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 물리학상: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175.206.27.253(토론)의 17413938판 편집을 되돌림
32번째 줄:
|[[파일:Hendrik Antoon Lorentz.jpg|75px]]
|[[헨드릭 안톤 로런츠|헨드릭 로런츠]]
| rowspan="2" |{{국기나라|네덜란드}}
|rowspan=2| 복사 현상에 대한 [[자기]]의 영향에 대한 연구<br /> ([[제이만 효과]] 참조)
|-
|[[파일:Pieter Zeeman.jpg|75px]]
|[[피터르 제이만]]
|{{국기나라|네덜란드}}
|-
|rowspan=3|[[1903년]]
|[[파일:Portrait of Antoine-Henri Becquerel.jpg|75px]]
|[[앙투안 앙리 베크렐]]
| rowspan="2" |{{국기나라|프랑스}}
|[[방사선]]의 발견
|-
|[[파일:PierreCurie.jpg|75px]]
|[[피에르 퀴리]]
|{{국기나라|프랑스}}
|rowspan=2|[[앙투안 앙리 베크렐|앙리 베크렐]]이 발견한 방사선에 대한 공동 연구
|-
줄 206 ⟶ 208:
|[[파일:James Franck 1925.jpg|75px]]
|[[제임스 프랑크]]
| rowspan="2" |{{국기나라|바이마르 공화국}}
|rowspan=2|원자에 대한 [[전자]]의 충돌에 관한 법칙 발견<br />([[프랑크-헤르츠 실험]])
|-
|[[파일:Gustav Hertz.jpg|75px]]
|[[구스타프 헤르츠]]
|{{국기나라|바이마르 공화국}}
|-
|[[1926년]]
줄 226 ⟶ 229:
|[[파일:Charles Thomson Rees Wilson at 1927 Solvay conference.jpg|75px]]
|[[찰스 톰슨 리스 윌슨]]
| rowspan="2" |{{국기나라|영국}}
|대전된 입자의 경로를 증기의 응축을 통해 볼 수 있는 방법의 개발<br />([[안개상자]] 참조)
|-
줄 232 ⟶ 235:
|[[파일:Owen Richardson.jpg|75px]]
|[[오언 윌런스 리처드슨]]
|{{국기나라|영국}}
|[[열전자방출]]에 관한 연구와 리처드슨 법칙의 발견
|-
줄 292 ⟶ 296:
|[[파일:Carl Anderson.jpg|75px]]
|[[칼 데이비드 앤더슨]]
| rowspan="2" |{{국기나라|미국}}
|[[양전자]]의 발견
|-
줄 298 ⟶ 302:
|[[파일:Clinton Davisson.jpg|75px]]
|[[클린턴 조지프 데이비슨]]
|{{국기나라|미국}}
|rowspan=2|결정에 의한 [[전자회절|전자의 회절]] 현상 발견([[물질파]] 참조)
|-
줄 336 ⟶ 341:
|[[파일:Otto Stern.jpg|75px]]
|[[오토 슈테른]]
| rowspan="2" |{{국기나라|미국}}
|분자선 방법의 개발과 [[양성자]]의 [[자기모멘트]]의 발견
|-
줄 342 ⟶ 347:
|[[파일:Isidor Isaac Rabi.jpg|75px]]
|[[이지도어 아이작 라비]]
|{{국기나라|미국}}
|원자핵의 자기적 성질을 측정하는 공명법의 개발([[핵자기 공명]])
|-
줄 359 ⟶ 365:
|[[파일:Appleton.jpg|75px]]
|[[에드워드 빅터 애플턴]]
| rowspan="2" |{{국기나라|영국}}
|대기권 상층부의 연구와 [[애플턴 층]]의 발견
|-
줄 365 ⟶ 371:
|[[파일:Blackett-large.jpg|75px]]
|[[패트릭 메이너드 스튜어트 블래킷]]
|{{국기나라|영국}}
|[[찰스 톰슨 리스 윌슨|윌슨]]의 [[안개상자]] 방법의 개발과 핵물리학 및 [[우주선 (물리)|우주선]] 분야의 연구
