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도시철도 2호선: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태그: m 모바일 웹
편집 요약 없음
81번째 줄:
}}
 
'''부산 도시철도 2호선'''(釜山都市鐵道二號線)은 [[대한민국]]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좌동]]에 있는 [[장산역]]과 [[경상남도]] [[양산시]] [[양주동 (양산시)|양주동]]에 있는 [[양산역]]을 잇는 [[부산 도시철도]] 노선이다. 노선의 고유색은 <span style="color:{{한국 철도 노선색|BT|2}};">●</span>[[연두|연두색]]이다. 종래 시행되었던 도시 철도 건설 조례에 의하면 동서선이 병기되었으나, 조례의 폐지로 동서선이라는 노선명은 삭제되었다.<ref>조례 2조에 의하면 중앙선(1호선), 동서선(2호선), 아시아드선(3호선), 반송선(4호선)으로 되어 있다. 이들은 해당 조례의 폐지로 별도 규정되지 않는다.</ref> [[양산시외버스터미널]], 덕천교차로, 구포시장,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 서면교차로, 대연사거리, [[경성대학교]], [[벡스코]], [[해운대시외버스터미널]], [[해운대 신시가지]] 등을 통과하여 유동 인구가 많은 노선이다. 실제로 관광객들이 많이 이용하고, 여름 피서지인 [[광안리 해수욕장]], [[해운대 해수욕장]] 등을 통과하여 [[부산 도시철도 1호선]]에 이어 이용객이 압도적으로 많은 편이다.
 
[[양산시외버스터미널]], 덕천교차로, 구포시장,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 서면교차로, 대연사거리, [[경성대학교]], [[벡스코]], [[해운대시외버스터미널]], [[해운대 신시가지]] 등을 통과하여 유동 인구가 많은 노선이다. 실제로 관광객들이 많이 이용하고, 여름 피서지인 [[광안리 해수욕장]], [[해운대 해수욕장]] 등을 통과하여 [[부산 도시철도 1호선]]에 이어 이용객이 압도적으로 많은 편이다.
 
== 역사 ==
줄 90 ⟶ 88:
* [[1991년]] [[5월]] : 건설 기본 계획 확정
* [[1991년]] [[9월]] : 기본 설계 완료
* [[1991년]] [[11월 28일]] : 1단계 [[호포역|호포]] - ~[[서면역|서면]] 구간 착공
* [[1994년]] [[10월 27일]] : 2단계 [[서면역|서면]] - ~[[장산역|장산]] 구간 착공
* [[1999년]] [[6월 30일]] : 1단계 [[호포역|호포]] - ~[[서면역|서면]] 구간 개통 및 [[서면역]] 환승 개통 ([[부산 도시철도 1호선]])
* [[2001년]] [[8월 8일]] : 2단계 일부 [[서면역|서면]] - ~[[금련산역|금련산]] 구간 개통
* [[2001년]] [[12월 21일]] : 3단계 연장 [[호포역|호포]] - ~[[양산역|양산]] 구간 착공
* [[2002년]] [[1월 16일]] : [[광안역]] 개통
* [[2002년]] [[8월 29일]] : 2단계 잔여 [[광안역|광안]] - ~[[장산역|장산]] 구간 개통
* [[2005년]] [[11월 28일]] : [[덕천역 (부산)|덕천역]], [[수영역]] 환승 개통 ([[부산 도시철도 3호선]])
* [[2008년]] [[1월 10일]] : 3단계 연장 [[호포역|호포]] - ~[[양산역|양산]] 구간 개통 (단, [[증산역 (양산)|증산역]], [[부산대양산캠퍼스역]] 제외)
* [[2009년]] [[10월 1일]] : [[부산대양산캠퍼스역]] 개통
* [[2011년]] [[9월 16일]] : [[사상역 (도시철도)|사상역]] 환승 개통 ([[부산-김해 경전철]])
* [[2014년]] [[12월 5일]] : 문전역을 [[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역]]으로 역명 변경
* [[2015년]] [[9월 24일]] : [[증산역 (양산)|증산역]] 개통
* [[2016년]] [[6월 30일]] : 전역사 [[스크린도어]] 설치
* [[2016년]] [[11월 21일]] : 시립미술관역을 [[벡스코역]]으로 역명 변경
* [[2016년]] [[12월 30일]] : [[벡스코역]] 환승 개통 ([[동해선]])
 
