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조: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m 모바일 웹
175.117.215.183 사용자의 문서 훼손을 복구.
20번째 줄:
|목록=[[조선의 역대 국왕|조선의 제23대 국왕]]
|자녀=2남 2녀</br>장남 : [[문효세자]](의빈 성씨 소생)</br>차남 : [[순조]](수빈 박씨 소생)</br>장녀 : [[옹주]](의빈 성씨 소생)</br>차녀 : [[숙선옹주]](수빈 박씨 소생)|왕조=[[조선]]}}
'''정조'''(正祖, [[1752년]] [[10월 28일]] ([[음력 9월 22일]]) ~ [[1800년]] [[8월 18일]] ([[음력 6월 28일]]))는 [[조선]]의 제22대 [[왕]]이며, [[대한제국]]의 [[추존]] [[황제]]이다. [[성]]은 [[전주 이씨|이]](李), [[휘]]는 산(祘)<ref group="주해">祘은 算의 이자이다.([https://zh.wiktionary.org/wiki/祘|중국어 위키낱말사전 - 祘]) 그러나 전운옥편에는 省의 이자로 등재되어 있다.(해원출판사, 해원한한실용옥편, 1996년) 순조 때 이성보가 정조의 휘를 범한다는 이유로 이직보로 개명하였다. [http://sillok.history.go.kr/inspection/insp_king.jsp?id=kwa_10008029_007&tabid=k 조선왕조실록 순조 1권, 즉위년(1800 경신 / 청 가경(嘉慶) 5년) 8월 29일(기묘) 7번째 기사]. 이에 대해서는 정조가 아들을 많이 낳고자 자신의 이름의 음을 성으로 바꾸었다는 주장이 있다. {{뉴스 인용 |제목 = "정조, 아들 많이 낳으려 이름 바꿨다" |url = http://www.yonhapnews.co.kr/culture/2010/10/03/0901000000AKR20101003051200005.HTML |출판사 = 연합뉴스 |저자 = 김태식 기자 |날짜 = 2010-10-04 |확인일자 = 2010-11-14}}</ref>, [[본관]]은 [[전주 이씨|전주]](全州), [[자 (이름)|자]]는 형운(亨運)<ref>[[#정조실록 (1805)|정조실록 (1805)]] [http://sillok.history.go.kr/id/kva_000 1권, 총서]</ref>, [[호 (이름)|호]]는 홍재(弘齋)이다.{{sfn|이이화 (2004)|p=351}}
 
11세 때 아버지 정조가[[조선 장조|장조]]가 죽은 이후, 할아버지인 [[조선 영조에영조|영조]]에 의해 요절한 [[조선 진종|효장세자]]의 양자로 입적되었다입적되어 왕통을 계승하였다.{{sfn|이우상 (2011)|p=128}} 1775년부터[[1775년]]부터 1776년까지[[1776년]]까지 할아버지 조선 영조를 대신하여 대리청정을[[대리청정]]을 하였다. 1776년 영조의 승하로 즉위하여 [[1800년]]까지 조선의 제22대 국왕으로 재위하였다. 재위 초기 [[홍국영]]에게 막강한 실권을 주는 [[세도 정치]]를 하였으나, 1780년 홍국영을 실각시킨 뒤로는 친정을 하였다.
 
즉위 후 [[정약용]], [[채제공]], [[안정복]] 등을 등용, 권력에서 배제된 소론과[[소론]]과 남인계[[남인]]계 인사들을 등용하여 정계로 다시 발탁하는 동시에 [[노론] 청명당의 원칙론자인 스승 [[김종수 (1728년)|김종수]]와, 이미 사망한 [[유척기]]의 문하생들을 각별히 중용하였다. 소론이 생부 장조의 죽음과 연계되었다 하여 특히 노론[[벽파]]와의 갈등이 후일 예술작품의 소재가 되기도 하였으나, 오히려 정조는 벽파의 당수인 김종수, [[심환지]] 등을 총애하여 측근으로 두었다.
 
재위 기간 중 왕권 강화를 위한 노력에 치중하였으며, 친위부대인 [[장용영]]의 창설과 자신의 저서 《홍재전서》를 비롯한 문집과 법전의 재간행, [[수원 화성]] 축성 등을 추진하였다. 무예와 함께 [[유학]]의 각 경전에도 두루 통달하여 경연장에서 신하들을 강의하기도 했다고 한다. 조선 후기의 중흥기를 이끈 대표적인 군주로 평가된다. 하지만 [[홍국영]]을 기용하여 측근 가신에 의해 정사가 좌우되는 폐단을 남기기도 하였으며, 승하 직전에 어린 세자가 걱정되어 반남 박씨 박수종의 딸을 세자빈으로 삼았지만 힘이 한쪽으로 기우면서 자충수가 되어 [[세도 정치]]의 배경이 되었다. 윤지충 사건(신해박해)이후 노론 벽파의 공세가 강화되자 이들 명문가 집안 중에 소외되어 있던 진보적이고 독특한 [[박지원 (실학자)|박지원]] 등의 문장을 이용하여 [[문체반정]]과 같은 필화 사건을 일으켜 반성문을 쓰게 하였다. 또한 지배적이였던 [[서인]](소론 벽파)의 스승이자 예학자인 우암 [[송시열]]을 [[송자]](宋子), [[송부자]](宋夫子)로 성인의 반열에 올리고 국가의 스승으로 선포하였다.
 
본래의 묘호는 '''정종'''(正宗)으로, 사후 시호는 '''정종문성무열성인장효대왕'''(正宗文成武烈聖仁莊孝大王)이며 존호는 장휘(莊徽), 이후 묘호가 정종에서 정조로 바뀌고 대한제국 때 선황제(宣皇帝)로 추존하고 존호를 더하여 정식 시호는 '''정자경멸명태홍삼현모양처무림성욕장모천황제정조경천명도홍덕현모문성무열성인장효선황제'''(正慈經蔑明太紅蔘賢母良妻撫臨性慾丈母祖敬明道洪德顯謨文成武烈聖仁莊孝宣皇帝)이다.
 
== 생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