|-
줄 389 ⟶ 396:
|핵반응 연구 방법 개발과 이 방법에 의한 중간자([[파이온]]) 발견
|-
|rowspan=2|[[1951년]]
|[[파일:Ernest Walton.jpg|75px]]
|[[어니스트 토머스 신턴 월턴]]
|{{국기나라|아일랜드}}
| rowspan="2" |인공적으로 가속된 원자에 의한 원자핵의 변환 연구
|-
|
|
|[[존 더글러스 코크로프트]]
|{{국기나라|영국}}
|rowspan=2|인공적으로 가속된 원자에 의한 원자핵의 변환 연구
|-
|[[파일:Ernest Walton.jpg|75px]]
|[[어니스트 토머스 신턴 월턴]]
|{{국기나라|아일랜드}}
|-
|rowspan=2|[[1952년]]
줄 430 ⟶ 436:
|[[파일:Willis Lamb 1955.jpg|75px]]
|[[윌리스 유진 램]]
| rowspan="2" |{{국기나라|미국}}
|수소 스펙트럼의 [[미세구조]]의 발견([[램 이동]] 참조)
|-
|[[파일:Polykarp Kusch.jpg|75px]]
|[[폴리카프 쿠시]]
|{{국기나라|미국}}
|전자의 자기모멘트의 정밀한 측정
|-
줄 440 ⟶ 447:
|[[파일:William Shockley, Stanford University.jpg|75px]]
|[[윌리엄 쇼클리|윌리엄 브래드퍼드 쇼클리]]
| rowspan="3" |{{국기나라|미국}}
|rowspan=3|[[반도체]]의 연구와 [[트랜지스터]] 효과의 발견
|-
|[[파일:Bardeen.jpg|75px]]
|[[존 바딘]]
|{{국기나라|미국}}
|-
|[[파일:Brattain.jpg|75px]]
|[[월터 하우저 브래튼]]
|{{국기나라|미국}}
|-
|rowspan=2|[[1957년]]
|[[파일:CNYang.jpg|75px]]
|[[양전닝]]
| rowspan="2" |{{국기나라|미국}}<br />({{국기나라|중화민국}})
|rowspan=2|[[기본입자]]의 발견을 이끈 [[홀짝성 비보존]]의 연구
|-
|
|[[리정다오]]
|{{국기나라|미국}}<br />({{국기나라|중화민국}})
|-
|rowspan=3|[[1958년]]
|[[파일:Cerenkov.jpg|75px]]
|[[파벨 알렉세예비치 체렌코프]]
| rowspan="3" |{{국기나라|소비에트 연방}}
|rowspan=3|[[체렌코프 효과|체렌코프-바빌로프 효과]](체렌코프 효과)의 발견과 해석
|-
|[[파일:Ilya Frank.jpg|75px]]
|[[일리야 프란크]]
|{{국기나라|소비에트 연방}}
|-
|[[파일:Igor Tamm.jpg|75px]]
|[[이고리 탐]]
|{{국기나라|소비에트 연방}}
|-
|rowspan=2|[[1959년]]
|[[파일:Segre.jpg|75px]]
|[[에밀리오 지노 세그레]]
| rowspan="2" |{{국기나라|미국}}
|rowspan=2|[[반양성자]]의 발견
|-
|[[파일:Owen Chamberlain.jpg|75px]]
|[[오언 체임벌린]]
|{{국기나라|미국}}
|-
|}
줄 492 ⟶ 505:
|[[파일:Donald Glaser.jpg|75px]]
|[[도널드 아서 글레이저]]
| rowspan="2" |{{국기나라|미국}}
|[[거품 상자]]의 발명
|-
줄 498 ⟶ 511:
|[[파일:Robert Hofstadter.jpg|75px]]
|[[로버트 호프스태터]]
|{{국기나라|미국}}
|원자핵 안에서의 전자산란에 관한 연구와 [[핵자]]의 구조 발견
|-
줄 529 ⟶ 543:
|[[파일:Basov.jpg|75px]]
|[[니콜라이 바소프]]
| rowspan="2" |{{국기나라|소비에트 연방}}
|rowspan=3|[[양자전기역학]]의 분야 개척과 [[메이저 (분자 증폭기)|메이저]]-[[레이저]] 원리에 기반한 [[발전기]]와 [[증폭기]]의 발명