== 운영 ==
=== 노선 ===
수직으로 구성된 1호선에[[부산 도시철도 1호선|1호선]]에 대비하여 부산광역시를[[부산광역시]]를 수평으로 잇는 노선으로, [[해운대구]] 신시가지에서부터 [[사상구]]를 거쳐 [[경상남도]] [[양산시]]를 연결한다. [[중동역 (부산)|중동]] - ~[[벡스코역|벡스코]] 구간은 [[동해남부선]] 철도와 유사한 궤도를 가지며, [[부암역|부암]] - ~[[호포역|호포]] 구간은 [[경부선]] 철도와 유사한 궤도로 이어진다.<ref>이 때문에 [[서울 지하철 1호선]]처럼 경부선에[[경부선]]에 전철이 다닐 계획이 있었으나, 토지 문제 등으로 계획이 취소되었다.</ref> 특히 [[동원역]]의 경우 [[한국철도공사]] 소유 부지에 건설되었다.
 
=== 운행 ===
2호선의 열차는 장산행(상행), 호포행, 양산행이호포·양산행(하행)이 운행한다. [[서면역]]에서 [[부산 도시철도 1호선|1호선]]으로, [[덕천역]] / [[수영역]]에서 [[부산 도시철도 3호선|3호선]]으로, [[사상역 (도시철도)|사상역]]에서 [[부산-김해 경전철]]로, [[벡스코역]]에서 [[동해선]]으로, 환승이 가능하다.
* '''평상시''' : [[양산역|양산]] / [[호포역|호포]]발 [[장산역|장산]]행 {{·}} [[장산역|장산]]발 [[호포역|호포]] / [[양산역|양산]]행
 
* '''평상시''' : [[양산역|양산]] / [[호포역|호포]]발 [[장산역|장산]]행 {{·}} [[장산역|장산]]발 [[호포역|호포]] / [[양산역|양산]]행
 
다만 첫차와 막차 시간에 중간 시 · 종착 열차가 있는데, 이는 2호선의 총연장이 비교적 길기 때문에 각 역의 첫차와 막차 시간을 맞추기 위한 것이다.
* '''첫차''' : [[구명역|구명]]발 [[장산역|장산]]행·[[전포역|전포]]발 [[양산역|양산]]행
 
* '''첫차막차''' : [[구명역양산역|구명양산]]발 [[장산역전포역|장산전포]]행 {{·}} [[전포역장산역|전포장산]]발 [[양산역광안역|양산광안]]행
중간 시·종착역의 경우 하행선은하행선(양산 방향)은 [[광안역]]<ref>심야 막차만 종착하며, 장산발 광안행 열차가 1편성 운행한다.</ref>, [[호포역]]이며, 상행선은 [[전포역]]<ref>심야 막차만 종착하며, 양산발 전포행 열차가 1편성 운행한다.</ref>이다. 그러나 대부분 열차는 [[장산역|장산]]행과 [[양산역|양산]]행을 반복하여 운행한다.
* '''막차''' : [[양산역|양산]]발 [[전포역|전포]]행 {{·}} [[장산역|장산]]발 [[광안역|광안]]행
 
중간 시·종착역의 경우 하행선은 [[광안역]]<ref>심야 막차만 종착하며, 장산발 광안행 열차가 1편성 운행한다.</ref>, [[호포역]]이며, 상행선은 [[전포역]]<ref>심야 막차만 종착하며, 양산발 전포행 열차가 1편성 운행한다.</ref>이다. 그러나 대부분 열차는 [[장산역|장산]]행과 [[양산역|양산]]행을 반복하여 운행한다.
 
