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적 범주: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전북 현대 모터스 문서로 넘겨주기
태그: 일반 문서의 넘겨주기화 넘겨주기 생성
잔글 천북 현대 모터스(토론)의 편집을 Namobot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1번째 줄:
[[범주론]]에서, '''내적 범주'''(內的範疇, {{llang|en|internal category}})는 [[작은 범주]]의 정의에서 사용되는 집합의 범주를 대체하여, 임의의 범주 속에서 범주처럼 작동하는 구조이다. [[작은 범주]]의 개념의 일반화이다.
#REDIRECT [[전북 현대 모터스]]
 
== 정의 ==
야 설명할 수 있다. [[반데르발스 힘]]과 비슷한 이 성질 때문에 "잔류 강한 핵력"의 "잔류"라는 용어가 생겼다. 기본적인 개념은 다음과 같다. [[원자]]들이 "중성"이듯이 [[핵자]]들이 "무색"이라면, 두 경우 모두 가까이 있는 입자들 사이에서 작용하는 [[편극]] 효과는 "잔류" 전하 효과를 불러온다. 이 "잔류" 전하 효과에서는 (입자들 내부에서 작용하는 기본적인 힘들보다 훨씬 약하고 간접적이지만) 전하가 없는 입자들끼리 전하를 매개로 주고 받는 인력이 나타나게 된다.
[[범주 (수학)|범주]] <math>\mathcal C</math>가 유한 [[곱 (범주론)|곱]] 및 [[당김 (범주론)|당김]]을 갖는다고 하자. 그렇다면, <math>\mathcal C</math> 속의 '''내적 범주'''({{llang|en|internal category}}) <math>(O,M,i,s,t,c)</math>은 다음과 같은 데이터로 주어진다.
* <math>O\in\mathcal C</math>는 <math>\mathcal C</math>의 대상이다. 이는 범주 대상의 대상들의 "모임"이다.
* <math>M\in\mathcal C</math>는 <math>\mathcal C</math>의 대상이다. 이는 범주 대상의 사상들의 "모임"이다.
* <math>e\colon O\to M</math>은 <math>\mathcal C</math>의 사상이다. 이는 항등 사상을 나타낸다.
* <math>s\colon M\to O</math>는 <math>\mathcal C</math>의 사상이다. 이는 사상의 정의역을 나타낸다.
* <math>t\colon M\to O</math>는 <math>\mathcal C</math>의 사상이다. 이는 사상의 공역을 나타낸다.
* <math>M_s\times_tM</math>이 <math>M\xrightarrow sO\xleftarrow tM</math>의 [[당김 (범주론)|당김]]이라면, <math>c\colon M_s\times_tM\to M</math>은 <math>\mathcal C</math>의 사상이다. 이는 사상의 합성을 나타낸다.
이 데이터는 다음과 같은 조건들을 만족시켜야 한다.
* (항등 사상의 정의역과 공역) <math>s\circ e=t\circ e=\operatorname{id}_O</math>. 즉, 다음 그림이 가환한다.
:<math>
\begin{matrix}
M&\xleftarrow e&O&\xrightarrow e&M\\
&{\scriptstyle s}\searrow&\downarrow\scriptstyle{\operatorname{id}_O}&\swarrow\scriptstyle t\\
&&O
\end{matrix}
</math>
* (합성 사상의 정의역과 공역) 다음 그림이 가환한다.
:<math>
\begin{matrix}
M&\xleftarrow{\pi_1}&M_s\times_tM&\xrightarrow{\pi_2}&M\\
{\scriptstyle t}\downarrow&&{\scriptstyle c}\downarrow&&\downarrow\scriptstyle s\\
O&\xleftarrow[t]{}&M&\xrightarrow[s]{}&O
\end{matrix}
</math>
* (합성의 결합 법칙) 다음 그림이 가환한다.
:<math>
\begin{matrix}
M_s\times_tM_s\times_tM&\xrightarrow{\operatorname{id}_M\times c}&M_s\times_tM\\
{\scriptstyle c\times\operatorname{id}_M}\downarrow&&\downarrow\scriptstyle c\\
M_s\times_tM&\xrightarrow[c]{}&M
\end{matrix}
</math>
* (항등원의 흡수 법칙) 다음 그림이 가환한다.
:<math>
\begin{matrix}
O\times_tM&\xrightarrow{e\times_t\operatorname{id}_M}&M_s\times_tM&\xleftarrow{\operatorname{id}_M{}_s\times e}&
M\times_sO\\
&{\scriptstyle \pi_2}\searrow&\downarrow\scriptstyle c&\swarrow\scriptstyle\pi_1\\
&&M
\end{matrix}
</math>
 
