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수: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특삭 완료
오류 발생
41번째 줄:
* 여기에서 분류된 용어들 이외에도 향수 회사들은 "스플래쉬", "미스트" "베일" 혹은 다른 정확하지 않은 용어를 사용한다. 대개 이런 제품들은 3% 이하의 부향률을 가진다.
 
=== 정확하지 않은 용어 구분 ===
 
콜롱이라는 단어에 대해서는 많은 혼란이 있는데, 여기에는 세 가지 의미가 있다. 첫 의미이자 가장 오래된 정의는 과일, 꽃, 나무 재료를 통해서 만들어진 시트러스에 기반한 향기 나는 물질을 말한다. 이 용어는 독일의 [[쾰른]] 지방에서 탄생했다. 이런 형태의 "고전적인 콜롱"은 중성적인 혼합물을 가리키는 말로서 "이것들은 기본적으로는 시트러스의 혼합물로 향기가 나지만, 향수는 아니었다." 여기에 대한 예로서는 Mäurer & Wirtz's 4711 (1799년 작)과 Guerlain's Eau de Cologne Impériale (1853)가 있다.
 
20세기에 콜롱이라는 단어는 두번째 의미를 가지게 되었다. 향수회사들은 향수의 사용층을 늘리기 위해서, 그들의 제품들 중 그리 진하지는 않은 것들을 콜롱이라고 부르기 시작했다. 예를들어 Guerlain은 그들의 대표작인 Shalimar에 대해서 오 드 콜롱 등급을 부여했다. 고전적인 콜롱과는 달리, 이러한 형태의 향수들은 순수한 파르펑에 비해 상당히 가볍고, 희석된 버전이었다. 콜롱 버전은 흔히 그 회사의 향수 등급 중에 가장 희석된 것을 일컫는 말이었다.
 
마지막으로, 콜롱이라는 단어는 영어로 들어와서는, 그 농도에 관련 없이 남성이 사용하는 향수를 일컫는 말이 되었다. 실제로 남성이 오 드 투알렛 등급의 향수를 쓰고 있다고 할지라도, "그는 향수를 사용했다."라는 의미로서 "콜롱을 사용했다."라고 쓰이게 되었다. 똑같은 문제가 "퍼퓸"이라는 단어에도 있는데, 이것이 여성에게 판매하는 향수에 대한 일반적인 어휘가 되어서, 그것이 원액 추출물에 해당하는 파르펑이 아니라고 하더라도, 그냥 "퍼퓸"이라고 사용하게 되었다.
 
고전적인 콜롱이라는 표현은 유럽에서 17세기에 처음으로 만들어졌으며, 파르펑 등급을 받은 첫번째 향수는 1889년에 탄생한 Guerlain의 Jicky라는 작품에서였다. 오 드 투알렛 등급은 20세기에 들어서면서 탄생했으며, 오 드 파르펑, 파르펑 드 뚜알레 등급은 가장 최근에 생겨난 것으로 1970년대에 탄생했으며, 1980년대에 와서야 대중적으로 알려지게 되었다.
 
=== 정확하지 않은 용어 구분 ===
희석 정도에 따른 향수의 분류 항목에서 볼 수 있듯이 등급에 따른 부향률의 범위가 상당히 넓다. 이는 향수 등급이 정확하게 쓰이지는 않는다는 것을 잘 보여준다.
 
 
=== 용제의 종류 ===
퍼퓸 오일(perfume oil)은 보통 용제에 희석된다. 물론 꼭 희석을 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가장 흔한 퍼퓸 오일 희석을 위한 용제는 에탄올 혹은 물과 에탄올의 혼합물이다. 퍼퓸 오일은 분별된 코코넛 기름과 같은 중립적인 향의 기름이나 호호바 기름과 같은 액체 밀랍에 의해서도 희석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