간혹 열차고장이나 정상운행 불가 시 운행되는 열차도 있다.
* '''비상시''' : [[양산역|양산]]발 [[호포역|호포]] / [[화명역 (도시철도)|화명]] / [[사상역 (도시철도)|사상]] / [[금련산역|금련산]] / [[광안역|광안]] / [[동백역 (부산)|동백]]행 {{·}} [[호포역|호포]]발 [[화명역 (도시철도)|화명]] / [[사상역 (도시철도)|사상]] / [[금련산역|금련산]] / [[동백역 (부산)|동백]]행 {{·}} [[장산역|장산]]발 [[동백역 (부산)|동백]] / [[전포역|전포]]행
 
=== 전역사전 역사 [[스크린도어]] 설치 완료 ===
[[2016년]] [[6월 30일]], [[장산역]], [[전포역]], [[가야역 (도시철도)|가야역]], [[감전역]], [[덕포역]] ~ [[구명역]], [[율리역]], [[호포역]]에도 설치가 완료됨에 따라 모든 역에 스크린도어가 완비되었다.
 
== 차량 ==
2호선은 [[부산교통공사]]의 [[부산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2000호대]] 전동차를 운용하고 있다. 스테인레스 외장에 초록색 띠가 둘러진 외형을 가지고 있으며, 양 끝 칸에는 113명{{·}} 중간 칸에는 124명이 정원이다. 현재 6량 1편성으로 편성하여 운영 중이다. 총 56개 편성이 있으며, 그 중 18개 편성(1~14편성, 53~56편성)은 기존 VVVF-GTO소자에서 VVVF-IGBT소자로 개조하였다. 이는 추후 주요부품 재고소진에 대비함으로, 열차 보수에 용이하기 위함이다. 2호선은 노선의 수요에 비해 열차편성이 지나치게 많이 도입되었는데, 이는 [[장산역]] 이후 연장될 동부산선<ref>이 계획은 장기보류될 것으로 보인다.</ref>과 [[양산역]] 이후 연장될 북정선<ref name="양산선연장">[[부산교통공사]]는 양산역(양산종합운동장역)에서 더 이상 연장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ref>의 건설이 모두 완료된다는 전제 하에 투입되었다. 따라서 평시 운행시에는 [[호포차량사업소|호포차량기지]]에 약 10개 편성 정도가 유휴중이다. [[부산불꽃축제]] 등 수요가 급증하는 경우에는 거의 모든 열차가 본선에 투입되지만 이처럼 특별한 상황을 제외하고는 운행되지 않는 편성이 많아 효율성이 떨어지고 있다.
* '''전동차 수량''' : 6량 1편성으로 56편성{{·}} 총 336량이다. 보통같으면 8량 1편성, 10량 1편성 증결이 가능하다고 하겠지만, 승강장에 스크린도어를[[스크린도어]]를 설치할 때 승하차승·하차 구간이 아닌 곳을 통유리와 기계실로 막았기 때문에 더이상의더 이상의 증결은 힘들다. 다행히 8량은 일부역을 제외하면 가능하다. (10량은 완전히 불가능하다.)
 
이 전동차는 두 차례에 걸쳐 반입되었는데, 1단계 개통을 위해 [[1997년]] {{·}} [[1998년]]에 도입된 차량과 2단계 개통을 위해 [[2001년]] {{·}} [[2002년]]에 도입된 차량이다. [[부산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2000호대]] 전동차는 모두 호포차량사업소에[[호포차량사업소]]에 유치하고, 이에 대한 경검수 및 중검수를 담당한다.
총 56개 편성이 있으며, 그 중 18개 편성 (1 ~ 14편성, 53 ~ 56편성)은 기존 VVVF-GTO소자에서 VVVF-IGBT소자로 개조하였다. 이는 추후 주요부품 재고소진에 대비함으로, 열차 보수에 용이하기 위함이다. 2호선은 노선의 수요에 비해 열차편성이 지나치게 많이 도입되었는데, 이는 장산 이후 연장될 동부산선<ref>이 계획은 장기보류될 것으로 보인다.</ref>과 양산 이후 연장될 북정선<ref name="양산선연장">[[부산교통공사]]는 양산역(양산종합운동장역)에서 더 이상 연장하지 않는다는 입장이다.</ref>의 건설이 모두 완료된다는 전제 하에 투입되었다. 따라서 평시 운행시에는 호포차량기지에 약 10개 편성 정도가 유휴중이다. 부산불꽃축제 등 수요가 급증하는 경우에는 거의 모든 열차가 본선에 투입되지만 이처럼 특별한 상황을 제외하고는 운행되지 않는 편성이 많아 효율성이 떨어지고 있다.
 
