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동진 (1916년):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25번째 줄:
[[1916년]] [[7월 12일]] 충청남도 공주군 장기면 무릉리(現 [[충청남도]] [[공주시]] [[월송동|무릉동]])에서 출생하였으며 판소리 명창으로 활동하였고 그의 [[호 (이름)|아호(雅號)]]는 인당(忍堂)이다. 그의 자세한 가계는 알 수 없으나 증언에 따르면 할아버지가 땅재주를 넘는 어릿광대였으며, 그 재주로 [[대한제국 고종|고종]](高宗, [[1852년]] [[9월 8일]] ~ [[1919년]] [[1월 21일]])에게 참봉(參奉) 벼슬을 받았다고 한다.<ref>박동진 증언. (김기형,「원로예술인들에게 듣는다. - 박동진의 소리 세계」,『월간 문화예술』2001년 5월호, 한국문화예술위원회, 2001, P.89~90.)</ref> 그러나 부친은 국악과 일체 관련을 두지 않은 농사꾼이었다고 한다.
 
16세 때 [[공주시|공주]]에 들어 온 [[협률사]](協律社)의 공연을 본 이후로 판소리에 빠지기 시작하여 18세 때에는 [[청양군|충청남도 청양]]에 거주하였던 손병두 문하에 들어가 처음 판소리를 익혔다. 헌데 손병두는 본래 명창으로 활동한 사람은 아닌 것으로 보이며, 그로부터 얼마 지나지 않아 박동진은 손병두의 조부라 알려진 손필모의 주선을 받아 김창진(金昌鎭) 문하로 옮겨 《[[심청가]]》를 배웠다.<ref>김창진은 명창 김창룡의[[김창룡 (국악인)|김창룡]]의 동생으로 중고제 명창이었다고 한다. 본래 형 김창룡의 고수로 활동하였는데, 그 대접의 차이에 화가나 독공하여 명창 반열에 올랐다. 그러나 아편에 중독되어 형과는 거의 의절하였으며 서울에서 활동하지 못하였다. 박동진은 김창룡의 소리가 중고제이면서도 동편제 소리와 유사하다고 하였고, 김창진의 소리는 중고제이면서도 서편제 소리와 유사하다고 하였다.</ref> 19세에는 [[정정렬]](丁貞烈, [[1876년]] [[5월 21일]] ~ [[1938년]] [[3월 21일]])에게 《[[춘향가]]》를 배웠으나 당시 정정렬의 다른 제자들이 많아 다 배우지 못했고, 20세 되던 해에 유성준에게 《[[수궁가]]》를, 21세 때 조학진 문하에서 《[[적벽가]]》, 22세 때 박지홍 문하에서 《[[흥보가]]》를 배웠다. 그리고 다시 상경하여 정정렬에게 《춘향가》를 배웠다. 또한 송만갑에게도 지도를 받았다고 하는데 정확히 어떤 바탕을 배운 것은 아니고 전반적인 정리 성향을 띈 지도만 받았던 듯 하다.<ref>박동진 증언.</ref>
 
25세를 전후하여 무절제한 생활로 목이 상하여 소리꾼으로서는 그렇게 행세하지 못하였고, 행세하는 경우에도 중앙 무대에는 서지 못했다. [[1944년]]에서 [[1952년]]까지 8년 간은 조선음악단, 김연수 창극단, 조향 창극단 등 창극단 생활을 전전하며 창극 무대에 서기도 하였고, 고수(鼓手)로 행세하기도 하였다. 한편으로는 다시 목을 되찾기 위해 100일 독공도 마다하지 않는 등 소리 수련을 계속하였는데 생활을 위해 햇님국극단에서 편곡과 무대감독을 담당하기도 하였으나 여전히 소리꾼으로 전면적인 활동을 벌이지는 못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