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부: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5번째 줄:
[[1928년]] 무렵 만주 지역에 [[참의부]], [[정의부]], [[신민부]] 등 3부가 정립된 가운데, 정의부가 재만 독립운동단체를 영도하기 위해 유일당 촉성운동을 주창하였다. [[1928년]] 2월 3부의 간부들이 연합회의를 개최하기로 하였다. 그러나 [[1928년]] 5월 신민부와 참의부 외 민족·공산주의를 망라한 재만 18개 단체 대표가 모여 회의가 진행되었으나 기성단체의 부정을 주장하는 '촉성회파'와 기성단체의 본위를 주장하는 '협의회파'로 분열되었다. 회의의 결과, 촉성회 측은 민족유일당 '촉성회조직동맹'을 조직하였고, 협의회 측은 '재만운동단체 협의회'를 규약하였다.
 
===촉성회파 ; (혁신의회)===
이에 [[1928년]] 8월 정의부를 이탈한 일부가 촉성회에 가담하여 길림성 내 [[김응섭]]의 집에서 [[김동삼]]·[[이종건]]·[[김상덕]]·[[배활산]] 등과 유일당촉성의 조직과 선전을 위하여 남·북만주 각지에서 구역을 분담하여 적극 노력할 것을 결의하였다. 11월 중순 반석현 호란양창자(呼蘭梁廠子)에서 민족유일당의 이름으로 동맹규약을 발표함과 동시에 맹원(盟員)의 모집에 노력하였다. 이에 신민부의 군정파와 참의부가 촉성회에 투합할 것을 결정함으로써 그해 12월 하순 정의부 탈퇴파의 가담과 더불어 길림에 모여 회합을 갖고, 신민부 군정파의 주창에 따라 양부는 해체를 선언하고 임시 과도적 기관으로 '혁신의회'를 조직<ref>회장에 김동삼, 중앙집행위원장 [[김원식]] 동위원 [[김희산]](金希山)·[[이청천]]·[[정신]] 등 16명이며, 군사위원장에 [[황학수]](黄學秀), 동 위원에 [[이청천]], 민사위원장에 [[김승학]]으로 하고 </ref>하고, 주요 과업<ref>1. 대당(大黨) 촉성의 적극적 방조(幇助), 2. 군사선후(軍事善後) 및 적세침입 방지, 3. 합법적 중국지방 자치기관(同鄉會) 조직, 4. 잔무 처리</ref>을 정하였다. 그리고 한교(韓僑)의 자치를 위한 잠정 행정구역으로 전 참의부의 관할구역을 남구(南區), 재야혁명당 소재 관할구역을 중구(中區), 전 신민부의 관할구역을 북구((北區)로 나누어 통합하기로 하였다.
 
11번째 줄:
 
*촉성회의 소멸
그러나 기한인 [[1929년]] 5월 이전까지 책진회가 군정부를 조직하지 못해 [[김좌진]], [[김시야]] 등은 북만주로, [[이청천]]은 오상(五常)현으로 [[김희산]], [[박희곤(朴希坤)]], [[이백파]] 등은 남만주로, 각자의 근거지로 돌아간 후 일부가 일본 관헌에 체포됨으로써 촉성회는 유명무실하게 되었다. 이후 책진회는 정의부에서 탈퇴하여 책진회에서 활동한 [[김동삼]], [[김상덕]], [[김원식]] 등에 의해 근근히 유지되었다.
 
책진회를 떠난 김좌진 등은 세력의 만회에 주력하고 원래 신민부의 근거지였던 중동선 석두하자(石頭河子)에서 동지를 규합하고 민족단체를 조성하면서 [[1929년]] 8월 [[한족총연합회]](韓族總聯合會)를 조직<ref>그 강령을 보면, 1. 국가에 완전한 독립과 민족의 철저한 해방, 2. 민족생활의 안정 및 혁명적 강령의 철저, 3. 혁명민중의 조직 완성이었다. </ref>하였다하면서 세력의 만회에 주력하였다. 한족총연합회는 순 국수파인 김좌진 등과 무정부주의자의 일파인 [[남대하]](南大廈)를 비롯하여 국내 인사들이 제휴한 단체로 중동선 일대를 관할할 수 있는 영안현 산시(山市) 역전에 본부를 두고 주석에 [[김좌진]]이 취임하였다. 그러나 [[1930년]] 1월 24일 김좌진이 반대파인 재중국청년동맹 일파인 공산주의 청년에게 암살됨으로써 분열하여 [[정신]] 등에 의해 '한족자치연합회'로 개칭되었다가 그해 7월 [[홍진]], [[이청천]], [[민무(閔武)]], [[안훈(安勳)]], [[황학수]], [[신숙]], [[이장녕]](李章寧) 등이 추진하던 [[한국독립당]]에 합류함으로써 유일독립당의 조직으로 항일운동을 전개하게 되었다.
 