* '''전동차 수량''' : 6량 1편성으로 56편성{{·}} 총 336량이다. 보통같으면 8량 1편성, 10량 1편성 증결이 가능하다고 하겠지만, 승강장에 스크린도어를 설치할 때 승하차 구간이 아닌 곳을 통유리와 기계실로 막았기 때문에 더이상의 증결은 힘들다. 다행히 8량은 일부역을 제외하면 가능하다. (10량은 완전히 불가능하다.)
 
이 전동차는 두 차례에 걸쳐 반입되었는데, 1단계 개통을 위해 [[1997년]] {{·}} [[1998년]]에 도입된 차량과 2단계 개통을 위해 [[2001년]] {{·}} [[2002년]]에 도입된 차량이다. [[부산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2000호대]] 전동차는 모두 호포차량사업소에 유치하고, 이에 대한 경검수 및 중검수를 담당한다.
 
* '''호포차량사업소''' : [[부산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 336량 전부
* '''IGBT차량개조''' : 전동차 1편성 ~ 14편성, 53편성 ~ 56편성이 VVVF-[[GTO]] 방식에서 VVVF-[[IGBT]] 방식으로 개조하였다. 이유는 VVVF-[[GTO]] 부품 부족 시 대비책이기 때문이며, VVVF-GTO 소자가 소음이 심하기 때문이다.
 
=== 2호선 열차 [[부산 도시철도 3호선|3호선]] 투입 방안 논란 ===
* '''IGBT차량개조''' : 전동차 1편성 ~ 14편성, 53편성 ~ 56편성이 VVVF-[[GTO]] 방식에서 VVVF-[[IGBT]] 방식으로 개조하였다. 이유는 VVVF-[[GTO]] 부품 부족 시 대비책이기 때문이며, VVVF-GTO 소자가 소음이 심하기 때문이다.
부산 2호선은 수요에 비해 열차가 지나치게 많이 투입되었다. 따라서 평시에는 호포차량기지에[[호포차량사업소|호포차량기지]]에 최소 10개에서 17개편성이 유휴중이다. 그러나 [[부산 도시철도 3호선|3호선]] 에는 수요에 비해 4량 편성에다 배차간격이 조밀하지 못해 [[부산 도시철도 3호선|3호선]]은 전동차를 추가적으로 필요로 한 상황이었다. [[부산교통공사]]에서는 [[부산 도시철도 3호선|3호선]]에 신차를 구입하여 투입시키는 것 보다는 2호선에 남는 차량을 투입하는 방안을 검토중이었다. [[2014년 1월]] 경 2호선에 남는 편성 6개를 3호선에[[부산 도시철도 3호선|3호선]]에 투입시키려 251 ~ 256편성을 휴차시켰다. 이에 부산지하철노동조합은 크게 반발하였는데, 이는 두 노선의 열차 높이 차이가 약 4mm 차이가 나고<ref>전동차 높이 차이는 [[팬터그래프]]와 전차선의 집전과 관련된 문제이다.</ref> 신호체계가 달라 자칫 사고가 날 수 있다는 입장이었다.<ref>[[서울 지하철]]에서도 [[서울 지하철 6호선]]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 6000호대 전동차]]를 [[서울 지하철 7호선]]에 투입하자, 신호체계가 달라 반대쪽 문이 열리거나, 정차위치에 정확히 서지 않는 사고가 발생하였다.</ref> 이에 [[부산교통공사]]도 기술적으로 문제가 있었던 모양인지 계획을 철회하고 [[2014년]] [[3월]] 경에 251 ~ 256편성을 다시 본선에 투입하였다.<ref>{{뉴스 인용|url=http://www.knn.co.kr/28053|제목=2호선 전동차 3호선 투입 논란|날짜=2013-12-29|출판사=KNN|확인일자=2016-02-21}}</ref>
 
