rb><rp>(</rp><rt>대</rt><rp>)</rp></ruby><ruby><rb>義</rb><rp>(</rp><rt>의</rt><rp>)</rp></ruby>를 <ruby><rb>克</rb><rp>(</rp><rt>극</rt><rp>)</rp></ruby><ruby><rb>明</rb><rp>(</rp><rt>명</rt><rp>)</rp></ruby>하며、 <ruby><rb>此</rb><rp>(</rp><rt>차</rt><rp>)</rp></ruby>로써 <ruby><rb>子</rb><rp>(</rp><rt>자</rt><rp>)</rp></ruby><ruby><rb>孫</rb><rp>(</rp><rt>손</rt><rp>)</rp></ruby><ruby><rb>萬</rb><rp>(</rp><rt>만</rt><rp>)</rp></ruby><ruby><rb>代</rb><rp>(</rp><rt>대</rt><rp>)</rp></ruby>에 <ruby><rb>誥</rb><rp>(</rp><rt>고</rt><rp>)</rp></ruby>하야 <ruby><rb>民</rb><rp>(</rp><rt>민</rt><rp>)</rp></ruby><ruby><rb>族</rb><rp>(</rp><rt>족</rt><rp>)</rp></ruby><ruby><rb>自</rb><rp>(</rp><rt>자</rt><rp>)</rp></ruby><ruby><rb>存</rb><rp>(</rp><rt>존</rt><rp>)</rp></ruby>의 <ruby><rb>政</rb><rp>(</rp><rt>정</rt><rp>)</rp></ruby><ruby><rb>權</rb><rp>(</rp><rt>권</rt><rp>)</rp></ruby>을 <ruby><rb>永</rb><rp>(</rp><rt>영</rt><rp>)</rp></ruby><ruby><rb>有</rb><rp>(</rp><rt>유</rt><rp>)</rp></ruby>케 하노라。」<br/><div style="text-align:right;">── 《<ruby><rb>己</rb><rp>(</rp><rt>기</rt><rp>)</rp></ruby><ruby><rb>未</rb><rp>(</rp><rt>미</rt><rp>)</rp></ruby><ruby><rb>獨</rb><rp>(</rp><rt>독</rt><rp>)</rp></ruby><ruby><rb>立</rb><rp>(</rp><rt>립</rt><rp>)</rp></ruby><ruby><rb>宣</rb><rp>(</rp><rt>선</rt><rp>)</rp></ruby><ruby><rb>言</rb><rp>(</rp><rt>언</rt><rp>)</rp></ruby>》</div></div>
|-
! [[정체자번체자]]중국어
| <div lang=zh-tw style="writing-mode:tb-rl; font-family:細明體; height:200px;">「我等之見解為,下述真理不證自明:凡人生而平等,秉造物者之賜,擁諸無可轉讓之權利,包含生命權、自由權、與追尋幸福之權。」<br/><div style="text-align:right;">——《美國獨立宣言》</div></div>
| <div lang=zh-tw style="writing-mode:tb-rl; font-family:細明體; height:200px;">「我等之見解為,下述真理不證自明:凡人生而平等,秉造物者之賜,擁諸無可轉讓之權利,包含生命權、自由權、與追尋幸福之權。」<br/><div style="text-align:right;">——《美國獨立宣言》</div></di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