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식주: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빈 문단 정리
잔글 수정
1번째 줄:
{{불교}}
 
'''7식주'''(七識住)는 [[초기불교]] 경전인 《[[중아함경]]》 제24권 등의 [[고타마 붓다]]의 설법에서 유래한 불교 교의로,{{sfn|승가제바(僧伽提婆) 한역|T.26|loc=제24권 〈9. 인품(因品) 제 4 ①〉.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01n0026_p0581b12 T01n0026_p0581b12 - T01n0026_p0581c02]. 7식주(七識住)와 2처(二處)|ps=<br>"復次。阿難。有七識住及二處。云何七識住。有色眾生若干身.若干想。謂人及欲天。是謂第一識住。復次。阿難。有色眾生若干身.一想。謂梵天初生不夭壽。是謂第二識住。復次。阿難。有色眾生一身.若干想。謂晃昱天。是謂第三識住。復次。阿難。有色眾生一身.一想。謂遍淨天。是謂第四識住。復次。阿難。有無色眾生度一切色想。滅有對想。不念若干想。無量空處。是空處成就遊。謂無量空處天。是謂第五識住。復次。阿難。有無色眾生度一切無量空處。無量識處。是識處成就遊。謂無量識處天。是謂第六識住。復次。阿難。有無色眾生度一切無量識處。無所有處。是無所有處成就遊。謂無所有處天。是謂第七識住。 阿難。云何有二處。有色眾生無想無覺。謂無想天。是謂第一處。復次。阿難。有無色眾生度一切無所有處。非有想非無想處。是非有想非無想處成就遊。謂非有想非無想處天。是謂第二處。"}}{{sfn|승가제바(僧伽提婆) 한역|K.648, T.26|loc=제24권 〈9. 인품(因品) 제 4 ①〉.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03&startNum=702 702-703 / 1738]. 7식주(七識住)와 2처(二處)|ps=<br>"다시 아난아, 7식주(識住)와 2처(處)가 있다. 어떤 것을 7식주라 하는가? 어떤 색이 있는 중생들[有色衆生]은 서로 다른 몸에 서로 다른 생각을 가지고 있으니, 곧 인간과 욕계천(欲界天)이다. 이것을 제1식주(識住)라 한다. 다시 또 아난아, 어떤 색이 있는 중생들은 서로 다른 몸에 서로 같은 생각을 가지고 있으니, 곧 초선천(初禪天)에 태어나 요절하지 않고 사는 범천(梵天)을 말한다. 이것을 제2식주라 한다. 다시 아난아, 어떤 색이 있는 중생들은 서로 같은 몸에 서로 다른 생각을 가지고 있으니, 곧 황욱천(晃昱天)이다. 이것을 제3식주라 한다. 또 아난아, 어떤 색이 있는 중생들은 서로 같은 몸에 서로 같은 생각을 가지고 있으니, 곧 변정천(遍淨天)이다. 이것을 제4식주라 한다. 다시 아난아, 어떤 색이 없는 중생들은 일체의 색(色)이라는 생각을 벗어나, 대상이 있다는 생각을 멸하여, 약간의 생각도 없어, 무량공처(無量空處)인 이 공처를 성취하여 노니나니, 곧 무량공처천(無量空處天)이다. 이것을 제5식주라 한다. 다시 아난아, 어떤 색이 없는 중생들은 일체의 무량공처(無量空處)를 벗어나 무량식처(無量識處)인 이 식처를 성취하여 노니나니, 곧 무량식처천(無量識處天)이다. 이것을 제6식주라 한다. 다시 아난아, 어떤 색이 없는 중생들은 일체의 무량식처를 벗어나 무소유처(無所有處)인 이 무소유처를 성취하여 노니나니, 곧 무소유처천(無所有處天)이다. 이것을 제7식주라 한다.
