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화: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 봇 : 데즈카 오사무를 가리키는 링크를 테즈카 오사무를 가리키도록 변경
Sjh971201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15번째 줄:
== 분류 ==
=== 매체에 따른 분류 ===
* [[인쇄 만화]] : 일반적으로 종이로 만들어진 만화책을 통틀어 설명한다.
* [[인쇄 만화]]
* [[코믹 스트립]] : [[신문]]이나 [[잡지]]에 주로 4컷 정도 분량으로 수록
* [[만화책]] : 단행본으로 발행된 만화가 그려진 책이다.
* [[웹툰|인터넷]] : 스마트폰 및 컴퓨터 일상화가 된 지금 시대에 사람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인터넷에서 즐길 수 있는 만화를 표현한다.
* [[웹툰|인터넷]]
 
=== 내용에 따른 분류 ===
26번째 줄:
 
=== 국가에 따른 분류 ===
* [[한국 만화]] : ex) 키드갱, 열혈강호, 타짜, 짱
* [[일본 만화]] : ex) 신의 물방울, 원피스, 슬램덩크, 크로우즈
* [[중국 만화]] ([[홍콩 만화]]) : ex) 영연천사, 용호문, 싼마오 유랑기
* [[미국 만화]] : ex) 마블 코믹스(아이언 맨, 헐크 등), DC 코믹스(슈퍼맨, 배트맨)
* [[미국 만화]]
* [[유럽 만화]] : ex) 뫼비우스, 아스테릭스, 피터팬, 스콜피온
 
== 동서양의 만화 특징 ==
문화를 크게 고맥락(high context) 문화와 저맥락(low context) 문화로 구분된다. 일본과 한국, 중국과 같은 한자문화권에 속하는 동아시아 국가들은 고맥락 문화에 속하는 나라들인데, 고맥락 문화란, 민족적으로 동질을 이루며 역사, 습관, 언어 등에서 볼 때 공유하고 있는 컨텍스트, 즉 맥락의 비율이 높기 때문에 집단주의와 획일성이 발달하는 문화이다. 따라서 사람들은 서로 깊은 인간관계로 묶여있으며 멤버 간에 공유하는 정보가 많으며 간단한 메시지라도 깊은 의미를 갖기 쉬운 문화이다. 또한, 언어 코드보다 컨텍스트(context: 비언어코드, 물리적, 사회적, 심리적 환경, 인간관계)에 의지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고맥락 문화의 커뮤니케이션 스타일은 언어적으로 애매하고 추상적인 표현이 많고 비언어행동에 있어서는 미묘한 것이 많이 존재한다. 반면에, 저맥락 문화는 다인종, 다민족으로 구성되어 있는 미국이 대표국이며, 멤버 간에 서로 공유하고 있는 컨텍스트의 비율이 낮아 개인주의와 다양성이 발달하는 문화를 가진다. 저맥락 문화에 속하는 미국만화는 정교한 그림체와 짧은 이야기 구성으로 특징지어지며, 선악의 확실한 구분과 수많은 말풍선을 사용한 스토리 전개, 소설식 설명구조 등을 특징으로 들 수 있다. 이처럼 동서양의 만화 구조가 다르기 때문에 서양독자들은 처음 망가를 접할 때 이해하기 어려운 동양식 이야기 관습에 당황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동양 특유의 느긋한 스토리 구조와 속도조절을 위해 사용되는 감성적 이미지들, 말없는 칸들은 서양 독자들에게 낯설고 어색하며, 감정을 나타내는 많은 기호들과 소리와 움직임뿐 아니라 상황과 심리적 상태까지 표현하고 있는 수많은 그림문자들은 또 하나의 전혀 다른 표현매체로서 받아들여진다.
 
== 만화 산업 ==
한국 만화 생태계의 기본 구조는 '창작-제작-유통-소비'의 흐름을 가진다. 창작 단계는 개인 창작, 공동 창작, 수입 라이선스 만화로 나뉘며 제작 단계는 온라인과 만화전문 출판사, 일반 출판사, 대여점용 출판사 등의 출판으로 나뉜다. 이 밖에도 신문, 동인지 시장, 모바일 등도 제작 단계에 포함된다. 만화 산업은 다양한 제작 단계와 패키징 과정을 거쳐서 제작되며, 하나의 콘텐츠가 동시다발적으로 가치사슬을 만들며 활용된다. 그렇기 때문에 만화 콘텐츠는 기획에서부터 다수의 가치 사슬에서 활용될 것을 염두에 두고 제작된다.
[[File:만화.jpg|thumb|만화 산업에 대한 구조표입니다]]
 
== 만화의 제작 환경 ==
=== 온라인 제작(웹툰) ===
온라인이라 하면 보통 웹툰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웹툰 작가들은 개인창작 위주로 활동한다. 혼자 작업을 하기도 하지만, 다른 작가와 함께 작업을 하는 경우 또한 있다. 웹툰은 대개 규모가 큰 주요 포털 사이트에서 연재가 된다. 포털 사이트에 연재가 되기 위해서 작가들은 수많은 노력을 통해 정식 연재를 하게 된다. 웹툰은 만화 연재 수에 따라 수익이 발생하지 않는다. 포털 사이트와 계약을 맺어 일정한 원고료를 받고 포털 사이트에서 무료로 제공한다. 포털 사이트 방문 횟수를 늘리기 위한 포털 사이트의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네이버'라는 포털 사이트가 있다. 네이버에서는 무료로 이용자들에게 요일별 웹툰을 제공한다. 요일당 평균 24개 정도의 웹툰을 제공하며 작가들과 계약을 맺어 원고료를 제공하고 웹툰을 무로료 제공하고있다.
 
=== 신문 제작 ===
신문 만화는 전통적으로 '시사만화'의 영역이었다. 1개 신문에 적어도 네 칸 만화와 한 칸 만화가 동시에 실리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한겨레신문》, 《중앙일보》 등에서 네 칸 만화 지면을 폐지할 정도로 시사만화의 창작·제작환경은 점차 악화되고 있다. 그러나 디지털 미디어의 확산으로 신문의 판매에 어려움을 겪게 되면서 주로 대여점용 성인 만화를 그리는 작가들과 협조해 적은 비용 혹은 무료로 만화를 연재하게 되었다. 그래서 현재는 신문 제작 환경이 매우 악화 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 만화 장르 ==
코미디 만화
 
범죄 만화(추리 만화)
 
멜로 만화(로맨스 만화)
 
판타지 만화
 
SF만화
 
순정 만화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