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석원 (군인):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71번째 줄:
소위 간삼봉 전투에서 동북항일연군 6사장 김일성 부대와 맞붙었던 일본군을 실제로 지휘한 사람은 서울 용산연대(20사단 78연대)의 김석원이 아니라, 그와 일본 육사 동기로 당시 함흥연대(19사단 74연대) 소속이었던 [[김인욱|김인욱(金仁旭, 1892- ?)]] 소좌였다.<ref>[http://db.history.go.kr/id/im_101_03034 김인욱(金仁旭, 1892- ?)] 조선인사흥신록, 한국사데이타베이스</ref> 이는 당시 신문 기사에서도 확인이 되며,<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35080200209101026&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35-08-02&officeId=00020&pageNo=1&printNo=5269&publishType=00010 王公族附武官 李王垠 附屬步兵 少佐 金仁旭 補 步兵第七十四聯隊附 (咸興)] 동아일보 1935-08-02 조간 1면 13단<br>
[http://gonews.kinds.or.kr/OLD_NEWS_IMG3/MIN/MIN19370703y00_02.pdf 金仁旭少佐 驍勇은 聯隊의 誇이다 : 新乫坡對岸의 討匪壯烈戰과 咸興聯隊當局者談] 매일신보(每日申報) 1937년 07월 03일 면수:06 단수:15<br>
[http://db.history.go.kr/id/su_003_1915_05_26_0290 今日 卒業한 日本士官學校 第27期] 매일신보(每日申報) 1915.6.18</ref> 여러 사람들의 연구에 의해서도 잘 밝혀져 있다.<ref>[http://news.joins.com/article/3933762 이명영(李命英, 1928-2000)], 『金日成列傳』 (新文化社, 1974) pp.261~264</ref><ref>[http://www.nl.go.kr/nl/search/bookdetail/online.jsp?contents_id=CNTS-00056891437# 한재덕(韓載德), 김일성 장군 개선기(金日成 將軍 凱旋記)] (平壤, 民主朝鮮出版社, 1947.11.20) p.240 (부록 p.40)에 혜산사건 판결서 (惠山事件 判決書)를 번역 소개하면서 6사장 김일성 부대가 함흥 74연대 육군 소좌(少佐) 김인욱(金仁旭) 부대와 교전한 것으로 밝힘.</ref> 극작가 [[오영진|오영진(吳泳鎭, 1916-1974)]]은 처남의 장인이 김인욱이라 당시 일에 대해서 김인욱 본인의 말을 정확히 전해 들었던 사람이다. 해방 직후 평양에 있을 때 김일성과 몇 차례 만나 얘기를 나눌 기회가 있었는데, 당시 일에 대해서 이야기 하다 김일성이 김인욱 아닌 김석원이 당사자인 것처럼 말하는 것을 듣고, 그의 진실성을 의심하게 되었다고 한다.<ref>오영진(吳泳鎭, 1916-1974), 『蘇軍政下의 北韓 - 하나의 證言 -』, 서울, 중앙문화사(中央文化社), 1952. 06. 10.
(서울, 국토통일원, 1983, 재발간) 재간본 pp.90~91, pp.98~100</ref> 북한 측이 김인욱 아닌 김석원을 자꾸 거론하는 것은 북한 김일성이 [[보천보 습격|보천보 사건]]과 간삼봉 전투 당사자인 [[김일성 가짜설|6사장 김일성이 아니라 가짜]]라는 증거일 뿐이다. 6사장 김일성은 1937년 11월 13일 전사했고, 북한 김일성은 같은 이름을 쓰며 자신이 6사장인양 행동하여 그 공을 가로챘다. 오영진에 의하면 당시 6사장 김일성은 김인욱을 직접 만나 담판을 벌인 적도 있기 때문에 김석원으로 이름을 잘못 알 수가 없다고 했다. 김인욱은 평안남도 용강군(平安南道 龍岡郡) 출신으로 해방 전 예편하고, 고향에서 살다가 북한에 진주한 소련군에 끌려간 후 소식을 모른다고 한다. 김석원은 해방 전에는 북한 김일성이나 그 처라는 김혜순과 아무런 관계가 없었고, 6.25 때 남침한 그의 군대와 맞서 전투를 벌인게 전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