<br>아난아, 어떤 것을 2처(處)라 하는가? 어떤 색이 있는 중생들은 생각[想]도 없고 감각[覺]도 없으니, 무상천(無想天)이다. 이것을 제1처라 한다. 다시 아난아, 어떤 색이 없는 중생들은 일체의 무소유처를 벗어나 비유상비무상처(非有想非無想處)인 이 비유상비무상처를 성취하여 노니나니, 곧 비유상비무상처천(非有想非無想處天)이다. 이것을 제2처라 하느니라."}}{{sfn|승가제바(僧伽提婆) 한역|T.26|loc=제24권 〈9. 인품(因品) 제 4 ①〉.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01n0026_p0581c02 T01n0026_p0581c02 - T01n0026_p0582a17]. 7식주(七識住)와 2처(二處)|ps=<br>"阿難。第一識住者。有色眾生若干身.若干想。謂人及欲天。若有比丘知彼識住.知識住習。知滅.知味.知患.知出要如真。阿難。此比丘寧可樂彼識住。計著住彼識住耶。 答曰。不也。 阿難。第二識住者。有色眾生若干身.一想。謂梵天初生不夭壽。若有比丘知彼識住.知識住習。知滅.知味.知患.知出要如真。阿難。此比丘寧可樂彼識住。計著住彼識住耶。 答曰。不也。 阿難。第三識住者。有色眾生一身.若干想。謂晃昱天。若有比丘知彼識住.知識住習。知滅.知味.知患.知出要如真。阿難。此比丘寧可樂彼識住。計著住彼識住耶。 答曰。不也。 阿難。第四識住者。有色眾生一身.一想。謂遍淨天。若有比丘知彼識住.知識住習。知滅.知味.知患.知出要如真。阿難。此比丘寧可樂彼識住。計著住彼識住耶。 答曰。不也。 阿難。第五識住者。無色眾生度一切色想。滅有對想。不念若干想。無量空處。是空處成就遊。謂無量空處天。若有比丘知彼識住.知識住習。知滅.知味.知患.知出要如真。阿難。此比丘寧可樂彼識住。計著住彼識住耶。 答曰。不也。 阿難。第六識住者。無色眾生度一切無量空處。無量識處。是識處成就遊。謂無量識處天。若有比丘知彼識住.知識住習。知滅.知味.知患.知出要如真。阿難。此比丘寧可樂彼識住。計著住彼識住耶。 答曰。不也。 阿難。第七識住者。無色眾生度一切無量識處。無所有處。是無所有處成就遊。謂無所有處天。若有比丘知彼識住.知識住習。知滅.知味.知患.知出要如真。阿難。此比丘寧可樂彼識住。計著住彼識住耶。 答曰。不也。 阿難。第一處者。有色眾生無想無覺。謂無想天。若有比丘知彼處.知彼處習。知滅.知味.知患.知出要如真。阿難。此比丘寧可樂彼處。計著住彼處耶。 答曰。不也。 阿難。第二處者。無色眾生度一切無所有處。非有想非無想處。是非有想非無想處成就遊。謂非有想非無想處天。若有比丘知彼處.知彼處習。知滅.知味.知患.知出要如真。阿難。此比丘寧可樂彼處。計著住彼處耶。 答曰。不也。 阿難。若有比丘彼七識住及二處知如真。心不染著。得解脫者。是謂比丘阿羅訶。名慧解脫。"}}{{sfn|승가제바(僧伽提婆) 한역|K.648, T.26|loc=제24권 〈9. 인품(因品) 제 4 ①〉.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03&startNum=703 703-705 / 1738]. 7식주(七識住)와 2처(二處)|ps=<br>"아난아, 제1식주라는 것은, 어떤 색이 있는 중생들은 서로 다른 몸에 서로 다른 생각을 가지고 있으니, 곧 인간과 욕계천이다. 만일 어떤 비구가 그 식주(識住)를 알고, 식주의 성취[習]를 알고, 그 멸함을 알고, 그 맛을 알고, 그 근심을 알고, 그것을 벗어날 방법을 사실 그대로 안다면, 아난아, 이 비구는 그래도 그 식주를 좋아하고 그 식주에 집착하여 머물려고 생각하겠느냐?"
줄 89 ⟶ 88:
|4=《중아함경》 제24권 〈9. 인품(因品) 제 4 ①〉.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01n0026_p0581c02 한문본] &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03&startNum=703 한글본]}}
 