=== 2호선 열차 [[부산 도시철도 3호선|3호선]] 투입 방안 논란 ===
부산 2호선은 수요에 비해 열차가 지나치게 많이 투입되었다. 따라서 평시에는 호포차량기지에 최소 10개에서 17개편성이 유휴중이다. 그러나 [[부산 도시철도 3호선|3호선]] 에는 수요에 비해 4량 편성에다 배차간격이 조밀하지 못해 [[부산 도시철도 3호선|3호선]]은 전동차를 추가적으로 필요로 한 상황이었다. [[부산교통공사]]에서는 [[부산 도시철도 3호선|3호선]]에 신차를 구입하여 투입시키는 것 보다는 2호선에 남는 차량을 투입하는 방안을 검토중이었다. [[2014년 1월]] 경 2호선에 남는 편성 6개를 3호선에 투입시키려 251 ~ 256편성을 휴차시켰다. 이에 부산지하철노동조합은 크게 반발하였는데, 이는 두 노선의 열차 높이 차이가 약 4mm 차이가 나고<ref>전동차 높이 차이는 [[팬터그래프]]와 전차선의 집전과 관련된 문제이다.</ref> 신호체계가 달라 자칫 사고가 날 수 있다는 입장이었다.<ref>[[서울 지하철]]에서도 [[서울 지하철 6호선]]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 6000호대 전동차]]를 [[서울 지하철 7호선]]에 투입하자, 신호체계가 달라 반대쪽 문이 열리거나, 정차위치에 정확히 서지 않는 사고가 발생하였다.</ref> 이에 [[부산교통공사]]도 기술적으로 문제가 있었던 모양인지 계획을 철회하고 [[2014년 3월]] 경에 251 ~ 256편성을 다시 본선에 투입하였다.<ref>{{뉴스 인용|url=http://www.knn.co.kr/28053|제목=2호선 전동차 3호선 투입 논란|날짜=2013-12-29|출판사=KNN|확인일자=2016-02-21}}</ref>
 
== 역 목록 ==
줄 558 ⟶ 545:
== 양산선 ==
'''양산선'''(梁山線)은 2호선 [[호포역]]에서 [[양산시]] [[북정동 (양산시)|북정동]]까지 계획하고 있는 '''2호선 3단계''' 구간의 다른 이름이다. 공식 명칭은 아니지만 건설 및 운영을 맡고 있는 [[부산교통공사]]에서도 이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2008년]] [[1월 10일]]에 [[호포역]]에서 [[양산역]] 구간인 1구간만 완공되어 운영하고 있다.<ref name="양산선연장" /> [[양산시|양산]]신도시와 [[부산광역시]]의 상호간 연계와 주민들의 교통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만들어진 노선이다. 양산선 구간의 역과 역 사이 소요시간은 2호선의 [[부산광역시]] 시내 구간과 비슷하다. 시내버스와 달리 별도의 시계외 요금은 수수하지 않는다.
 
