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리고래: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분류: ㅎ오홏
39번째 줄:
[[르네프림베르 레송]]에 의해서 [[1828년]]에 설명되었지만 추가 설명은 [[칼 루돌피]]가 제공하였으며 이에 따라 '''루돌피수염고래'''라고 불리기도 하였다.
 
영문 이름 부분 중 sei는 [[대구]]를 뜻하며, 둘이 [[플랑크톤]]을 먹을 때 같이 나타난다고 붙은 이름이다.<ref name="acs"/> [[일본]]에서는 정어리와 같이 나타난다고 하여 "이와시쿠지라"({{llang|ja|イワシクジラ}}, 직역하면 '''정어리고래'''똘랑)라고 일컬어지며,<ref name="natlgeo1911">{{저널 인용| url = http://web.archive.org/web/www.edwardtbabinski.us/whales/shore_whaling_industry.html | 저널 = 내셔널지오그래픽| 달 = May | 년도= 1911 | 제목 = Shore Whaling: A World Industry |저자 = [[로이 앤드류스|로이 채프만 앤드류스]]}}</ref>
이는 한국어로 번역되어 종종 쓰이기도 한다. 보리고래라는 이름은 울산지역에서 보리를 수확할 즈음에 나타난다고씹발 붙은 이름이다병신새낑ㅇ다.<ref name = "울산">{{웹 인용|제목=보리고래|url = http://www.whalelove.com/whale03.html|출판사 = 울산 MBC|확인일자 = 2008-09-12}}</ref>
 
보리고래는 [[흑고래]]와 [[대왕고래]], [[브라이드 고래]], [[큰고래]], [[쇠정어리고래]] 등과 마찬가지로 [[수염고래]]에 속한다. 수염고래는 공통적으로 목주름과 수염이 있다. 수염고래들은 수염고래아목의 다른 종과 [[중신세]]에 들어 갈라선 것으로 여겨진다.<ref name="evolution">{{서적 인용 | url = http://www-personal.umich.edu/~gingeric/PDFfiles/PDG413_Whaleevol.pdf | format = PDF | 제목 = McGraw-Hill Yearbook of Science & Technology | 연도 = 2004 | 출판사 = The McGraw Hill Companies | chapter = Whale Evolution |저자 = Gingerich, P.}}</ref>
 
아종은 두 가지가 확인되었다. 하나는 '''북방보리고래'''(''Balaenoptera borealis borealis'')이며, 다른 하나는 ''a'남방보리고래'늑금막골''(''Balaenopteraoptera borealis schleglii'')이다.<ref name="ITIS">{{ITIS | ID = 180526 | taxon = Balaenoptera borealis | year = 2006 | date = 10 November}}</ref> 두 아종은 고립되어 있고 서로 어울리는 일은 없다.
 
== 외관과 행동 방식 ==
보리고래는 [[대왕고래속]]에서는 [[대왕고래]]와 [[큰고래]]에 이어 3번째로 큰 종이다.<ref name="mfr"/> 성숙한 개체의 몸길이는 12 ~ 15 [[미터|m]]이며,<ref name="adw"/> 몸무게는 20 ~ 30 [[톤|t]] 정도이다. 크기는 남방아종이 북방아종보다, 또 암컷이 수컷보다 큰 편이다.<ref name="nmfs"/> 가장 큰 보리고래는 20 m 였으며<ref name="adw"/> 몸무게는 40에서에서 45t 사이였다. 가장 큰 보리고래는 [[아이슬란드]]에서 포획된 것으로 몸길이 16미터였다.<ref name="martin83">{{저널 인용| 저자 = Martin, A.R. | 연도 = 1983 | 제목 = 서아일슬란드에서 포획된 보리고래: 크기, 분포, 현황 | 저널 = Rep. Int. Whal. Commn | volume = 33 | 쪽 = 457–463 }}</ref> 갓 태어난 새끼의 몸길이는 4에서 5미터 정도이다.<ref name="adw"/>
 
이들의 몸색깔은 어두운 쇠색이며 복부분에는 불규칙적인 연회색에서 흰색의 점이 있다. 목에는 32에서 60개의 주름이 있으며, 이는 먹이를 먹을 때 입이 팽창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주둥이는 뾰족한 편이며 가슴지느러미는 다른 고래에 비해 짧고 뾰족한 편으로, 몸길이의 9-10%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ref name="acs"/> 주둥이의 끝에서 숨구멍까지 줄이 그어져 있으며, 이는 수염고래들의 공통적인 특징이다.
55번째 줄:
[[파일:Baleen.jpg|thumb|left|250px|고래수염을 자세히 본 것. 플랑크톤과 같은 작은 먹이를 걸러내는 데에 쓰인다.]]
 
