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음 (음운학):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m 모바일 웹
Gildong7 (토론 | 기여)
세종 때 문헌인 사성통고 범례에는 "齒頭則擧舌點齒(치두즉거설점치) : 치두음은 즉 혀를 들어 이에 대니"라고 되어 있습니다. 혀를 드는 과정이 [t]이고, 이에 대는 과정이 [s]라고 풀이됩니다.
29번째 줄:
[[중국 음운학]]에서 치음은 [[성모]](聲母, 두자음)를 분류한 오음(五音) 중의 하나이며, 치두음(齒頭音)과 정치음(正齒音)으로 나뉜다.
 
현대 [[음성학]]에 있어서 치두음은 [[치경음|치경]] [[마찰음]], [[파찰음]]에, 정치음은 [[치경구개음|치경구개]] [[마찰음]], [[파찰음]]에 해당된다.
치두음은 음운학의 치음이 아니라 현대 음성학의 [[치음]]에 해당된다. 치두음은 훈민정음 언해에서 '이 소리ᄂᆞᆫ 우리 나랏 소리예셔 열ᄫᅳ니 혓 그티 웃 닛머리예 다ᄔᆞ니라'(이 소리는 우리나라 소리에서 가벼우니 혀 끝이 윗니에 닿느니라)라고 되어 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5186&cid=41826&categoryId=41826</ref> 그리고 현대 음성학의 [[치음]]도 치두음과 똑같이 윗앞니에 혀끝을 대어 조음되는 음<ref>http://m.terms.naver.com/entry.nhn?docId=696618&cid=41708&categoryId=41711</ref>이기 때문에 치두음은 현대 음성학의 치음과 같다고 볼 수 있다.
 
정치음은 [[치경구개음|치경구개]] [[마찰음]], [[파찰음]]에 해당된다.
 
이상의 치두음과 정치음의 음가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중국어 중고음(中古音, [[수나라]], [[당나라]]의 발음)의 성모(두자음)을 표기하는 [[삼십육자모]](三十六字母)에서 다음과 같이 분류되어 있다.
{| class="wikitable"
!colspan="2"|[[오음]]
줄 44 ⟶ 41:
!rowspan="4"|치음
!rowspan="2"|치두음
|精 ᅎ<br />{{IPA|[t​͡θts]}}
|淸 ᅔ<br />{{IPA|[t​͡θʰts&#688;]}}
|從 ᅏ<br />{{IPA|[d͡ðdz]}}
|
|-
|心 ᄼ<br />{{IPA|[​θs]}}
|
|邪 ᄽ<br />{{IPA|[ðz]}}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