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바타케 지카후사: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사용자:Gray eyes님 이 사람은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사람이 아닙니다..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파일:Kitabatake Chikafusa.svg|280px|thumb|기타바타케 지카후사《({{lang|ja|前賢故実}}([[전현고실]])》]]
'''기타바타케 지카후사'''({{ja-y|北畠親房|きたばたけ ちかふさ|기타바타케 지카후사}} [[1293년]] [[3월 8일]] ~ [[1354년]] [[6월 1일]])는 [[가마쿠라 시대]] 말기부터 [[난보쿠초 시대|남북조 시대]]에 [[구게|공가]](公家)로 아버지는 [[기타바타케 모로시게]]({{lang|ja|北畠師重}}), 어머니는 [[후지와라노 다카시게]]({{lang|ja|藤原隆重}})의 딸이다. 자식으로는 [[기타바타케 아키이에]]({{lang|ja|北畠顕家}})와 [[기타바타케 아키노부]]({{lang|ja|北畠顕信}}) 등이 있다. 또, 기타바타케 지카후사는《[[신황정통기]]({{lang|ja|神皇正統記}})》의 저자이기도 하다. 기타바타케 가문은 무라카미 겐씨(村上源氏)의 방계이다.
 
== 생애 ==
[[에이닌]] 원년([[1293년]]) 음력 1월 29일 아버지 [[기타바타케 모로시게]]와 어머니 [[후지와라노 다카시게]]의 딸 사이에서 태어났다. 생후 6개월 만에 종5위의 관위에 위계된다. 15세 때에는 자신과 같은 역직에 이전부터 임명되지 말아야할 관위가 낮은 자가 임명되자 항의해 [[고니조 천황]]에 사직계를 내는 등 강직한 면을 보였다. [[고후시미 천황|고후시미 상황]]의 [[인세이]]가 시작되자 18세에 참의(参議)에 임명되었고, 다음 해 검비위사(検非違使)를 겸했다. [[분포 (연호)|분포]] 2년([[1318년]]) [[고다이고 천황]](後醍醐天皇)이 즉위하자, 황자 [[요요시 친왕]](世良親王)의 양육을 맡았다. [[요시다 사다후사]]({{lang|ja|吉田定房}}), [[마데노코지 노부후사]]({{lang|ja|万里小路宣房}})와 함께 [[노치노산보]]({{lang|ja|後の三房}})로 불리며 [[고다이고 천황]]의 두터운 신임을 받았다. 이제까지 기타바타케 가문에게는 허락되지 않는 [[겐지초자|겐지의 수장]]({{lang|ja|源氏長者}})과 대납언(大納言)에 임명되었지만, [[겐토쿠 (1329년)|겐토쿠]] 2년([[1330년]]) 요요시 친왕이 급사하자 이에 책임을 지고 38세의 젊은 나이에 출가해 정계를 은퇴하였다. 그의 직위는 당시 종2위 대납언, 겐씨의 수장, 내교방(内教坊)을 겸하고 있었다. 이 시기 종1위와 준대신에 임명되었다는 이야기도 있고, 시기에 관해선 이설도 있다. 따라서, [[가마쿠라 막부]] 전복계획인 [[쇼추의 변]](正中の変)과는 관련이 없는 것 같다. 한편, 그의 아버지 기타바타케 모로시게와 그의 사촌 [[기타바타케 도모유키]]는 [[겐코의 변]](元弘の変)으로 처형되었다. 가마쿠라 막부를 타도하고, [[고다이고 천황]]의 [[겐무 신정]](建武の新政)이 시작되자, 기타바타케 지카후사는 정계에 복귀한다. [[오슈]]의 진정을 명받은 아들 [[기타바타케 아키이에]]와 [[고무라카미 천황|노리요시 친왕]](義良親王)과 함께 [[무쓰노쿠니|무쓰 국]](陸奥国) [[다가 성]](多賀城)에 입성한다. [[겐무]] 2년([[1335년]]) 호조 가문의 잔당무리가 [[나카센다이 난]](中先代の乱)을 일으키자, [[아시카가 다카우지]](足利尊氏)는 천황의 명 없이 그들을 토벌하러 가마쿠라로 나아갔고, 그대로 [[고다이고 천황]]에 반기를 들었다. 그 후, 다카우지는 교토를 장악하기 위해 군을 이끌고 서진하자, 다카우지 토벌을 위해 오슈에서 [[교토 시|교토]]로 돌아왔다. 하지만, 교토에서 축출된 다카우지가 [[규슈]]의 병력을 이끌고 다시 교토를 장악하자, [[고다이고 천황]]과 함께 [[요시노 정|요시노]](吉野)에 남조를 열어 북조에 대항했다.
 