* '''배차 간격''' : 최대 15분에서 최소 4분 정도로 다양하다.
: <small>새벽 / 첫차/막차 시간에는 15분에서 간격이며 출퇴근 시간에는 4분에서 5분 간격, 낮 시간에는 6분 간격으로 운행된다.</small>
 
=== 개통 전후 상황 ===
양산선 8&nbsp;km (영업연장 7.2&nbsp;km) 구간은 [[1997년]] [[2월]]에 착공하여 총 3,615억 원이 투입되었으며 연인원 54만 9천여 명, 107개의 업체가 참여했으며 [[레미콘]]이 194,000여㎥, 철근이 31,000여 톤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개통이 가까워지면서 양산선 계획 당시의 수요 예측과 개통을 앞둔 시기에서의 수요예측 결과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자 개통 연기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나오기도 했다. 양산선 건설 당시 수요를 예측했던([[1995년]]) [[한국교통연구원]](KOTI)에서는 [[2011년]] 일일 45,957명이 이용하게 될 것이라고 예측했지만, [[2006년]]에 부산발전연구원(BDI)에서는 [[2010년]] 일일 4,645명이 이용하게 될 것이라고 예측하였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부산발전연구원에서는 [[남양산역]]과 [[양산역]]이 개통된 후 월평균 4억원(연 48.3억 원)의 적자를 예상했다. 이는 적자를 부산지역의 수준으로 만들려면 1인당 4,372원이 부과되어야 하는 것을 뜻한다. 이렇게 된 원인은 양산선의 건설을 맡았던 [[부산교통공사]]가 양산선의 건설 당시 건설교통부 산하에 있었던 기관이었지만 개통에 즈음하여 [[부산광역시]] 산하로 이관되었기 때문이었고, 개통 후의 적자는 모두 [[부산광역시]]에서 떠맡게 되었다.<ref>부산발전연구원, 부산교통권내 도시철도의 광역화에 따른 운영정책 세미나 자료, [[2006년]] [[12월 21일]].</ref> 그런 와중에 [[부산광역시]]와 [[양산시]] 간의 협약이 제대로 성사되지 않은 상황에서 양산선이 개통되어 당분간 논란이 계속될 것으로 보이며, 향후 협약에 의한 적자 보전이 예상된다. [[부산 도시철도]]의 광역화 첫 단계인 양산선 1구간 개통 이후, 양산 시민들의 부산으로의 통근·통학이 훨씬 쉬워졌다. 기존의 통근, 통학 시민들은 도시철도 이용을 위해 [[호포역]]까지 가야 했지만, 개통 이후에는 양산 시내에서도 도시철도 이용이 가능해져 굳이 [[호포역]]까지 가서 이용할 필요가 없어졌기 때문이다. 특히 1일 이용 승객이 예측치 3천 600명의 두 배에 가까운 6천 200명으로 집계된 것을 감안할 때, 양산 시민들이 양산선에 적지 않은 호응을 보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역들이 건설 당시의 예측치에 크게 못미쳐 [[부산 도시철도]]의 누적 적자의 한 요인이 되고 있으나, 석산, 증산 등 물금신도시 개발이 완료되고 [[증산역 (양산)|증산역]]이 영업을 시작한 후에는 상황이 호전될 전망이다. 한편, 출·퇴근 시간대를 제외한 시간대의 경우 배차 간격이 20분일 때도 있어 일부 시민들이 큰 불편을 호소하자, [[부산교통공사]]에서는 이러한 주민들의 민원을 수용하여 양산선의 배차 간격을 14분 30초로 단축시켰다.<ref>{{뉴스 인용|url=http://news20.busan.com/news/newsController.jsp?subSectionId=1010010000&newsId=20090415000131|제목=지하철 2호선 양산선 배차간격 단축 |날짜=2009-04-15|출판사=부산일보|확인일자=2010-08-04}}</ref> [[2009년]] [[8월]] 현재는 05시와 06시 사이와 22시와 23시 사이 시간을 제외 하고는 배차간격이 20분이 넘어가진 않는다.<ref>[http://www.humetro.busan.kr/program/subway/time_schedule/busanSubwayStationTimetable_info.php?LINECODE=2&STATIONCODE=243&UPDOWN=0&EXPRESS=false [[부산교통공사]] 홈페이지 양산역 열차시간표]</ref> 또한 1구간 개통 이후 [[호포역]]이나 [[부산]] 시내까지 운행하던 양산 시내버스의 이용객이 크게 감소하자,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의견 또한 일고 있다.<ref>{{뉴스 인용|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82&aid=0000165244|제목=양산버스 "지하철 때문에…" |날짜=2008-01-25|출판사=부산일보|확인일자=2010-08-04}}</ref> [[2011년]] [[5월 21일]] 부로 시행된 광역환승제로 인해 시내버스들의 상황이 다소 나아진 편이다.
양산선 8&nbsp;km (영업연장 7.2&nbsp;km) 구간은 1997년 2월에 착공하여 총 3,615억 원이 투입되었으며 연인원 54만 9천여 명, 107개의 업체가 참여했으며 레미콘이 194,000여 ㎥, 철근이 31,000여 톤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개통이 가까워지면서 양산선 계획 당시의 수요 예측과 개통을 앞둔 시기에서의 수요예측 결과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자 개통 연기를 촉구하는 목소리가 나오기도 했다. 양산선 건설 당시 수요를 예측했던(1995) [[한국교통연구원]](KOTI)에서는 2011년 일일 45,957명이 이용하게 될 것이라고 예측했지만, [[2006년]]에 부산발전연구원(BDI)에서는 2010년 일일 4,645명이 이용하게 될 것이라고 예측하였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부산발전연구원에서는 [[남양산역]]과 [[양산역]]이 개통된 뒤 월평균 4억원(연 48.3억 원)의 적자를 예상했다. 이는 적자를 부산지역의 수준으로 만들려면 1인당 4,372원이 부과되어야 하는 것을 뜻한다. 이렇게 된 원인은 양산선의 건설을 맡았던 [[부산교통공사]]가 양산선의 건설 당시 건설교통부 산하에 있었던 기관이었지만 개통에 즈음하여 [[부산광역시]] 산하로 이관되었기 때문이었고, 개통 후의 적자는 모두 [[부산광역시]]에서 떠맡게 되었다.<ref>
부산발전연구원, 부산교통권내 도시철도의 광역화에 따른 운영정책 세미나 자료, 2006년 12월 21일.</ref> 그런 와중에 [[부산광역시]]와 [[양산시]] 간의 협약이 제대로 성사되지 않은 상황에서 양산선이 개통되어 당분간 논란이 계속될 것으로 보이며, 향후 협약에 의한 적자 보전이 예상된다.
 