== 7식주 ==
=== 제1식주: 신이상이식주 ===
 
===제1식주: 신이상이식주===
 
'''제1식주'''(第一識住)는 '''신이상이식주'''(身異想異識住){{.cw}}'''신이상이여인일분천'''(身異想異如人一分天) 또는 '''인천식주'''(人天識住)라고도 한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B9%A0%EC%8B%9D%EC%A3%BC&rowno=1 七識住(칠식주)]". 2013년 6월 12일에 확인|ps=<br>"七識住(칠식주):
3계 유정들의 마음이 편안히 머무는 곳. 또는 칠식처(七識處)ㆍ칠식지처(七識止處)ㆍ칠신식지처(七神識止處). 욕계의 인천식주(人天識住), 색계의 초선천식주(初禪天識住)ㆍ이선천식주ㆍ삼선천식주, 무색계의 공처천식주(空處天識住)ㆍ식처천식주(識處天識住)ㆍ무소유처천식주(無所有處天識住)를 말함."}}{{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684&DTITLE=%A4C%C3%D1%A6%ED 七識住]". 2013년 6월 12일에 확인|ps=<br>"七識住:
줄 117 ⟶ 114:
|4=《중아함경》 제24권 〈9. 인품(因品) 제 4 ①〉.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01n0026_p0581b12 한문본] &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03&startNum=703 한글본]}}
 
=== 제2식주: 신이상일식주 ===
 
'''제2식주'''(第二識住)는 '''신이상일식주'''(身異想一識住){{.cw}}'''신이상일여범중천위겁초기'''(身異想一如梵衆天謂劫初起) 또는 '''초선천식주'''(初禪天識住)라고도 한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B9%A0%EC%8B%9D%EC%A3%BC&rowno=1 七識住(칠식주)]". 2013년 6월 12일에 확인|ps=<br>"七識住(칠식주):
3계 유정들의 마음이 편안히 머무는 곳. 또는 칠식처(七識處)ㆍ칠식지처(七識止處)ㆍ칠신식지처(七神識止處). 욕계의 인천식주(人天識住), 색계의 초선천식주(初禪天識住)ㆍ이선천식주ㆍ삼선천식주, 무색계의 공처천식주(空處天識住)ㆍ식처천식주(識處天識住)ㆍ무소유처천식주(無所有處天識住)를 말함."}}{{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684&DTITLE=%A4C%C3%D1%A6%ED 七識住]". 2013년 6월 12일에 확인|ps=<br>"七識住:
줄 143 ⟶ 139:
|4=《중아함경》 제24권 〈9. 인품(因品) 제 4 ①〉.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01n0026_p0581b15 한문본] &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03&startNum=703 한글본]}}
 
=== 제3식주: 신일상이식주 ===
 
'''제3식주'''(第三識住)는 '''신일상이식주'''(身一想異識住){{.cw}}'''신일상이여극광정천'''(身一想異如極光淨天) 또는 '''2선천식주'''(二禪天識住)라고도 한다.{{sfn|운허|loc="[http://buddha.dongguk.edu/bs_detail.aspx?type=detail&from=&to=&srch=%EC%B9%A0%EC%8B%9D%EC%A3%BC&rowno=1 七識住(칠식주)]". 2013년 6월 12일에 확인|ps=<br>"七識住(칠식주):
3계 유정들의 마음이 편안히 머무는 곳. 또는 칠식처(七識處)ㆍ칠식지처(七識止處)ㆍ칠신식지처(七神識止處). 욕계의 인천식주(人天識住), 색계의 초선천식주(初禪天識住)ㆍ이선천식주ㆍ삼선천식주, 무색계의 공처천식주(空處天識住)ㆍ식처천식주(識處天識住)ㆍ무소유처천식주(無所有處天識住)를 말함."}}{{sfn|星雲|loc="[http://etext.fgs.org.tw/etext6/search-1-detail.asp?DINDEX=684&DTITLE=%A4C%C3%D1%A6%ED 七識住]". 2013년 6월 12일에 확인|ps=<br>"七識住:
줄 165 ⟶ 160:
|4=《중아함경》 제24권 〈9. 인품(因品) 제 4 ①〉.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01n0026_p0581c11 한문본] &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03&startNum=703 한글본]}}
 
=== 제4식주: 신일상일식주 ===
 
'''제4식주'''(第四識住)는 '''신일상일식주'''(身一想一識住) 또는 '''신일상일여변정천'''(身一想一如遍淨天)이라고도 한다.
 
