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가 원수: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Moonlover369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10번째 줄:
2009년에 국방위원회 위원장이 최고령도자라는 내용을 넣으면서 김정일이 헌법적인 국가원수가 되었다가, [[2011년]] 12월 사망하게 되자, [[김정은]]이 최고 지도자의 역할을 부분적으로 수행하였고, 이듬해 4월 최고 지도자로 추대되면서 개정헌법에 의거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의 자격으로 헌법적 및 실질적인 최고지도자가 되었다. [[2016년 5월]]에 열리는 조선로동당 제7차 당대회에서 국방위를 폐지, 주석제, 총비서가 부활할 수 있다는 전망이 일부 언론에서 나왔다.<ref>{{뉴스 인용 |url=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0191928&code=61111111 |제목=北, 내년 7차 당대회서 국방위 폐지· 주석제 부활 가능성 |저자=김영석 |출판사=국민일보 |날짜=2015-12-23 |확인날짜=2016-05-16}}</ref> 김정은은 당대회에서 조선로동당 위원장에 취임하였다. 그리고 6월 29일 최고인민회의에서 헌법을 개정해 국방위원회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무위원회|국무위원회]]로 바꾸어 김정은을 국무위원장에 취임시키고, 국무위원장을 공화국 최고 수위로 하여 국가원수로 하였다.<ref>{{뉴스 인용 |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8508184 |제목=北최고인민회의 개최…김정은 국무위원장 추대(4보) |저자=이상현 |출판사=연합뉴스 |날짜=2016-06-29 |확인날짜=2016-06-29}}</ref>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최고지도자 ==
{{본문|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지도자 목록}}
 
== 헌법상의 국가원수 ==
[[1994년]] [[7월 8일]] 김일성이 사망하였지만 주석직은 계속 유지되면서 김정일 국방위원회 위원장이 유훈통치(遺訓統治)를 하다가 1998년 9월 5일 사회주의헌법이 개정 되면서 김일성 주석이 [[공화국의 영원한 주석]]으로 추대되었고 국가원수는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이 되었다.<ref group="footnotes">제111조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은 상임위원회 사업을 조직 지도한다.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은 국가를 대표하며 다른 나라 사신의 신임장, 소환장을 접수한다.</ref>
 
[[2009년]] [[4월 9일]] 최고인민회의에서 [[사회주의 헌법]]이 개정 되면서<ref group="footnotes">제100조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국방위원회 위원장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최고령도자이다.</ref> 김정일이 헌법상의 국가 원수가 되었다.<ref>{{웹 인용 |url=http://www.unityinfo.co.kr/sub_read.html?uid=7304%A1%D7ion=sc7%A1%D7ion2= |제목=2009년 북한의 헌법 개정과 선군정치 |저자=정상화 |출판사=통일신문 |날짜=2009-11-30 |확인날짜=2016-05-16}}</ref> [[김정일]]의 사후인 [[2012년]] [[4월 13일]]에 [[사회주의 헌법]] 해당 조항이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최고령도자이다'로 개정됨과 동시에 [[김정은]]이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에 취임하면서 [[김정은]]이 북조선 헌법 상 국가원수가 되었다. 다만 외교상에 있어서는 여전히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이 국가를 대표하였다.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 당시의 김정은을 북한의 공식적인 국가 원수로 보고 있다.<ref>{{문서 인용 |url=https://www.un.int/protocol/sites/www.un.int/files/Protocol%20and%20Liaison%20Service/hspmfm.pdf |제목=HEADS OF STATE, HEADS OF GOVERNMENT, MINISTERS FOR FOREIGN AFFAIRS |출판사=UN Protocol and Liaison Service |언어=en |쪽=16 |날짜=2016-05-10 |확인날짜=2016-05-16}}</ref>
 
유엔 자료에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 당시의 김정은을김정은이 북한의 공식적인 국가 원수로 보고되어 있다.<ref>{{문서 인용 |url=https://www.un.int/protocol/sites/www.un.int/files/Protocol%20and%20Liaison%20Service/hspmfm.pdf |제목=HEADS OF STATE, HEADS OF GOVERNMENT, MINISTERS FOR FOREIGN AFFAIRS |출판사=UN Protocol and Liaison Service |언어=en |쪽=16 |날짜=2016-05-10 |확인날짜=2016-05-16}}</ref>
2016년 6월 29일 헌법을 개정해 국방위원회를 국무위원회로 바꾸어 김정은을 국무위원회 위원장에 취임시키고, 국무위원회 위원장을 공화국 최고 수위로 하여 국가원수로 하였다.
 
2016년 6월 29일 헌법을 개정해 국방위원회를 국무위원회로 바꾸어 김정은을 국무위원회 위원장에 취임시키고, 국무위원회 위원장을 공화국 최고 수위로 하여 국가원수로 하였다. 이후 유엔에 국가원수의 직위 변경을 통보하면서 김정은이 2012년 3월 8일에 처음 국가원수에 지명되었다고 통보했다. <ref>[http://dc.koreatimes.com/article/20160816/1005773]</ref>
 
2017년 현재 유엔 자료에 따르면 북한의 국가원수는 김정은이다<ref>[https://protocol.un.org/dgacm/pls/site.nsf/files/HSPMFM/$FILE/Hspmfm.pdf UN Protocol and Liaison service]</ref>
 
<div align="center">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 90%;"
줄 37 ⟶ 40:
| 5,6,7,8,9 || [[파일:Kim_Il_Sung_Portrait-2.jpg|100px]] || [[김일성]](金日成) || 국가주석 || [[1972년]] [[12월 28일]] || [[1994년]] [[7월 8일]] || [[1977년]] 재선<br/>[[1982년]] 3선<br/>[[1986년]] 4선<br/>[[1990년]] 5선
|-
| 권한대행 || [[파일:Kim Jong il Portrait.jpg|100px]] || [[양형섭김정일]](楊亨燮金正日) ||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국방위원장 || [[1994년]] [[7월 8일]] || [[1998년]] [[9월 5일]] || 유훈통치기간<br/>국가주석 권한대행
|-
| 10 || [[파일:Kim Yong-nam 2015.jpg|100px]] || [[김영남]](金永南) ||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 || [[1998년]] [[9월 5일]] || 현직[[2009년]] [[4월 9일]] || [[2003년]] 재선<br/>상임위원회 위원장으로서는 현직이다.
|}-
| 11 || [[파일:Kim Jong il Portrait.jpg|100px]] || [[김정일]](金正日) || 국방위원장 || [[2009년]] [[4월 9일]] || [[2011년]] [[12월 17일]] ||
</div align="center">
|-
| 권한대행 || [[파일:Kim Yong-nam 2015.jpg|100px]] || [[김영남]](金永南) ||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위원장 || [[2011년]] [[12월 18일]] || [[2012년]] [[4월 12일]] || 상임위원회 위원장으로서는 현직이다.
|-
| 12,13,14 || [[파일:Kim Jong-Un Photorealistic-Sketch.jpg|100px]] || [[김정은]](金正恩) || 국무위원장 || [[2012년]] [[4월 13일]] || 현직 ||[[2014년]]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 재선
 
[[2016년]] 국무위원장 선출
|-
|}</div>
</div align="center">
== 참고 ==
=== 각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