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탑: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Metro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미륵사 (백제)| +[[익산 미륵사지|)
3번째 줄:
'''탑파'''(塔婆)는 [[산스크리트어]]인 [[스투파]](Stupa)에 어원을 둔 단어로 [[부처]]의 [[사리]]가 모셔져 있는 일종의 무덤 건축물을 의미한다. 불탑 혹은 그냥 줄여서 ‘탑’이라고도 한다.
 
탑의 기원은 [[석가모니]] 부처님이 열반에 든 후 그 [[사리]]를 모신 무덤인데, 이후 부처님의 [[사리]]가 여러 지방으로 옮겨지면서 여러 형태의 탑이 만들어졌다. 이들은 대부분 네모난 기단을 다지고 그 위에 봉분에 해당하는 둥근 구조물을 얹고 다시 그 위에 우산 모양의 상륜부를 얹은 당시 인도의 무덤 형태를 따랐다. 이 구조는 탑이 중국으로 전파된 이후에도 그대로 이어졌는데, 중국의 목조건축양식 혹은 벽돌건축양식과 만나 둥근 구조물과 상륜부는 축소되어 탑의 지붕 위에 장식처럼 얹히게 되었다. 이들을 각각 목탑양식, 전탑양식이라 부른다. 이 두 양식이 다시 한국으로 전해져 [[황룡사]], [[미륵사익산 (백제)미륵사지|미륵사]], [[분황사]]의 탑이 만들어졌고 다시 두 양식이 혼합되어 한국 고유의 석탑양식이 만들어졌다. 그 대표적인 예가 [[감은사]]와 [[불국사]]의 탑이다. 석탑양식은 고려조까지 계속 이어졌고 [[고려]] 중기 이후 [[원나라|원]]의 영향으로 [[경천사]]탑 등이 만들어졌다. [[일본]]으로 전파된 탑은 목조건축이 발달한 [[일본]]의 문화에 따라 목탑양식이 그 주류를 이루게 되었다.
 
탑은 본래 부처님의 무덤이기 때문에 항상 [[사리]]가 들어가게 되어 있다. 그러나 [[진신사리]]라 불리는 석가모니 부처님의 몸에서 나온 사리는 그 수가 한정적이기 때문에 [[경전]] 및 [[불상]] 혹은 보석과 같은 상징물을 [[법신사리]]라 부르고 탑 속에 넣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