|-
|[[파일:Aleksandr Prokhorov.jpg|75px]]
|[[알렉산드르 프로호로프]]
|{{국기나라|소비에트 연방}}
|-
|[[파일:Charles Hard Townes-Nibib-2007-retouched.jpg|75px]]
줄 547 ⟶ 562:
|[[파일:Schwinger.jpg|75px]]
|[[줄리언 슈윙거]]
| rowspan="2" |{{국기나라|미국}}
|-
|[[파일:Richard Feynman.png|75px]]
|[[리처드 파인만|리처드 필립스 파인만]]
|{{국기나라|미국}}
|-
|[[1966년]]
줄 561 ⟶ 577:
|[[파일:Hans Bethe.jpg|75px]]
|[[한스 베테|한스 알브레히트 베테]]
| rowspan="3" |{{국기나라|미국}}
|핵반응 이론에 대한 연구와 [[항성]]의 에너지 생성 원리 발견
|-
줄 567 ⟶ 583:
|[[파일:Luis Alvarez ID badge.png|75px]]
|[[루이스 월터 앨버레즈]]
|{{국기나라|미국}}
|수소 [[거품 상자]] 기술의 개발을 통한 기본입자물리학 연구와 공명 상태의 발견
|-
줄 572 ⟶ 589:
|[[파일:Murray Gell-Mann.jpg|75px]]
|[[머리 겔만]]
|{{국기나라|미국}}
|기본입자의 분류와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 ([[팔정도 (물리학)|팔정도]] 참조)
|-
줄 604 ⟶ 622:
|[[파일:Bardeen.jpg|75px]]
|[[존 바딘]]
| rowspan="3" |{{국기나라|미국}}
|rowspan=3|[[초전도 현상]]에 대한 공동 연구와 [[BCS 이론]]의 개발
|-
|[[파일:Nobel Laureate Leon Cooper in 2007.jpg|75px]]
|[[리언 쿠퍼|리언 닐 쿠퍼]]
|{{국기나라|미국}}
|-
|[[파일:John Robert Schrieffer.jpg|75px]]
|[[존 로버트 슈리퍼]]
|{{국기나라|미국}}
|-
|rowspan=3|[[1973년]]
줄 631 ⟶ 651:
|[[파일:Replace this image male-ko.svg|75px]]
|[[마틴 라일]]
| rowspan="2" |{{국기나라|영국}}
|rowspan=2|[[전파 천문학]] 분야의 개척. 마틴 라일은 [[구경 합성]]의 관측과 연구, 안토니 휴이시는 [[펄서]]의 발견
|-
|[[파일:Replace this image male-ko.svg|75px]]
|[[앤터니 휴이시]]
|{{국기나라|영국}}
|-
| rowspan="3" |[[1975년]]
|[[파일:Replace this image male-ko.svg|75px]]
|[[제임스 레인워터]]
|{{국기나라|미국}}
| rowspan="3" |[[원자핵]] 내의 집단운동과 [[입자운동]]의 연관성 발견과 이 연관성에 기반한 [[핵자 구조]] 이론의 연구
|-
|[[파일:Aage Bohr.jpg|75px]]
|[[오게 닐스 보어]]
| rowspan="2" |{{국기나라|덴마크}}
|rowspan=3|[[원자핵]] 내의 집단운동과 [[입자운동]]의 연관성 발견과 이 연관성에 기반한 [[핵자 구조]] 이론의 연구
|-
|[[파일:Mottelson,Ben 1963 Kopenhagen.jpg|75px]]
|[[벤 로위 모텔손]]
|{{국기나라|덴마크}}
|-
|[[파일:Replace this image male-ko.svg|75px]]
|[[제임스 레인워터]]
|{{국기나라|미국}}
|-
|rowspan=2|[[1976년]]
|[[파일:Burton Richter - charm quark.jpg|75px]]
|[[버튼 릭터]]
| rowspan="2" |{{국기나라|미국}}
