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천량 해전: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엘론드 (토론 | 기여)
잔글 →‎정유재란의 발발: 맞춤법 교정
엘론드 (토론 | 기여)
잔글 →‎칠천량 해전: 맞춤법 교정
50번째 줄:
== 칠천량 해전 ==
[[File:Location Chilcheonryang.png|thumb|칠천량의 위치]]
[[1597년]] [[8월 16일]]([[음력 7월 4일]]) 100척이 훨씬 넘는 판옥선, 거북선과 1만여명에 달하는 조선수군을 총동원한 원균<ref>조선 수군의 지휘관은 원균이었다. 원균도 이 싸움이 조선에게 불리하고 참패할 것을 우려했지만 조정의 무리한 요구로 어쩔 수 없이 전투를 감행한다. 원래 이순신이 조선 수군을 승리로 이끌었던 이유는 적진에 들어가서 싸우는 방식이 아니라 적선을 자기 진영에 유인해서 함정에 빠뜨리는 방식으로 일본 수군의 전력을 조금씩 상대하는 전투였다. 사실상 조선 수군이 선택할 수 있는 최선의 전략이었다. 그런데 1,000여척에 달하는 적진에 뛰어드는것이뛰어드는 것이 자살 행위임을 원균이 모를리 없었다. 이 전투에서 원균도 전사한다.</ref>은 [[부산]] 인근에서 바람과 파도를 고려하지 않고 적을 추격하다가 12 척의12척의 [[판옥선]]을 표류하게 해 잃어버리고, 9일에는 오히려 적의 반격을 받아 역시 많은 전선을 잃게 된다. 실록에서는 이 때 아군이 활 한 번 제대로 쏘지 못 한 채 패했다고 하면서 아군의 대응을 문제삼았고, 케이넨의 [[조선일일기]]에는 이 때 반격한 병력이 일본 수군이 아닌 육군 수송함대 병력인 것이 확인된다.
 
조선 수군은 가덕도에서 물을 확보하기 위해 내리는데 이 때 적의 기습을 받았고, 원균은 400명의 아군을 버리고 도주한다. [[1597년]] 2월 이순신이 [[부산포]]로 출동했을 때 가덕도에서 물을 긷던 초동 5명이 왜군에게 끌려가자 가덕왜성을 직접 공격해서 요시라가 직접 와서 포로들을 풀어주며 화친을 구걸했던 것과는 비교된다.
 
거제도 서쪽의 작은 섬 [[칠천도]] 남쪽에 정박했던 조선수군은조선 일본수군에수군은 일본 수군에 야습을 당한 이후 제대로 싸워보지도 못하고 계속 퇴각한다. 원균은 제대로 된 지휘를 하지 않은 채 기록에 의하면 선상에서 폭음을 하였다고도 한다<ref>[[해소실기]]</ref> [[견내량]] 혹은 [[춘원포]]에서 삼도수군을 상륙하게 한 뒤 반격하지도 않은 채 도주했다. 포로가 되었던 조방장 [[김완 (1546년)|김완]]이 진술한 《해소실기》에는 이 때 아군이 각기 수사를 따라 퇴각했다고 하면서 조선 수군이 기습을 받은 상황에서도 지휘권이 유지되었다는 것이 확인된다. 지휘를 무시한 채 퇴각한 배들은 진해, [[한산도]] 방면으로 향했고, 또한 선전관 김식의 초기 보고에 의해 전사했다고 알려진 수군 장수들 다수가 체찰사 이원익의 조사 결과 살아있음이 확인돼 조정을 혼란에 빠뜨렸다. 이를 통해 춘원포로 퇴각, 상륙한 것은 원균의 명령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며, 칠천량 해전에서 판옥선을 잃었다 해서 장수와 수졸들이 전멸한 것이 아님을 확인할 수 있다.
 
고성 지역 춘원포까지 후퇴하여 통제사 원균과 중군장 순천부사 [[우치적]]은 탈출하여 상륙했는데, 경상우수사 [[배설 (조선)|배설]]은 전선12척을 이끌고 도망을 친다.[[원균]]은 도망치다가 소나무 아래에 숨어있던 일본군들의 습격을 받아 전사했다고 한다. 이때 김완은 진해에서 일본군의 포로가 되었다.
62번째 줄:
 
충청수사 [[최호 (조선)|최호]]와 [[전라우수사]] [[이억기]]는 당황하여 도망칠 궁리만 한 원균과 달리 불리한 상황에서도 용감히 싸웠지만 결국 전사하였다. [[경상우수사]] 배설은 휘하의 판옥선을 이끌고 도주해 [[한산도]]에 있는 군수물품을 전부 불태우고 도망을 쳤다.
칠천량 해전의 대패로 조선 수군은 [[거북선]](귀선) 3척 <ref>《사대문궤》에 따르면 5척</ref> 을 포함하여 배설이[[배설]]이 이끌고 도주한 12척의 판옥선을 제외한 판옥선들은 전부 침몰하였다. 이 전투는 임진왜란 중에 벌어진 전투 중에서 가장 중요한 의의를 띠고 있다. 우선 조선수군이조선 수군이 붕괴됨으로써 남해의 재해권이 넘어가 실질적으로 [[정유재란]]이 발발하게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정한위략에 적힌 일본군의 전과는 170척 수준으로 판옥선과 기타 선박(협선)을 포함 100여척 이 넘는 조선 수군의 규모를 생각하면 상당히 적은 규모로, 일본은 칠천량 해전의 의미와는 별개로 자신들의 전과를 크게 생각하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김완의 《해소실기》에는 초기에 조선 수군을 공격한 일본군 병력이 단 두 척이라고 기록하고 있으며, 포로가 되었던 정기수 역시 소수 병력이 기습했는데 수군이 적이 많은 줄 알고 도주했다고 진술하였다. 포로가 되어 일본에 끌려갔던 [[강항]] 역시 왜인들의 말을 빌어 칠천량에 정박한 조선수군조선 수군 함대에 왜선 한 척이 접근해 [[조총]] 한 방을발을 쏘자 조선수군조선 수군 함대가 놀라 도망치다가 스스로 무너졌다고 기록했다.그 이후 [[이순신]]이 통제사로 복귀하다가 [[명량해전]]에서 결국 승리하다가,1598년 11월 19일 [[노량해전]]에서 [[이순신]]이 전사한 뒤 조선수군의 최후의 승리로 [[임진왜란]]이 끝이났다.
 
=== 결과와 영향 ===
81번째 줄:
그러나 이미 대부분의 함선이 소실되고, 남해안의 제해권이 왜군쪽으로 넘어가게 되는 바람에 육군의 지원이 원활하게 진행되어 전라도까지 왜군이 침입하였다. 이때 뺏긴 남해안의 제해권은 이순신이 [[명량 해전]]에서 승리할 때까지 왜군에게 있었다.
 
[[1597년]] [[8월 30일]]([[음력 7월 18일]]) 이순신은 해안 지역을 직접 돌아본 후 대책을 마련한다고 권율에게 요청하고 [[송희립]] 등 9명의 군관과 함께 현지로 출발한다. [[삼가]], [[단성]], [[진주]]를 거쳐 [[9월 2일]]([[음력 7월 21일]]) 노량에 도착했는데, 이곳에서 거제현령 [[안위]]와 영등포 만호 조계종 등을 만나 패전 상황을 듣고 대책을 논의한다.
 
== 인구 손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