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벤스라움: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편집 요약 없음
68번째 줄:
== 민족사회주의 사상 ==
=== 전간기(1919–39) ===
1919년, 제1차 세계 대전의 결과는 독일인들이 자신들이 공간 없는 민족(''Volk ohne Raum'')이라고 느끼며, 상처 입은 국가 의식을 강하게 일으키게 했는데, 이는 민족주의 정당들, 특히 — 처벌적 전쟁 배상 조항으로 나라를 빈곤하게 하고, 군비를 감축시키고, 영토를 할양하게 하는 — [[베르사유 조약]] 조항들이 독일에게 너무 가혹하다고 주장한 [[국가사회주의 독일 노동자당]]에 의해 이용된 문화적 감정이었다.<ref>{{서적 인용|author=Lisa Pine|title=Education in Nazi Germany|year=2010|publisher=Berg|isbn=978-1-84520-265-1|page=48}}</ref> [[바이마르 공화국]] 국내 정치에서, 독일의 [[우생학|우생학자]]들은 ''Volk ohne Raum''의 민족주의적이고 정치적인 구호를 따랐고, 독일의 (1880년대부터)감소하는 출산율을 관망하고 "독일 민족"이 활기차고 성장하는 민족이라는 대중의 믿음을 반박하는 문화적 주장인 젊음 없는 민족(''Volk ohne Jugend'')의 인종주의적 구호에 맞추었다. 각 구호가 [[인구통계학]]적 사실에 의해 반박되고 있었음에도, 민족주의자들의 레벤스라움에 대한 요구는 바이마르 시대 독일에서 사상적으로 가능한 정치임이 드러났다.<ref>{{서적 인용|author=Paul Weindling|title=Health, Race and German Politics Between National Unification and Nazism, 1870–1945|year=1993|publisher=Cambridge University Press|isbn=978-0-521-42397-7|page=343}}</ref><ref>Robert Cecil, ''The Myth of the Master Race: Alfred Rosenberg and Nazi Ideology'' p69 ISBN 0-396-06577-5</ref>
 
21년의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 사이 전간기 동안, 독일을 위한 레벤스라움은 바이마르 시대 독일의 정당 정치를 특징지은 극단적 민족주의의 주요 교리였다. 아돌프 히틀러가 이끄는 민족사회주의자들은, (베르사유 조약으로 잃은 영토 복구를 위한)독일의 전전 국경의 지리적 복구뿐 아니라, 독일의 (1918년 이전에 독일이 점령했던 땅 등의)동유럽 정복과 식민지화를 요구했다.<ref>Weinberg, Gerhard ''The Foreign Policy of Hitler's Germany Diplomatic Revolution in Europe 1933–1936'', Chicago, Illinoi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70 pp. 166–68</ref> 이를 위해, 히틀러는 베르사유 조약 파기가 독일에게 필요한 동유럽의 레벤스라움을 얻기 위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ref>Trevor-Roper, Hugh "Hitler's War Aims" pp. 235–50 in ''Aspects of the Third Reich'', edited by H.W. Koch, Macmillan Press: London, United Kingdom, 1985 pp. 242–45.</ref> 1920년대 동안, 피와 땅(''Blut und Boden'') 사상을 신봉하는 반슬라브, 반도시, 반셈족 단체인 아르타만 동맹결사(Artamanen-Gesellschaft)의 일원으로서, [[하인리히 힘러]]는 레벤스라움을 지지하는 포퓰리즘(''völkisch'') 사상을 발전시켰고, 그 이유에 대한 언급은 다음과 같다:
 
{{인용문|우리의 농민 인구[의] 증가는 동방의 슬라브 노동 계급자 무더기가 들이닥치는 것에 대한 유일한 효과적 방어이다. 6백 년 전에도 그랬듯, 독일 농민의 운명은 슬라브 인종에 대항해 어머니 땅을 지키기 위한 투쟁을 통해 독일인들의 유산을 보존하고 늘려나가는 것이어야 한다.<ref>Anthony Read, The Devil's Disciples, p. 159.</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