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정숙: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분류 이름 변경 (분류:일제 강점기의 사회운동가 → 분류:일제 강점기의 사회 운동가)
23번째 줄:
}}
{{군인 정보
|이름 = 허정숙
|생애 = [[1902년]] [[7월 16일]] ~ [[1991년]] [[6월 5일]]
|그림 =
|그림크기 =
|설명 =
|별명 = 본명은 허정자(許貞子), 다른 이름은 허정숙(許貞淑) 또는 허정숙(許正淑), 필명은 수가이(秀嘉伊), 가명은 정은주(鄭恩珠)
|태어난 곳 = [[조선]] [[한성부]] 종로방 관철동
|죽은 곳 = {{국기나라|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평양직할시]]
|복무 = {{국기나라|중화민국}} [[팔로군]]
|복무 기간 = [[1938년]] ~ [[1945년]]
|최종 계급 = [[팔로군]] [[육군]] [[대좌]]
|근무 = [[팔로군]] 제120사단 [[정치지도원]]
|지휘 =
|주요 참전 전투/전쟁 = [[제2차 세계 대전]]
|서훈 내역 =
|기타 이력 =
384번째 줄:
===== 출소와 연애 활동 =====
30대가 되기 이전에 남편 [[임원근]]을 비롯하여 세 명의 남자 연인을 둔 그에 대한 주변의 시선은 따가웠다. 시중에서는 그를 꼬리 잘린 여우가 자신이 꼬리가 잘렸으니 꼬리잘린 것을 자랑하는 것이라며 비판하기도 했다. [[1931년]] [[7월]] [[삼천리]]지 1931.7월호에 [[붉은 연애의 주인공들]]을 소개할 때 그에 대한 기사도 소개하였다. 그러나 허정숙에 대해서는 "아직 나이 30 이전에 애인을 세 번" 가지게 된 과정만 장황하게 늘어놓았다.<ref>이상경, 《한국근대여성문학사론》 (소명출판, 2002) 88페이지</ref>
 
[[송봉우]]와의 동거는 [[미국]] 여행을 갔다 온 이후에도 [[송봉우]]와 동거하였다. [[1932년]] [[3월]] 출감한 뒤에도 송봉우와 동거하였다. 시중에서는 이를 비꼬고 조롱하는 허송세월(許宋歲月, 허씨와 송씨가 달을 센다, 몰래 만난다)이라는 단어가 유행하였다. 하는 일 없이 세월만 헛되이 보낸다는 뜻의 허송세월(虛送歲月)을 한자 음이 비슷한 허송세월(許宋歲月)로 바꿔서 허정숙과 송봉우의 관계를 조롱한 것이었다.
 
514번째 줄:
 
===== 내각 사법상과 최고재판소장 =====
[[1953년]] [[9월]] [[소련]]을 방문하는 [[김일성]]을 수행하여 [[모스크바]]를 다녀왔다.
1956년 4월의 [[조선로동당]] 당대회에서 당 중앙위원회 위원에 선출되었다. [[1957년]] [[5월]] 대외문화연락위원회 위원장이 되었다. [[1957년]] [[8월 3일]] [[사법부|사법성상]]에 임명되고 같은 달 최고인민회의 대의원 선거에 재선되었다. [[12월]] 조국통일민주전선 중앙위원에 선출되고, [[1958년]] [[5월]] [[평화옹호 전국민족위원회]] 중앙위원회 상무위원에 선출되었다.
 