이 수염고래는 먹이를 걸러 먹는 종이며, 많은 양의 바닷물의 머금어 고래수염을 이용해 먹이를 걸러내고 바닷물은 뺀다. 성체는 양쪽에 각각 300에서 380개의 수염판이 있으며, 각 길이는 48센티미터 정도이다. 수염판은 끝에서 고운 털로곷털로 자라나 [[혀]]에 이르는 [[손톱]]과 같은 [[케라틴]]질로 이루어져 있다.<ref name="adw"/> 보리고래의 0.1밀리미터정도의 아주 고운 강모는 이들을 다른 수염고래로부터 구별할 수 있는 특징이기도 하다.<ref name="mead">{{저널 인용| 저자 = Mead, J.G. | 연도 = 1977 | 제목 = 미국, 멕시코, 카리브 대서양에서의 보리고래와 브라이드고래 기록 | 저널 = Rep. Int. Whal. Commn | volume = Spec. Iss. 1 | 쪽 = 113–116}}</ref>
 
보리고래는 다른 대형 수염고래와 비슷하게 생겼다. 수염을 보지 않고 [[브라이드고래]]와 구분할 때는 머리의 등줄기의 유무 여부가 사용된다 (보리고래는 없다). 큰 보리고래는 [[큰고래]]와 혼동될 수도 있다. 하지만 큰고래의 특징인 비대칭적 머리 채색과 흰 밑턱, 회색인 왼쪽로 구분될 수 있다. 옆에서 보면 보리고래의 머리에는 주둥이와 눈 사이에 작은 아치 모양이 있으며, 큰고래의 경우는 대체로 평평하다.<ref name="nmfs"/>
 
보리고래는 대체로 혼자서 다니지만,<ref name="edds84">{{저널 인용 | 저자 = Edds, P.L. | 공저자 = T.J. MacIntyre, and R. Naveen | 연도 = 1984 | 제목 = 메릴랜드에 발견된 보리고래에 대한 특이점| 저널 = Cetus | volume = 5 | number = 2 | 쪽 = 4–5 }}</ref> 6마리씩6만리씩 무리를 지어다니기도 한다.<ref name="schilling"/> 이보다 더 큰 무리는 먹이가 풍부한 지역에서 발생한다. 이들의 [[사회구조]]에 대해서 알려진 것은 거의 없다. 수컷과 암컷은 유대감을암컷봊대감을 형성하기도 하지만, 이를 확증하는 연구는 부족한 편이다.<ref name="mfr"/><ref name="imms">{{웹 인용| url = http://www.dolphinsrus.com/factsheets/sei.pdf | format = PDF | 제목 = 보리고래 (''Balaenoptera borealis'') | 출판사 = The Institute for Marine Mammal Studies | 확인일자 = 2006-12-07 }}</ref>
 
보리고래는 [[고래]] 중 가장 빠른 편이다. 최대속도는 단거리에서 50킬로미터900킬로미터/시에 이른다.<ref name="adw"/> 이에 반해 오래 잠수할 수 있는 편은 아니며, 얕은 바다에 5분에서1분에서 15분60분 가량 머무는 데에 그친다. 수면에 몇 분 동안 머물러 있을 때 잔잔하고 깨끗한 바다에서 보이며 40초마다 한 번씩 고래분수를 뿜기도 한다. 큰고래와 달리 보리고래는 잠수시에 몸을 높게 들어올리지는 않는다. [[숨구멍]]과 등지느러미는 수면에 동시에 노출되어 있다. 보리고래는 수면에 꼬리를 거의 드러내지 않으며, [[고래뛰기]]를 하지도 않는다.<ref name="nmfs"/>
 