|rowspan=2|[[핵자]]와 같이 [[쿼크]]로 이루어진 새로운 중입자 [[제이/프시 중간자|J/Ψ 입자]]의 발견
|-
|[[파일:Samuel ting 10-19-10.jpg|75px]]
|[[새뮤얼 차오 충 팅]]
|{{국기나라|미국}}
|-
|rowspan=3|[[1977년]]
|[[파일:Andersonphoto.jpg|75px]]
|[[필립 워런 앤더슨]]
| rowspan="2" |{{국기나라|미국}}
|rowspan=3|자기계 및 혼돈계의 전기적 구조에 대한 이론적 연구
|-
|[[파일:JH van Vleck 1974.jpg|75px]]
|[[존 해즈브룩 밴블렉]]
|-
|[[파일:Mott,Nevill Francis Heisenberg 1952 London.jpg|75px]]
|[[네빌 프랜시스 모트]]
|{{국기나라|영국}}
|-
|[[파일:JH van Vleck 1974.jpg|75px]]
|[[존 해즈브룩 밴블렉]]
|{{국기나라|미국}}
|-
|rowspan=3|[[1978년]]
줄 680 ⟶ 704:
|[[파일:Arno Penzias.jpg|75px]]
|[[아노 앨런 펜지어스]]
| rowspan="2" |{{국기나라|미국}}
|rowspan=2|[[우주 마이크로파 배경]]의 발견
|-
|[[파일:Wilson penzias200.jpg|75px]]
|[[로버트 우드로 윌슨]]
|{{국기나라|미국}}
|-
|rowspan=3|[[1979년]]
|[[파일:Sheldon Glashow at Harvard cropped.jpg|75px]]
|[[셀던 리 글래쇼]]
| rowspan="2" |{{국기나라|미국}}
|rowspan=3|기본입자 사이의 [[전자기력]]과 [[약한 상호작용]]의 통합에 관한 이론 연구와 약한 [[중성류]]의 예측
|-
|[[파일:Steven-weinberg.jpg|75px]]
|[[스티븐 와인버그]]
|-
|[[파일:Abdus Salam 1987.jpg|75px]]
|[[압두스 살람]]
|{{국기나라|파키스탄}}
|-
|[[파일:Steven-weinberg.jpg|75px]]
|[[스티븐 와인버그]]
|{{국기나라|미국}}
|-
|}
줄 712 ⟶ 738:
|[[파일:James-cronin.jpg|75px]]
|[[제임스 왓슨 크로닌]]
| rowspan="2" |{{국기나라|미국}}
|rowspan=2|중성 [[케이온]]의 붕괴 과정에서의 기본 대칭원리 위반 현상의 발견([[강한 상호작용의 CP 문제]] 참조)
|-
|[[파일:Val Fitch.jpg|75px]]
|[[밸 로그즈던 피치]]
|{{국기나라|미국}}
|-
|rowspan=3|[[1981년]]
|[[파일:Nicolaas Bloembergen 1981.jpg|75px]]
|[[니콜라스 블룸베르헌]]
| rowspan="2" |{{국기나라|미국}}
|rowspan=2|레이저 분광학의 연구
|-
|[[파일:Artur Schawlow, Stanford University.jpg|75px]]
|[[아서 레너드 숄로]]
|{{국기나라|미국}}
|-
|[[파일:Kai Manne Börje Siegbahn 2.jpg|75px]]
줄 768 ⟶ 796:
|[[파일:Replace this image male-ko.svg|75px]]
|[[에른스트 루스카]]
| rowspan="2" |{{국기나라|서독}}
|[[전자광학]]의 연구와 [[전자현미경]]의 개발
|-
|[[파일:Gerd Binnig sw.jpg|75px]]
|[[게르트 비니히]]
|{{국기나라|서독}}
|rowspan=2|[[주사 터널링 현미경]]의 개발
|-
줄 792 ⟶ 821:
|[[파일:Leon M. Lederman.jpg|75px]]
|[[리언 레더먼]]
| rowspan="3" |{{국기나라|미국}}
|rowspan=3|[[뮤온]] [[중성미자]]의 발견을 통한 중성미자 빔 기법과 [[렙톤]]의 이중상태 구조 연구