[[엔겐]] 3년/[[랴쿠오]] 원년([[1338년]]) 아들 [[기타바타케 아키이에]]가 전사한 후, 지카후사는 [[이세노쿠니|이세]](伊勢)에서 [[이세 신궁]]의 신관 [[와타라이 이에유키]](度会家行)의 도움을 받아 남조의 세를 확대한다. 이 무렵 지카후사는 이에유키의 [[신국사상]](神国思想)에 강한 영향을 받게 된다. 단, 이에유키가 주창하는 [[이세 신토]](伊勢神道)에 대해서는 비판적이었다고 한다. 그 후, [[간토]](関東)에서 남조 세를 확대하기위해 [[유키 무네히로]](結城宗広)와 함께 노리요시 친왕, [[무네요시 친왕]](宗良親王)을 받들어 간토로 건너갔다. 하지만, 해로를 통해 건너갔기 때문에 도중의 폭풍우를 만나 두 친왕과 헤어진 후, 혼자 [[히타치노쿠니|히타치 국]](常陸国)에 상륙한다. 히타치에 상륙한 후, [[오다 하루히사]](小田治久)를 의지해 [[진구지 성]](神宮寺城)에 머물지만, 북조측에 가담한 사타케 가문(佐竹氏)의 공격을 받고, 오다 가문의 본거지인 [[오다 성]](小田城; 현 [[쓰쿠바 시]](つくば市))으로 거처를 옮겼다. 지카후사는 [[무쓰 국]] [[시라카와 시|시라카와]](白河)의 [[유키 지카토모]](結城親朝)를 비롯 간토 각지의 반막부세를 규합한다.《[[신황정통기]]》,《[[직원초]](職源鈔)》의 집필을 한 시기가 이 무렵이라고 한다. [[고코쿠]] 원년/랴쿠오 3년([[1340년]]) 북조의 [[고노 모로후유]](高師冬)가 간토 통치를 위해 파견되자, 기타바타케 지카후사는 소원해진 오다 가문을 벗어나 [[세키 무네스케]](関宗祐)의 [[세키 성]](関城)으로 거처를 옮기고, [[다이호 성]](大宝城)의 시모쓰마 가문(下妻氏)과 [[이사 성]](伊佐城)의 이사 가문(伊佐氏) 등과 연대하여 히타치 서부에서 항전을 계속하였다. 히타치에서의 5년의 시간이 지나자, 남조의 관백 [[고노에 쓰네타다]](近衛経忠)가 [[도시초자|후지와라씨의 수장]]({{lang|ja|藤氏長者}})으로 후지와라 씨계 무사단을 독자적으로 통제하기 시작한다. 이렇게 되자, 기타바타케 지카후사에게는 적과 내부의 내홍으로 자신의 입지가 약화되었다. 고코쿠 4년/[[고에이 (연호)|고에이]] 2년([[1343년]]) 다이호 성과 이사 성이 함락되자 요시노로 귀환하였다.
 
[[쇼헤이]] 3년/[[조와 (1345년)|조와]] 4년([[1348년]]) [[시조나와테 전투]](四條畷の戦い)에서 [[구스노키 마사쓰라]](楠木正行)의 남조 세력이 [[고노 모로나오]](高師直)의 북조 세력에 패배하자, 요시노로부터 [[고조 시|아노]](賀名生)로 천도했다. [[고다이고 천황]]이 붕어한 후, [[고무라카미 천황]]을 보좌하였고, [[간노의 소란]](観応の擾乱)으로 불리는 아시카가 가문의 내분이 발생하자, [[아시카가 다카우지]]는 남조에 항복하였다. 이를 [[간노의 소란#쇼헤이 일통|쇼헤이 일통]](正平一統)이라고 한다. 이로 인해 잠시나마 [[교토 시|교토]]와 [[가마쿠라 시|가마쿠라]]를 탈환하였다. 쇼헤이 9년/[[분나]] 3년([[1354년]]) 음력 5월 10일 아노에서 임종했다. 지카후사 사후, 남조에는 지도적 인물이 나타나지 않았고, 남조는 서서히 북조측으로 기울어져 [[1392년]] 전국은 북조에 의해 통일되었다.
 
[[오사카 시]] [[아베노 구]]의 [[아베노 신사]](阿部野神社)와 [[후쿠시마 현]] [[다테 시 (후쿠시마 현)|다테 시]]의 [[료젠 신사]](霊山神社)에서는 아들 [[기타바타케 아키이에]]와 함께 제를 지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