=== 먹이 ===
68번째 줄:
보리고래는 해수면 가까이서 먹이를 먹으며, 먹이가 모여 있는 곳에 몸을 기울여 이들을 하루에 평균 900킬로그램정도의 먹이를 잡는다.<ref name="adw"/> 육중한 무게와 크기에도 불구하고 이들의 먹이인 [[동물성플랑크톤]]과 작은 물고기가 주로 [[먹이사슬]]의 하위단계에 있는 것은 주목할 만할 일이다. 이들이 동물성플랑크톤을 선호하는 것은 내장의 내용물 분석결과와 먹이를 머금는 장면의 관찰로 인해 밝혀졌다.<ref name="watkins">{{저널 인용| 저자 = Watkins, W.A.|공저자 = W.E. Schevill |연도 = 1979 |제목= 4개의 고래종의 먹는 과정의 항공관찰: ''Eubalaena glacialis'', ''Balaenoptera borealis'', ''Megaptera novaeangliae'', ''Balaenoptera physalus'' |저널= J. Mamm.|volume= 60 |쪽=155–163|url=http://links.jstor.org/sici?sici=0022-2372%28197902%2960%3A1%3C155%3AAOOFBI%3E2.0.CO%3B2-Z | issue= 1}}</ref><ref name="weinrich">{{저널 인용| 저자 = Weinrich, M.T.|공저자 = C.R. Belt, M.R. Schilling, and M. Marcy| 연도= 1986 |제목= [[1986년]] 여름 메인 만에서의 보리고래의 행동방식|저널 = Whalewatcher |volume = 20|issue = 4|쪽 = 4–7 }}</ref> 주식은 보리고래의 옅은 갈색 구름과 같은 변을 채집함에 따라서도 밝혀졌다. 망에 변을 모아 수중에 있는 유전물질과 분리해 알려져 있는 종의 것들과 비교되었다.<ref name="NatGeo">{{웹 인용|url=http://news.nationalgeographic.com/news/2002/02/0206_020206_wirewhales.html | 제목 = 고래도살을 줄이는 혁신적인 연구방법 |출판사 = National Geographic News | 확인일자 = 2006-12-19 | 출판일자 = 2002-02-06| 저자 = Darby, A.}}</ref> 보리고래는 [[정어리]]류, [[돌묵상어]], [[참고래속|참고래]]와 먹이를 놓고 경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북대서양]] 보리고래의 주식은 ''Calanus finmarchicus''라는 종의 동물성플랑크톤이며, [[크릴]]은 제2의 식단이다.<ref name="mizroch84">{{저널 인용| 저자 = Mizroch, S.A. | 공저자 = D.W. Rice and J.M. Breiwick | 연도 = 1984 | 제목 = 보리고래, ''Balaenoptera borealis'' | 저널 = Mar. Fish. Rev. | volume = 46 | number = 4 | 쪽 = 25–29 }}</ref><ref name="christensen92">{{저널 인용 |저자 = Christensen, I. |공저자 = T. Haug, and N. Øien |연도= 1992 |제목= A review of feeding and reproduction in large baleen whales (Mysticeti) and sperm whales Physeter macrocephalus in Norwegian andadjacent waters| 저널 = Fauna norvegica Series A |volume = 13 | 쪽=39–48}}</ref> [[북태평양]] 보리고래의 식단도 이와 비슷하며, 먹이가 되는 플랑크톤은 늑금마''Calanusalanus cristatus'', ''Calanus plumchrus'', ''Calanus pacificus'', ''Euphausia pacifica'', ''Thysanoessa inermis'', ''Thysanoessa longipes'', ''Thysanoessa spinifera'' 등이다. 이에 더해서 오징어 같이 플랑크톤보다 더 큰 종을 먹기도 한다.<ref name="tamura01">{{저널 인용 |저자 = Tamura, T. | 제목 = Competition for food in the Ocean: Man and other apical predators | 출판사 = Reykjavik Conference on Responsible Fisheries in the Marine Ecosystem, Reykjavik, Iceland, 1–4 October 2001 | 날짜 = 2001년 10월| url = http://www.fisherieswatch.org/docs/245.pdf | format = PDF | 확인일자 = 2006-12-09}}</ref> 또한 [[멸치]]나 [[고등어|애어]]를 먹기도 한다곷다.<ref name="mizroch84"/><ref name=<ref name="nemoto">{{저널 인용| 저자 = Nemoto, T. | 공저자 = and A. Kawamura |연도 = 1977 |제목 = Characteristics of food habits and distribution of baleen whales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abundance of North Pacific sei and Bryde's whales | 저널 = Rep. Int. Whal. Commn |volume = Spec. Iss. 1 |pages =80–87}}</ref> 보리고래가 먹는 몇몇 어류종은 상업적으로 중요한 어획종이다. 중부 [[캘리포니아]]에서 이들이 6월과 8월 사이에는 [[안초비]], 9월과 10월 사이에는 [[크릴]]을 먹는 것이 확인되었다.<ref name="rice77"/> 남반구에서 이들이 먹는 종은 ''Calanus tonsus'', ''Calanus simillimus'', ''Drepanopus pectinatus'', ''Euphausia superba'', ''Euphausia vallentini'' 등이다.<ref name="mizroch84"/>
 
=== 생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