|-
|[[파일:Replace this image male-ko.svg|75px]]
|[[멜빈 슈워츠]]
|{{국기나라|미국}}
|-
|[[파일:Jack-Steinberger-2008.JPG|75px]]
|[[잭 스타인버거]]
|{{국기나라|미국}}
|-
|rowspan=3|[[1989년]]
|[[파일:Norman Foster Ramsey 1970 (cropped).jpg|75px]]
|[[노먼 포스터 램지]]
| rowspan="2" |{{국기나라|미국}}
|분리 진동장의 발명과 수소 메이저 및 원자 시계의 연구
|-
|[[파일:Replace this image male-ko.svg|75px]]
|[[한스 게오르크 데멜트]]
|{{국기나라|미국}}
|rowspan=2|[[이온 트랩]] 기법의 개발
|-
줄 828 ⟶ 860:
|[[파일:Replace this image male-ko.svg|75px]]
|[[제롬 아이작 프리드먼|제롬 I. 프리드먼]]
| rowspan="2" |{{국기나라|미국}}
|rowspan=3|[[쿼크 모형]]과 관련된 양성자와 속박중성자에 대한 전자의 [[심층 비탄성산란]] 연구
|-
|[[파일:Henry Kendall by Tom Frost crop.jpg|75px]]
|[[헨리 웨이 켄들]]
|{{국기나라|미국}}
|-
|[[파일:Replace this image male-ko.svg|75px]]
줄 841 ⟶ 874:
|[[파일:Pierre-Gilles crop.jpg|75px]]
|[[피에르질 드 젠]]
| rowspan="2" |{{국기나라|프랑스}}
|간단한 계의 질서 현상을 [[액정]]과 [[중합체]]와 같은 복잡한 형태로 일반화시키는 연구 방법의 발견
|-
줄 847 ⟶ 880:
|[[파일:CHARPAK Georges-24x50-2005 cropped.JPG|75px]]
|[[조르주 샤르파크]]
|{{국기나라|프랑스}}
|입자 검출기인 [[다중선 비례상자]]의 발명
|-
줄 852 ⟶ 886:
|[[파일:Russell Alan Hulse.jpg|75px]]
|[[러셀 앨런 헐스]]
| rowspan="2" |{{국기나라|미국}}
|rowspan=2|새로운 형태의 [[펄서]] 및 [[중력]] 연구의 새로운 가능성 발견
|-
|[[파일:2008JosephTaylor.jpg|75px]]
|[[조지프 후턴 테일러 주니어]]
|-
| rowspan="2" |[[1994년]]
|[[파일:Replace this image male-ko.svg|75px]]
|[[클리퍼드 슐]]
|{{국기나라|미국}}
|[[중성자 회절]]의 연구와 [[응집물질 물리학|응집물질]] 연구에서의 [[중성자 산란]] 기법의 개발
|-
|rowspan=2|[[1994년]]
|[[파일:Bertram Brockhouse.jpg|75px]]
|[[버트럼 브록하우스]]
|{{국기나라|캐나다}}
|중성자 분광학의 연구와 [[응집물질 물리학|응집물질]] 연구에서의 [[중성자 산란]] 기법의 개발
|-
|[[파일:Replace this image male-ko.svg|75px]]
|[[클리퍼드 슐]]
|{{국기나라|미국}}
|[[중성자 회절]]의 연구와 [[응집물질 물리학|응집물질]] 연구에서의 [[중성자 산란]] 기법의 개발
|-
|rowspan=2|[[1995년]]
|[[파일:Martin Perl - tau.jpg|75px]]
|[[마틴 루이스 펄]]
| rowspan="2" |{{국기나라|미국}}
|[[타우온|타우 렙톤]]의 발견과 [[렙톤]]의 연구에 대한 기여
|-
|[[파일:Frederick Reines.jpg|75px]]
|[[프레더릭 라이네스]]
|{{국기나라|미국}}
|[[중성미자]]의 관측과 [[렙톤]]의 연구에 대한 기여
|-
줄 882 ⟶ 918:
|[[파일:Nobel Laureate David Morris Lee in 2007.jpg|75px]]