=== 역사내적 준군 ===
유한 곱과 당김을 갖는 범주 <math>\mathcal C</math> 속의 '''내적 [[준군]]'''({{llang|en|internal groupoid}}) <math>(O,M,s,t,e,i)</math>은 다음과 같은 데이터로 구성된다.
* <math>(O,M,s,t,e)</math>는 내적 범주를 이룬다.
* <math>i\colon M\to M</math>은 사상이다. 이는 사상의 역원을 나타낸다.
이는 다음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 (역원의 정의역과 공역) 다음 그림이 가환한다.
:<math>\begin{matrix}
M&{{\xrightarrow e}\atop{\xleftarrow[e]{}}}&M\\
&{\scriptstyle s}\searrow&\downarrow\scriptstyle t\\
&&O
\end{matrix}
</math>
* (역원의 존재) 다음 그림이 가환한다.
:<math>\begin{matrix}
M_t\times_t M&\xleftarrow{\operatorname{diag}_M}&M\\
{\scriptstyle i\times\operatorname{id}}\downarrow&&&\searrow\scriptstyle s&\\
M_s\times_tM&\xrightarrow[c]{}&M&\xleftarrow[e]{}&O\\
{\scriptstyle\operatorname{id}\times i}\uparrow&&&\nearrow\scriptstyle t&\\
M_s\times_s M&\xleftarrow[\operatorname{diag}_M]{}&M\\
\end{matrix}</math>
 
== 예 ==
핵은 [[1932년[제임스 채드윅|채드윅]]에 의해 [[중성자]]가 발견되면서 탄생되었고, 그 때로부터 지금까지 [[{{다른 뜻|메이}}한 것은 [[1950년대]] 중반이었다. 이후 핵력과 관련된 다양한 실험과 이론이 활발하게 제기되었고 본질적인 의문점들은 대부분 [[1960년대]]와 [[1970년대]]에 해결되었다. 최근에는 핵력의 부차적인 성질들에 대한 연구가 활발한데, 예를 들어 전하에 대한 종속성이나 ''NN'' 결합상수의 정확한 값, 위상천이분석(phase shift analysis)의 개선, 정밀한 ''NN'' 데이터, 정밀한 ''NN'' 퍼텐셜, 고에너지 상의 ''NN'' 산란, [[양자색역학]]으로부터 핵력을 유도하는 방법 등이 있다.
[[집합]]과 함수의 범주 <math>\operatorname{Set}</math> 속의 내적 범주는 [[작은 범주]]이다.
 
[[군 (수학)|군]]과 [[군 준동형]]의 범주 <math>\operatorname{Grp}</math> 속의 내적 범주는 작은 범주의 범주 <math>\operatorname{Cat}</math> 속의 [[군 대상]]과 사실상 같으며,<ref name="Mac Lane">{{서적 인용 |last=Mac Lane |first=Saunders |저자고리=손더스 매클레인|제목=Categories for the working mathematician |publisher=Springer |날짜=1998 |판=2 |series=Graduate Texts in Mathematics|issn=0072-5285|권= 5 |isbn=978-1-4419-3123-8 | zbl=0906.18001 | mr=1712872 |doi=10.1007/978-1-4757-4721-8|언어=en }}</ref>{{rp|269}} [[교차 가군]]({{llang|en|crossed module}})이라고 불린다.<ref name="Mac Lane"/>{{rp|285–287}}
==사하는 하나의 [[퍼텐셜]]을 만드는 것이다. 이는 "거시적" 접근법이다. 예를 들어 [[원자핵]]과 [[중성자]] 간의 산란은 [[원자핵]]의 퍼텐셜에 [[평면파]]가 와서 부딪히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 모형은 마치 [[빛]]이 투명한 구에 부딪혀 [[산란]]되는 것과 비슷하다 해서 '''광학 모형'''이라 불린다.
 
== 참고 문헌 ==
[[원자핵]]의 [[퍼텐셜]]은 국소적(local)일 수도 있고 전체적(global)일 수도 있다. 국소적 [[퍼텐셜]]들은 좁은 영역의 [[에너지]]과 좁은 영역의 [[원자핵]] 질량에 대해서만 사용할 수 있는 반면, 좀 더 많은 [[매개변수]]를 갖고 있는 전체적 [[퍼텐셜]]들은 좀 더 부정확할 수는 있어도 [[에너지]]와 [[원자핵]] 질량이 변하는 것에 따라 [[퍼텐셜]]이 어떻게 변하는지를 묘사할 수 있고, 따라서 응용 가능성이 더 넓다 하겠다.
{{각주}}
 
== 바깥 고리 ==
* {{웹 인용|url=http://ncatlab.org/nlab/show/internal+category|제목=Internal category|웹사이트=nLab|언어=en}}
 
== 같이 보기 ==
* [[군 대상]]
 
[[분류:범주론]]
* [[유카와 퍼텐셜]]
* [[핵반응]]
 
[[분류:힘]]
[[분류:핵물리학]]
[[분류:입자물리학]]
 
[[yi:שטארקע נוקלעארע קראפ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