줄 178 ⟶ 172:
|4=《중아함경》 제24권 〈9. 인품(因品) 제 4 ①〉.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01n0026_p0581b18 한문본] &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03&startNum=703 한글본]}}</blockquote>
 
=== 제5식주: 공무변처식주 ===
 
'''제5식주'''(第五識住)는 '''공무변처식주'''(空無邊處識住)라고도 한다.
 
줄 192 ⟶ 185:
|4=《중아함경》 제24권 〈9. 인품(因品) 제 4 ①〉.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01n0026_p0581b19 한문본] &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03&startNum=703 한글본]}}</blockquote>
 
=== 제6식주: 식무변처식주 ===
 
'''제6식주'''(第六識住)는 '''식무변처식주'''(識無邊處識住)라고도 한다.
 
줄 205 ⟶ 197:
|4=《중아함경》 제24권 〈9. 인품(因品) 제 4 ①〉.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01n0026_p0581b22 한문본] &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03&startNum=703 한글본]}}</blockquote>
 
=== 제7식주: 무소유처식주 ===
 
'''제7식주'''(第七識住)는 '''무소유처식주'''(無所有處識住)라고도 한다.
 
줄 245 ⟶ 236:
|1=復次。阿難。有無色眾生度一切無量識處。無所有處。是無所有處成就遊。謂無所有處天。是謂第七識住。
|3=다시 [[아난]]아, 어떤 [[무색법|색이 없는]] [[중생]]들[無色衆生]은 일체의 [[무량식처]]를 벗어나 [[무소유처]](無所有處)인 이 [[무소유처]]를 성취하여 노니나니, 곧 [[무소유처천]](無所有處天)이다. 이것을 '''제7식주'''(第七識住)라 한다.
|34=다시 [[아난]]아, 어떤 [[무색법|색이 없는]] [[중생]]들[無色衆生]은 일체의 '무한한 [[심의식|식]]에 머무름[無量識處]'을 벗어나 [[무소유]]에 머문다[無所有處]. 이와 같이 [[무소유처]](無所有處: 무소유에 머뭄)를 [[성취]]하여 노니는 것을 [[무소유처천]](無所有處天: 무소유에 머무는 경지, 즉 무소득에 머무는 경지)이라 한다. 이것을 '''제6식주'''(第六識住)라 한다.
|4=《중아함경》 제24권 〈9. 인품(因品) 제 4 ①〉. [http://www.cbeta.org/cgi-bin/goto.pl?linehead=T01n0026_p0581b24 한문본] & [http://ebti.dongguk.ac.kr/h_tripitaka/page/PageView.asp?bookNum=203&startNum=703 한글본]}}</blockquote>
 
== 2처 ==
=== 제1처: 무상천 ===
 
===제1처: 무상천===
{{빈 문단}}
 
=== 제2처: 비상비비상처천 ===
{{빈 문단}}
 
== 같이 보기 ==
 
* [[4식주]]
* [[9유정거]]
줄 274 ⟶ 263:
* [[5주지번뇌]]
 
==참고 문헌각주 ==
<div style="font-size: 10pt"><references/></div>
 
== 참고 문헌 ==
* {{서적 인용|저자=고려대장경연구소|제목=[http://kb.sutra.re.kr/ritk/service/diction/dicSearch.do 고려대장경 전자 불교용어사전]|출판사=고려대장경 지식베이스 / (사)장경도량 고려대장경연구소}}
* {{서적 인용|저자=곽철환|제목=[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896477&categoryId=2886 시공 불교사전]|출판사=시공사 / 네이버 지식백과|연도=2003}}
줄 286 ⟶ 277:
* {{언어고리|zh|크기=9pt}} {{서적 인용|저자=세친 조, 현장 한역|제목=[http://www.cbeta.org/result2/normal/T29/1558_001.htm 아비달마구사론(阿毘達磨俱舍論)]|기타=대정신수대장경|id=T29, No. 1558, CBETA|연도=T.1558}}
* {{언어고리|zh|크기=9pt}} {{서적 인용|저자=승가제바(僧伽提婆) 한역|제목=[http://www.cbeta.org/result2/normal/T01/0026_001.htm 중아함경(中阿含經)]|기타=대정신수대장경|id=T1, No. 26, CBETA|연도=T.26}}
 
== 각주 ==
<div style="font-size: 10pt"><references/></div>
 
{{3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