|[[데이비드 모리스 리]]
| rowspan="3" |{{국기나라|미국}}
|rowspan=3|[[헬륨-3]]의 [[초유체|초유동성]] 발견
|-
|[[파일:Douglas Osheroff NSF.jpg|75px]]
|[[더글러스 D. 오셔로프]]
|{{국기나라|미국}}
|-
|[[파일:Robert Coleman Richardson.jpg|75px]]
|[[로버트 콜먼 리처드슨]]
|{{국기나라|미국}}
|-
|rowspan=3|[[1997년]]
|[[파일:Steven Chu official portrait headshot.jpg|75px]]
|[[스티븐 추]]
| rowspan="2" |{{국기나라|미국}}
|rowspan=3|레이저로 원자를 냉각하고 가두는 기법의 개발([[레이저 냉각]] 참조)
|-
|[[파일:William D. Phillips.jpg|75px]]
|[[윌리엄 대니얼 필립스]]
|-
|[[파일:Claude Cohen-Tannoudji.JPG|75px]]
|[[클로드 코엔타누지]]
|{{국기나라|프랑스}}
|-
|[[파일:William D. Phillips.jpg|75px]]
|[[윌리엄 대니얼 필립스]]
|{{국기나라|미국}}
|-
|rowspan=3|[[1998년]]
줄 921 ⟶ 960:
|[[파일:Gerard 't Hooft.jpg|75px]]
|[[헤라르뒤스 엇호프트]]
| rowspan="2" |{{국기나라|네덜란드}}
|rowspan=2|[[약한 상호작용]]의 양자역학적 구조 발견
|-
|[[파일:Martinus Veltman.jpg|75px]]
|[[마르티뉘스 펠트만]]
|{{국기나라|네덜란드}}
|-
|}
줄 955 ⟶ 995:
|[[파일:Replace this image male-ko.svg|75px]]
|[[에릭 코넬]]
| rowspan="2" |{{국기나라|미국}}
|rowspan=3|알칼리 원자의 희석 가스에서의 [[보스-아인슈타인 응축]]에 관한 공헌과 그 응축체의 속성에 관한 초기의 근본 연구
|-
|[[파일:Replace this image male-ko.svg|75px]]
|[[칼 위만]]
|{{국기나라|미국}}
|-
|[[파일:Ketterle.jpg|75px]]
줄 965 ⟶ 1,006:
|{{국기나라|독일}}
|-
|rowspan=3|[[2002년]]
|
|[[파일:Raymond Davis, Jr 2001.jpg|75px]]
|[[레이몬드 데이비스 주니어]]
|{{국기나라|미국}}
|rowspan=2|천체물리학의 개척에 관한 공헌, 특히 우주 [[중성미자]]의 탐지에 관한 공헌
|-
|[[파일:Replace this image male-ko.svg|75px]]
|[[고시바 마사토시]]
|{{국기나라|일본}}
|
|-
| rowspan="2" |[[2002년]]
|[[파일:Raymond Davis, Jr 2001.jpg|75px]]
|[[레이몬드 데이비스 주니어]]
| rowspan="2" |{{국기나라|미국}}
|천체물리학의 개척에 관한 공헌, 특히 우주 [[중성미자]]의 탐지에 관한 공헌
|-
|[[파일:RiccardoGiacconi.jpg|75px]]
|[[리카르도 지아코니]]
|{{국기나라|미국}}
|우주 엑스선원의 발견을 이끈 천체물리학을 개척한 공로
|-
줄 998 ⟶ 1,038:
|[[파일:David Gross LANL.jpg|75px]]
|[[데이비드 그로스]]
| rowspan="3" |{{국기나라|미국}}
|rowspan=3|[[강한 상호작용]] 이론에서의 [[점근 자유성]]에 관한 공헌
|-
|[[파일:Replace this image male-ko.svg|75px]]
|[[데이비드 폴리처]]
|{{국기나라|미국}}
|-
|[[파일:FrankStockholm2004.jpg|75px]]
|[[프랑크 윌첵]]
