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광성: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VolkovBot (토론 | 기여)
잔글 로봇이 더함: lv:Maiņzvaigzne
잔글편집 요약 없음
2번째 줄:
 
[[세페이드 변광성]]은 그 밝기가 변광주기와 일정한 관계에 있기 때문에 중요하다. 변광주기를 관측하면 별의 밝기를 구할 수 있고, 이를 별의 겉보기 밝기와 비교하면 별까지의 거리를 구할 수 있다. 세페이드 변광성의 관측은 가까운 은하까지의 거리를 구하는 데에 쓰이고 있다.
 
== 발견 ==
[[1572년]]과 [[1604년]] 하늘에 [[초신성]]이 나타났다. [[1596년]] [[데이비드 파브리시우스]]는 [[고래자리 오미크론]]이 주기적으로 시야에서 사라지는 것을 발견했다. 1642년 요하네스 헬베리우스는 이 별에 미라(''Mira'', 놀라움이라는 의미)라는 이름을 붙였다. 일련의 발견을 통해 [[아리스토텔레스]]와 고대의 천문학자들이 생각했던, "하늘은 불변한다."라는 주장은 옳지 않음이 증명되었다. 변광성의 발견으로 [[16세기]]와 [[17세기]] 초 천문학계의 발전이 촉진되었다.
 
[[1786년]]까지 열 두 개의 변광성이 확인되었다. [[제미니아노 몬타나리]]가 [[1669년]] [[알골]]이 [[식쌍성]]의 성질을 보임을 발견했다.(이 별은 식쌍성으로 확인된 최초의 천체이다) [[존 구드리케]]는 [[1784년]] 알골의 밝기에 대해 정확한 분석을 했다. 1850년대 이후 변광성의 발견 속도는 매우 빨라졌으며, 특히 1890년대 이후 [[사진술]]에 의해 변광성을 발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2003년]] 업데이트 된 변광성의 [http://www.sai.msu.su/gcvs/gcvs 일반 목록 최신판]에는, [[우리 은하]]에 존재하는 4만 개 이상의 변광성, [[은하|다른 은하]]에 있는 1만 개의 변광성, 변광성으로 추측되는 1만 개의 천체들이 수록되어 있다.
 
[[분류:변광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