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누이트: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자치권협정: 이누이트 의식주,신화
18번째 줄:
 
'''이누이트'''(<small>[[이누크티투트어]]</small>: ᐃᓄᐃᑦ, 사람)는 [[알래스카 주]], [[그린란드]], [[캐나다]] 북부와 시베리아 극동에 사는 원주민이다.<ref>[http://www.bambusspiele.de/spiele/nanuuk/e_nunavut.htm "The Hunters of the Arctic"]. bambusspiele.de. Retrieved 2008-01-07.</ref>
 
캐나다의 원주민 중 북극 지역에 사는 이누이트인은 지금으로부터 약 2천 년 전에 시베리아에서 북아메리카로 이동했다고 추측된다. 현재 [[유콘]]과 [[노스웨스트]], [[누나부트]], 그리고 [[퀘벡 주]] 북부에 걸쳐 약 3만 8천 명 정도가 살고 있다.
 
이누이트란 이들의 언어로 '인간'이란 뜻이다. 전 세계적으로는 약 15만 명 정도가 있는데, 이들은 북극과 캐나다, 그린란드, 시베리아, 알래스카 등지에서 어업과 수렵을 하며 살고 있다. 옛날에는 사냥을 하기 위해 옮겨 다녔지만, 지금은 정착 생활을 통해 문화와 언어를 보존하며 살고 있다.
 
[[미국]]에서는 [[알래스카]]의 극권에 사는 이누이트계 여러 부족들과, [[유픽]]을 가리지 않고 [[에스키모]]라고 부르지만<ref>Kaplan, Lawrence. (2002). [http://www.uaf.edu/anlc/inuitoreskimo.html "Inuit or Eskimo: Which names to use?"], Alaska Native Language Center, University of Alaska Fairbanks, Retrieved on 2007-04-06.</ref>, [[캐나다]]에선 이누이트를 [[퍼스트 네이션]], [[메티스 (민족)|메티스]]와 함께 독립적인 [[캐나다 원주민]]의 하나로서 법적 지위를 부여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이누이트라는 명칭을 사용한다.<ref>[http://laws.justice.gc.ca/en/const/9.html "Canadian Charter of Rights and Freedoms"]. Department of Justice Canada.</ref> 이누이트들은 에스키모라는 이름에 비하의 뜻이 담겨있다고 생각하여 자신들을 에스키모라고 부르지 말아달라고 하고 있다.<ref group="주해">에스키모라는 말은 [[크리어]]에서 나왔다고 알려져 있으나 정확히 어떤 낱말에서 유래한 것인지는 불분명하다. 아마도 “날고기를 먹는 사람”을 뜻하는 askamiciw 또는 “날 것을 먹는 사람”을 뜻하는 askipiw 가 어원일 것이라고 추측되고 있다. - [http://www.native-languages.org/iaq23.htm Setting the Record Straight About Native Languages: What Does "Eskimo" Mean In Cree?]</ref>
 
= 이누이트의 의식주 =
 
== 의 ==
극지에서 사는 사람들에게 있어서는 가볍고 따뜻한 옷이 바람직하거니와 순록(caribou)의 모피로 만든 이누이트복(服)은 더할 나위 없이 이상적이다. 이누이트복에는 겉옷과 속옷이 있는데 각각 상하로 구분되며, 겉옷은 털을 바깥쪽으로, 속옷은 털을 안쪽으로 하여 입는다. 구조상의 특색으로는 단추를 사용하지 않고, 겉옷의 윗도리에는 늑대의 털로 갓을 댄 후드가 달려 있으며, 모든 부분을 여유 있게 만들어 몸과의 사이에 이중(二重) 공간이 생기도록 되어 있다. 모두 내한(耐寒)의 필요성에서 생긴 구조이다. 아노락(anorak)은 이누이트 말이며, 그들이 발명한 겉옷의 윗도리이다. 신발 ·양말도 순록의 모피로 만드는데 신발은 털을 바깥쪽으로, 양말은 털을 안쪽으로 하고, 신발 바닥은 바다표범의 가죽을 쓰기도 한다.
 