918번째 줄:
* 한국민족운동사학회, 《한국민족운동사연구 50》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07)
*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0704091748401&code=960201 ‘한국문화연구’ 최신호…신여성이 본 未國, 美國, 米國] 경향신문 2007.04.09
* 신영숙, 〈일제하 신여성의 연애 결혼문제〉, 《한국학보 45》(일지사, 1986)
* 《주간 진보정치》(2001.9.14) [http://www.kdlpnews.org/reader/view_pastarticles.asp?id=200109141000000030 한국의 여성운동가들-4/ 허정숙 "계급해방"과 "여성해방" 사이에서]
* [http://www.tongil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7205 北영화 `민족과 운명`은 어떤 작품인가]
925번째 줄:
* 신영숙, 〈14. [인물 바로 보기] 사회주의 여성운동가, '조선의 콜론타이' 허정숙〉 내일을 여는 역사, 《내일을 여는 역사 제23호》 (내일을 여는 역사, 2006) pp.&nbsp;166–177
* 김경일, 〈식민지 시기 신여성의 미국 체험과 문화 수용 : 김마리아, 박인덕, 허정숙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한국어문학연구소, 《한국문화연구원논총 제11호:2006년 12월호》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06년) pp.&nbsp;45–91
* 김경애, 〈가부장제 사회에서 신여성의 삶과 남성들 : 나혜석, 김일엽, 허정숙을 중심으로〉 동덕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소, 《젠더연구 제16호:2011년》 (동덕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소, 2011) pp.&nbsp;131–150
* 신영숙, 〈일제시기 여성운동가의 삶과 그 특성 연구 - 조신성과 허정숙을 중심으로〉, 역사학회, 《역사학보》(155호) (역사학회, 1996), pp.&nbsp;129–158.
* 서형실, 〈정열의 여성운동가 허정숙〉, 한국여성연구소, 《여성과 사회 3호》 (한국여성연구소, 1992), pp.&nbsp;198–222.
* 허정숙, 〈위대한 사랑의 력사를 되새기며》 (조선로동당출판사, 1989)
* 허정숙, 《민주건국의 나날에》 (조선로동당출판사, 1986)
* 허정숙, 《은혜로운 사랑 속에서 (1 - 4)》 (삼학사, 1981)
* 허정숙, 〈주체의 혁명위업에 끝없이 충실한 공산주의 녀성혁명가의 빛나는 생애〉 <근로자> 1987.12
* 허정숙, 〈발연왕유지유감조〉 1985. 3, 천지, 길림성
948번째 줄:
* 문옥표 외, 《신여성》 (청년사, 2004)
* 찰스 암스트롱, 《북조선 탄생》 (김영철, 이정우 옮김, 서해문집, 2006)
* 이승원, 《세계로 떠난 조선의 지식인들:100년 전 그들은 세계를 어떻게 인식했을까?》 (휴머니스트, 2009)
* 이철, 《경성을 뒤흔든 11가지 연애사건》 (다산초당, 2008)
* 한일여성공동역사교재편찬위원회, 《여성의 눈으로 본 한일 근현대사》 (한울, 2005)
959번째 줄:
* 최규진, 《근대를 보는 창 20:인간을 둘러싼 여러 이야기 묶음이 곧 역사이다》 (서해문집, 2007)
* 김호웅, 《김학철 평전》 (실천문학사, 2007)
* 김경일, 《여성의 근대, 근대의 여성:­20세기 전반기 신여성과 근대성》 (푸른역사, 2004)
* 강만길, 조선민족혁명당과 통일전선 (화평사, 1991)
* 권보드래, 《연애의 시대》 (현실문화연구, 2003)
976번째 줄:
* [http://legacy.www.hani.co.kr/section-005100032/2002/01/005100032200201281825008.html 금욕·순정…전통적 여성성 반기] 한겨레신문 2002.01.28
* [http://www.culturecontent.com/content/contentView.do?search_div=CP_THE&search_div_id=CP_THE003&cp_code=cp0423&index_id=cp04230093&content_id=cp042300930001&print=Y 사회운동가 허정숙 : 이론가의 냉철함과 활동가의 열정을 지닌 사회주의 여성운동가 - 허정숙 (1902~1991)]
* [http://news.donga.com/3/all/20041227/8143482/1 <nowiki>[</nowiki>란코프의 북한이야기<nowiki>]</nowiki>무늬만 남녀평등] 동아일보 2004.12.27
* [http://books.chosun.com/site/data/html_dir/2007/04/07/2007040700120.html 스웨덴에서 인도남자와 사랑에 빠지다] 조선일보 2007.04.06
* [http://kdlpnews.org/reader/view_pastarticles.asp?id=200109141000000030 <nowiki>[</nowiki>한국의 여성운동가들-4<nowiki>]</nowiki> 허정숙 "계급해방"과 "여성해방" 사이에서]
991번째 줄:
|직책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문화선전성|문화선전상]]
|임기 = [[1948년]] [[9월 9일]] ~ [[1957년]] [[9월 20일]]
}}
{{전임후임|
|전임자 = (신설)
998번째 줄:
|직책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보건부|보건성]] 부상
|임기 = [[1948년]] [[9월 9일]] ~ [[1957년]] [[9월 20일]]
}}
{{전임후임|
|전임자 = [[리병남]]
1,005번째 줄:
|직책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보건부|보건상]]
|임기 = [[1948년]] [[12월 1일]] ~ [[1949년]] [[9월 30일]]
}}
{{전임후임|
|전임자 = [[리승엽]]
1,019번째 줄:
|직책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사법부|사법상]]
|임기 = [[1959년]] ~ [[1961년]] [[10월 13일]]
}}
 
{{전임후임|
|전임자 =
1,037번째 줄:
{{전임후임|
|전임자 = [[김정일]]
|후임자 = [[김용순 (1934년)|김용순]]
|대수=
|직책 = [[조선로동당|조선로동당 중앙위원회]] [[비서]]
1,046번째 줄:
[[분류:1902년 태어남]]
[[분류:1991년 죽음]]
[[분류:일제 강점기의 사회운동가사회 운동가]]
[[분류:일제 강점기의 언론인]]
[[분류:일제 강점기의 작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