|{{국기나라|미국}}
|-
|rowspan=3|[[2005년]]
|[[파일:Roy Glauber Dec 10 2005.jpg|75px]]
|[[로이 J. 글라우버]]
| rowspan="2" |{{국기나라|미국}}
|광학 [[결맞음]]에 관한 양자론적 공헌
|-
|[[파일:John L. Hall.jpg|75px]]
|[[존 홀]]
|{{국기나라|미국}}
|rowspan=2|광학 주파수 빗 기술을 포함하여 레이저-기반의 정밀 분광학의 개발에 관한 공헌
|-
줄 1,024 ⟶ 1,067:
|[[파일:John-C-Mather5.jpg|75px]]
|[[존 매더]]
| rowspan="2" |{{국기나라|미국}}
|rowspan=2|[[우주 마이크로파 배경]]의 [[비등방성]]과 [[흑체]] 형태의 발견
|-
|[[파일:George Smoot cropped.jpg|75px]]
|[[조지 스무트]]
|{{국기나라|미국}}
|-
|rowspan=2|[[2007년]]
줄 1,043 ⟶ 1,087:
|[[파일:Makoto Kobayashi-press conference Dec 07th, 2008-2b.jpg|75px]]
|[[고바야시 마코토 (물리학자)|고바야시 마코토]]
| rowspan="2" |{{국기나라|일본}}
|rowspan=2|자연적 [[쿼크]]가 적어도 3개 이상 존재 예상하는 [[대칭성의 깨짐|대칭 깨짐의 원리]]를 발견
|-
|[[파일:Toshihide Masukawa-press conference Dec 07th, 2008-4.jpg|75px]]
|[[마스카와 도시히데]]
|{{국기나라|일본}}
|-
|[[파일:YoichiroNambu.jpg|75px]]
줄 1,091 ⟶ 1,136:
|[[파일:Nobel Prize 2011-Press Conference KVA-DSC 7744.jpg|75px]]
|[[솔 펄머터]]
| rowspan="2" |{{국기나라|미국}}
|rowspan=3|[[초신성]] 관찰을 통해 우주 팽창 속도가 가속됨을 발견
|-
|[[파일:Adam Riess Agr cover.jpg|75px]]
|[[애덤 리스]]
|-
|[[파일:Brian Schmidt.jpg|75px]]
|[[브라이언 슈밋]]
|{{국기나라|미국}}<br />{{국기나라|오스트레일리아}}
|-
|[[파일:Adam Riess Agr cover.jpg|75px]]
|[[애덤 리스]]
|{{국기나라|미국}}
|-
|rowspan=2|[[2012년]]
줄 1,124 ⟶ 1,170:
|[[파일:Replace this image male-ko.svg|75px]]
|[[아카사키 이사무]]
| rowspan="2" |{{국기나라|일본}}
|rowspan="3"|에너지 효율성이 높은 청색 [[발광 다이오드]]의 개발
|-
|[[파일:Replace this image male-ko.svg|75px]]
|[[아마노 히로시]]
|{{국기나라|일본}}
|-
|[[파일:Professor Shuji Nakamura (Cropped).jpg|75px]]
줄 1,147 ⟶ 1,194:
|
|[[데이비드 사울리스]]
| rowspan="3" |{{국기나라|영국}}<br />{{국기나라|미국}}
|rowspan="3"|‘별난 물질([[:en:Exotic_matter|exotic matter]])’의 특성 또는 ‘물질의 위상 상전이'의 비밀을 밝힘
|-
|[[파일:Replace this image male-ko.svg|75px]]
|[[던컨 홀데인]]
|{{국기나라|영국}}<br />{{국기나라|미국}}
|-
|[[파일:Replace this image male-ko.svg|75px]]
|[[마이클 코스털리츠]]
|{{국기나라|영국}}<br />{{국기나라|미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