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m 모바일 웹
22번째 줄:
 
== 개요 ==
'''도쿄'''라고 하는 명칭은 [[1869년]] [[9월]]([[메이지]] 원년 또는 [[게이오]] 4년 [[음력 7월|7월]])에 반포된 칙서인 "에도를 칭하여 도쿄라고 삼음"({{lang|ja|江戸ヲ称シテ東京ト為スノ詔書}})에 따라, [[에도]]의 [[마치부교]](町奉行)가 관할하던 지역을 관할하는 [[도쿄 부]](東京府)가 설치된 것에서 유래한다. "東京"이라는 한자는 [[교토 시|교토]]에서 볼 때 "동쪽의 도읍지"라는 의미를 뜻한다. 메이지 중기까지는 '{{lang|ja|東亰}}'라는 표기 또한 사용되었다. (亰는 京의 속자)
 
이 지역이 "도쿄"라는 발음으로 굳어진 것은 [[메이지]]시대 중기였고, 이전에는 "도케이"({{lang|ja|トウケイ}}, 한자 표기는 東京)라고 불리어왔다. 흔히 도쿄와 요코하마를 묶어 말하는 [[게이힌 공업 지대]](京濱工業地帶), [[케이힌 급행 철도]], [[게이오 철도]] 등에서 "케이"(京)는 과거 도쿄를 읽던 다른 이름인 "도케이"에서 유래한 것이다.
 
[[메이지 유신]]에 의한 신(新) 정부 수뇌진은 [[에도]]로 천도하는 것을 검토하였으나, 당시 교토의 귀족들과 관인들의 반발이 컸던 이유로 일단 "에도 또한 도읍지이다"라고 선언했다고 전해진다. 그리고 "에도 또한 (일본의) 도읍지가 된 이상 천황은 에도(도쿄)에서도 행정을 수행할 필요가 있다"라는 빌미로 천황의 이동<ref>천황의 거둥을 교코(行幸)라 함</ref>이 계획되었다. [[메이지 천황]]은 1868년 11월(메이지 원년 10월)에 도케이 성(구 [[에도 성]])에 들어갔고 그 후 한번은 교토에 돌아온다. [[1869년]] [[5월]](메이지 2년 [[음력 3월|3월]])에 다시 도쿄(이 당시 도케이 성이 "황성"이 되었음)로 이동하였으며, [[대정관|대정]]({{lang|ja|太政官}}) 또한 이동하게 되었다.
 
[[대정관|관]]({{lang|ja|太政官}}) 또한 이동하게 되었다. 후로, 일본 천황과 정부가 교토로 돌아오는 일은 더 이상더이상 없게 되면서, 사실 사실상의상의 '도쿄 천도'가 이루어진 것으로 전해진다. 현재까지 '도쿄 천도' 자체는 일본 법령에 의해 명시되어 있지 않으며 일본에서는 도쿄를 수도로 직접 정한 법령 또한 존재하지 않으나 [[간토 대지진]] 직후인 [[1923년]] [[9월 12일]]에 발표된 [[다이쇼 천황]]의 칙어 중에 "도쿄는 제국([[일본 제국]])의 수도로 하고"({{lang|ja|東京ハ帝国ノ首都ニシテ}})라는 문헌이 남아 있다. 그러나 교토 어소는 지금까지 폐지되지 않은 채로 남아 있으며 경내의 [[시신덴]](紫宸殿)에는 천황이 있는 곳임을 나타내는 어좌가 안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천도를 부정하는 의견 또한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는 [[일본국 헌법]]에 의거하여 주권을 천황이 아닌 국민에게 있다는 선언을 하였기 때문에 국권의 최고 기관인 [[일본 국회|국회]]의 소재지인 도쿄를 수도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는 의견 또한 있다. 한편 일본에서는 최근 들어 수도 기능을 도쿄에서 [[도치기 현|도치기]] 및 [[후쿠시마 현|후쿠시마]] 지역(나스({{lang|ja|那須}})), [[기후 현|기후]] 및 [[아이치 현|아이치]]지역(도노({{lang|ja|東濃}})), [[미에 현|미에]] 기오({{lang|ja|畿央}}) 지역 등지로 이전하려는 계획([[일본의 수도 이전 논란|일본의 수도 기능 이전]])이 부상하면서 논의를 불러 일으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