===협의회파 ; (민족유일당조직동맹)===
통합 진영이 '촉성회'파와 '협의회'파로 대립되어 서로 유일당의 촉성과 군정부의 건립을 서두르고 있었다. 이 때 협의회의 중핵인 정의부가 촉성회 측에 앞서서 유일당을 완성하고자 신민부와 참의부에 3부통일회담의 개최를 제의하여 [[1928년]] 9월 길림에서 3부 대표가 초당파적 입장에서 전민족의 숙원인 민족유일당의 조직과 3부통일 등 안건을 숙의한 끝에 정의부의 과도한 주도에 대한 반발과 신민부의 민정·군정파의 대표권 문제, 참의부 대표의 소환 문제로 회담은 결렬되고 말았다.
 
==국민부의 성립==
이에 '협의회' 측은 정의부의 주도 하에 '민족유일당조직동맹'을 결성하고 [[1929년]] 3월 하순에 새로운 군정부의 조직을 위해 각 부 대표들<ref>정의부 측 대표 [[현익철]]·[[이동림]]·[[고이허]](高而虛)·[[최동욱]](崔東旭)·[[이탁]](李鐸)·[[고할신]], 참의부 측 대표 [[심용준]](沈龍俊)·[[임병무]](林炳武)·[[유광흘]](劉光屹), 신민부 측 대표 [[이교원]](李敎元) </ref>이 회의를 가졌다. 그 결과 [[1929년]] 4월 1일 정의부·신민부·참의부의 3부를 해체함과 동시에 국민부라는 새로운 군정부를 조직하고 집행위원<ref>정의부 측(주력) [[현익철]]·[[이웅]]·[[김이대]] 외 11명, 참의부 측(심용준파) [[심용준]]·[[이호]](李虎) 외 3명, 신민부 측(민정파) [[송상하]]·[[독고악]](獨孤岳) 외 2명 </ref>을 선임하여 총무·군무·교육·재무·지방의 각부를 담임케 하고 적극적으로 책진희의 박멸을 획책하였다.
 
조선혁명당과민족유일당조직동맹을 조선혁명군을조선혁명당으로 편성하였고개편하고, 조선혁명군을 편성하여 비록 촉성회 측의 불참으로 전적인만주 전역을 대상으로 한 독립운동단체들의 통일은 되지이루지 못했으나 민족유일당을 중심으로 하는 통합이 당시 재만 동포사회의 숙원이었던 만큼 국민부에 대한 기대가 컸다.
 
==강령==
51번째 줄:
 
==조선혁명당과의 관계 ==
[[국민부]]국민부의 중앙집행위원장인 [[현익철]]이 조선혁명당의 자치위원회 위원장을 맡아 국민부와 조선혁명당은 조직상 분리되면서도 인맥이 상통하는 바가 적지 않았다상통하였다. <ref>조선혁명당과 국민부의 관계에 대해 채근식은, "양 단체는 표리일체의 단체이나 조선혁명당의 행정기관인 국민부에 대한 명령권은 지대(至大)하여 국민부는 조선혁명당이 지시하는 행정사항을 표면에 나타나 처리하는 데 불과하나 일당독재국인 소련이나 중국 국민정부에서만 그 예를 볼 수 있다."고 하였다.</ref> <ref> 홍영도는, "조선혁명당은 완전히 이당치국의 성격을 구비한 민족진영의 유일당으로서 정치·경제·문화 등 모든 부문을 지도통어하기로 되었다. 더우기 국민부와는 그 구성인물로든지 그 내용정신으로든지 완전히 표리일체의 자매기관으로서 조선혁명당의 지도에 의하여 국민부는 지방자치 행정에 전력하였던 것이다."라고 하고 있다.</ref>
 
결국 조선혁명당과 국민부의 관계는 이당치국(以黨治國)의 원칙에 입각한 유일당과 행정부의 관계였다. 조선혁명당은 남만주 일대의 유일당으로서, 국민부는 동포사회의 자치행정기관으로서 그 조직과 운영이 조선혁명당의 영도 아래에 놓이었다놓였다.
 
==해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