== 식 ==
주요 식료는 동물성 식료이지만, 지역에 따라 주식의 종류는 다르다. 해안에 사는 이누이트는 바다표범이 일반적 주식이지만, 곳에 따라서는 북극곰 ·해마(海馬) ·고래 등도 바다표범과 함께 주식으로 사용해왔다. 남서 이누이트에서는 연어 ·송어 ·청어 등이 주식이며, 내륙 이누이트에게는 순록이 가장 중요한 식료원이다. 식물성 식료도 전혀 없는 것은 아니지만, 딸기류 등 약간의 야생식물뿐이다. 동물의 고기는 삶거나 익혀서 먹는 것이 원칙이나, 연료가 부족하고 [[툰드라]]가 냉장고의 역할을 하기도 하여 날고기를 먹는 경우도 많다. 이것은 신선한 채소의 부족에 따른 비타민의 부족을 보충하는 결과가 되었다.
 
== 주 ==
연료로는 바다표범의 기름이 귀하게 쓰여 등불과 난방에 사용되었다. 주거는 툰드라의 잔디땅을 네모나게 잘라 쌓아 올린, 방 하나밖에 없는 작은 흙담집, 그나마 반지하식으로 된 집이 겨울의 주거로 쓰인다. [[이글루]]라고 알려진, 눈으로 만든 움집은 적설량이 많은 지방에서만 가능할 뿐, 알래스카 에스키모에게는 일반적으로 그런 움집에서 살 기회가 없다. 또한 눈으로 만든 움집은 봄과 가을에 걸친 이동과정에서 이용되고, 여름 동안은 대개 텐트에서 사는 일이 많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970660&cid=47315&categoryId=47315#TABLE_OF_CONTENT7</ref>
 
==자치권협정==
1993년 3만2,000명의 캐나다 이누이트 가운데 2만4,000명이 동의하여 비준된 협정이다. 이 결과로 35만 5,981km²에 대한 집단토지소유권이 이누이트족에게 부여되었고, 그중 3만7,992km²에 대해서는 광산채굴권도 추가되었다.이로써 누나부트 준주라는 새로운 행정구역이 탄생했다. 이 협정을 통해 캐나다는 국제사회에서 원주민 권리 보장의 성공사례로 손꼽히게 되었고,오스트레일리아·뉴질렌드·러시아의 소수민족들도 캐나다를 본받고 있다.<ref>{{서적 인용 |저자= 르몽드 디플로마터크 기획 |제목= 르몽드 세계사 | 쪽=
줄 26 ⟶ 42:
1999년 4월 1일에 성립되었으며, 이누이트족의 85%가 살고있는 누나부트 준주는 캐나다 연방의 다른 영토(<small>다른영토:[[유콘 준주]]를 비롯한 북동부의 여러 주</small>)와 동등한 지위를 누린다.<ref>{{서적 인용 |저자= 르몽드 디플로마터크 기획 |제목= 르몽드 세계사 | 쪽=
84,85 |출판사= 휴머니스트| 날짜= 2009년 }}</ref>
 
= 이누이트신화 =
이 신화에는 수렵민의 생활이 반영되어 있는데, 특히 동물들이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 본격적인 창세신화(創世神話)는 알래스카 이누이트(에스키모)만이 갖고 있는데, 철까마귀가 해저(海底)에서 육지를 꺼내어 밤과 낮을 구분하고 초목을 심은 다음, 최초의 인류를 창조하거나 스스로 최초의 인류가 태어났다고 말한다. 이런 점은 북서해안 인디언 신화의 영향을 보여준다. 이에 비해서 [[세드나 신화]]는 알래스카 에스키모에게뿐만 아니라 널리 분포되어 있다. 세드나는 어느 남자와도 결혼을 하고 싶어하지 않는 소녀였는데, 마침내 아버지가 기르던 개와 결혼하여 많은 자식을 낳았다. 그러나 남편(개)은 세드나의 아버지에게 살해되어 바닷속에 수장되었다. 
 
세드나는 자식들을 양육할 수 없었으므로 자식들을 세상에 내보냈는데, 이들이 여러 민족의 조상이 되었다고 한다. 세드나도 아버지에 의해 배에서 바다로 던져져 뱃전을 붙잡은 손가락이 잘렸고, 이 손가락이 바다표범 또는 고래가 되었으며, 세드나는 해저의 지배자가 되었다.<ref>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25304&cid=40942&categoryId=32174</ref>
 
== 각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