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합 구조: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잔글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8번째 줄:
* [[부분 집합]] <Math>\vartriangleleft\subseteq X\times L</math>. 만약 <math>(x,l)\in R</math>라면 이를 <math>x\vartriangleleft l</math> 또는 <math>l\vartriangleright x</math>로 표기하고, <math>x</math>가 <math>l</math>과 '''결합한다'''(結合-, {{llang|en|incident}})고 한다. (이 [[이항 관계]]는 <math>x\,\mathsf I\,l</math> 또는 <math>x\in l</math> 등으로 표기되기도 한다.)
 
결합 구조 <math>(X,L,\vartriangle)</math>에서, [[부분 집합]]
=== 다각형 ===
:<math>X'\subseteq X</math>
결합 구조 <math>(X,L,\vartriangleleft)</math> 속의, 크기 <math>n</math>의 [[유한 집합]] <math>P\subseteq X</math>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면, '''<math>n</math>각형'''(<math>n</math>角形, {{llang|en|<math>n</math>-gon}})이라고 한다.
:<math>L'\subseteq L</math>
* 임의의 서로 다른 세 점 <math>x,y,z\in P</math>에 모두 결합하는 직선 <Math>l\in L</math>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 주어졌을 때, <math>(X',L',\vartriangle\restriction X'\times L')</math>를 <math>(X,L,\vartriangle)</math>의 '''부분 결합 구조'''(部分結合構造, {{llang|en|incidence substructure}})라고 한다.
 
=== 균등 결합 구조 ===
줄 70 ⟶ 71:
* 결합 관계를 변이 꼭짓점을 끝점으로 갖는지 여부로 삼는
결합 구조 <math>(\operatorname V(\Gamma),\operatorname E(\Gamma),\vartriangleleft)</math>를 정의할 수 있다.
 
=== 다각형 ===
2 이상의 정수 <math>n\ge2</math>가 주어졌다고 하자. 집합
:<math>X=\{x_1,x_2,\dotsc,x_n\}</math>
:<math>L=\{l_1,l_2,\dotsc,l_n\}</math>
위에, 다음과 같은 결합 관계를 주자.
:<math>x_i\vartriangleleft l_j\iff j-i\equiv 0, 1\pmod n</math>
결합 구조 <math>(X,L,\vartriangleleft)</math> 속의, 크기 <math>n</math>의 [[유한 집합]] <math>P\subseteq X</math>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킨다면, '''<math>n</math>각형'''(<math>n</math>角形, {{llang|en|<math>n</math>-gon}})이라고 한다.
 
특히, 만약 <math>n\ge3</math>일 경우 이는 길이 <math>n</math>의 [[순환 그래프]]에 대응하는 결합 구조이다.
 
=== 블록 설계 ===
줄 90 ⟶ 101:
* 결합 관계를 점이 측지선에 속하는지 여부로 삼는
결합 구조를 정의할 수 있다.
 
=== 일반화 다각형 ===
[[파일:GQ(2,2),_the_Doily.svg|thumb|right|일반화 사각형의 예]]
임의의 <math>n\ge3</math>에 대하여, '''일반화 <math>n</math>각형'''({{llang|en|generalized <math>n</math>-gon}})은 다음 조건들을 모두 만족시키는 준선형 공간 <math>(X,L,\vartriangleleft)</math>이다.
* <math>2\le m<n</math>에 대하여, <math>m</math>각형을 부분 구조로 갖지 않는다.
* 적어도 하나 이상의 <math>n</math>각형을 부분 구조로 갖는다. 또한, 다음이 성립한다.
** 임의의 두 점 <math>x,y\in X</math>에 대하여, <math>x</math>와 <math>y</math>를 꼭짓점으로 갖는 <math>n</math>각형이 존재한다.
** 임의의 두 직선 <math>l,m\in L</math>에 대하여, <math>l</math>과 <math>m</math>을 변으로 갖는 <math>n</math>각형이 존재한다.
** 임의의 점 <math>x\in X</math>과 직선 <math>l\in L</math>에 대하여, <math>x</math>를 꼭짓점으로, <math>l</math>을 변으로 갖는 <math>n</math>각형이 존재한다.
 
일반화 <math>n</math>각형의 쌍대 인접 구조 역시 일반화 <math>n</math>각형이다.
점들의 집합 <math>X'\subseteq X</math> 및 직선들의 집합 <math>L'\subseteq L</math>에 대하여, <math>(X',L')</math>을 포함하는 <math>n</math>각형이 존재한다.
 
특히, 위 정의의 특수한 경우로, '''일반화 이각형'''(一般化二角形, {{llang|en|generalized digon}})은 다음 조건을 만족시키는 인접 구조이다.
* 모든 점은 모든 직선과 인접한다.
* 두 개 이상의 점이 존재한다.
* 두 개 이상의 직선이 존재한다.
 
== 역사 ==
“레비 그래프”라는 용어는 독일의 수학자 프리드리히 빌헬름 다니엘 레비({{llang|de|Friedrich Wilhelm Daniel Levi}}, 1888~1966)의 이름을 딴 것이다.
 
일반화 다각형의 개념은 [[자크 티츠]]가 [[반단순 리 군]]을 연구하기 위하여 1959년에 도입하였다.
 
== 참고 문헌 ==
줄 104 ⟶ 134:
* {{매스월드|id=IncidenceMatrix|title=Incidence matrix}}
* {{매스월드|id=IncidenceGraph|title=Incidence graph}}
* {{매스월드|id=GeneralizedPolygon|title=Generalized polygon}}
* {{매스월드|id=GeneralizedQuadrangle|title=Generalized quadrangle}}
* {{매스월드|id=GeneralizedHexagon|title=Generalized hexagon}}* {{매스월드|id=GeneralizedOctagon|title=Generalized octagon}}* {{매스월드|id=GeneralizedDodecagon|title=Generalized dodecagon}}
* {{nlab|id=synthetic geometry|title=Synthetic geome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