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사 (가톨릭):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파일:Certificate of having gone to confession.png|thumb|320px|1521년 대사 부여를 약속하는 고해 특전 준허 증서]]
 
== '''대사'''(大赦, {{lang|la|Indulgentia}}) 또는 '''면벌'''(免罰), '''대사부'''(大赦符)는 라틴어로 ‘은혜’ 또는 ‘관대한 용서’라는 말로 흔히 '''면죄부'''로 더 잘 알려져 있다. 오역으로 인한 논란에 따라 기존에 통용되던 용어 '면죄부'를 대신하여 '''면벌부(免罰符)'''로 수정하는 추세다.<ref><nowiki>{{웹 인용|url=</nowiki>http://www.cbck.or.kr/bbs/bbs_read.asp?board_id=k1300&bid=13006962|제목=“한국천주교주교회의에서 배포한 보도자료에 따르면, '대사'는 죄가 아니라 죄에 따른 벌을 사면해 주는 것으로, '면죄부(免罪符)'는 가톨릭교회가 금전적 대가를 받고 신자들의 죄를 사해주었다는 인상을 주며, 가톨릭 용어인 대사(大赦, indulgence)의 오역이므로, 대사부(大赦符)가 적절한 표현이라고 밝히고 있다.” 《한국천주교주교회의》. 2011년 3월 14일. 2015년 5월 13일에 확인함.
</ref><ref>[http://125.60.48.13/home4/dl_files/edu/015/IM010827_%C6%ED%BC%F6%C0%DA%B7%E1%C1%FD(2).pdf 2011년 교육과학기술부에서 발간한 교과서 편수자료]</ref> ==
 
[[그리스도교]], 특히 [[로마 가톨릭교회]]의 [[신학]]에 따르면 어떤 죄에 대한 현세적인 형벌들이 가해지지 않는다면 사후에 연옥에서 처벌이 요구된다. 이 처벌은 현세에서 보속을 통해 갚게 되며 보속은 기도, 성지 순례 혹은 성경을 읽는 등의 형태로행위로 주워진다주어진다. 이 보속을 면제하는 유일한 방법이 대사인데,<ref>손두환《종교개혁사》(서울:씨토스,1992, P35)</ref> 대사 역시도 보속과 마찬가지로 기도 혹은 성지 순례 등이 주를 이루지만 당시에는 '헌금'으로 대사를 주는 폐단이 있었다. 이렇게 헌금으로 주워지는 대사를 흔히 '면벌부의 판매'라고 한다. 이러한 중세 가톨릭 교회의 면벌부 판매 행위는 종교개혁가들을 분노하게 했다. [[마르틴 루터]]는 "죄의 용서는 오직 하느님만이 하실 수 있는 일"이라며 가톨릭 교회의 면벌부를 그저 '잉크로 더렵혀진 종잇조각'이라고 주장했다. 결국 대사부에 대한 로마 가톨릭교회와 종교개혁가들의 충돌은 [[종교 개혁]]을 불러왔고 로마 가톨릭교회와 개신교가 분열하게 되는 단초가 되었다이룬다.
 
가톨릭 교리에 따르면, 대사는 벌을 사면해 주지만 죄 자체를 사면할 효력은 없다. 죄를 용서받는 유일한 통상적 방식은 [[고해성사]]뿐으로 '대사'를 곧 '면죄부'라고 하는 것은 오역이다. 대사는 [[교황]]이나 [[주교]]들이 줄 수 있으며, 대사의 조건으로 제시되는 행위는 고해성사, [[영성체]], [[기도]], [[성지 순례]] 등의 신앙 실천으로, 이러한 실천들은 어떠한 물질적 조건도 요구하지 않는다.<ref name="cat">{{웹 인용 |url=http://www.cbck.or.kr/bbs/bbs_read.asp?board_id=k1300&bid=13006962 |제목=“면죄부”로 오역되는 가톨릭 용어‘대사’(大赦, indulgence)에 관하여 |날짜=2011-03-14 |웹사이트=한국천주교주교회의 |확인날짜=2015-05-13}}</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