부산 도시철도의 광역화 첫 단계인 양산선 1구간 개통 이후, 양산 시민들의 부산으로의 통근·통학이 훨씬 쉬워졌다. 기존의 통근, 통학 시민들은 도시철도 이용을 위해 호포역까지 가야 했지만, 개통 이후에는 양산 시내에서도 도시철도 이용이 가능해져 굳이 호포역까지 가서 이용할 필요가 없어졌기 때문이다. 특히 1일 이용 승객이 예측치 3천 600명의 두 배에 가까운 6천 200명으로 집계된 것을 감안할 때, 양산 시민들이 양산선에 적지 않은 호응을 보내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역들이 건설 당시의 예측치에 크게 못미쳐 부산 도시철도의 누적 적자의 한 요인이 되고 있으나, 석산, 증산 등 물금신도시 개발이 완료되고 증산역이 영업을 시작한 후에는 상황이 호전될 전망이다.
 
한편, 출퇴근 시간대를 제외한 시간대의 경우 배차 간격이 20분일 때도 있어 일부 시민들이 큰 불편을 호소하자, 부산교통공사에서는 이러한 주민들의 민원을 수용하여 양산선의 배차 간격을 14분 30초로 단축시켰다.<ref>{{뉴스 인용|url=http://news20.busan.com/news/newsController.jsp?subSectionId=1010010000&newsId=20090415000131|제목=지하철 2호선 양산선 배차간격 단축 |날짜=2009-04-15|출판사=부산일보|확인일자=2010-08-04}}</ref> [[2009년 8월]] 현재는 05시와 06시 사이와 22시와 23시 사이 시간을 제외 하고는 배차간격이 20분이 넘어가진 않는다.<ref>[http://www.humetro.busan.kr/program/subway/time_schedule/busanSubwayStationTimetable_info.php?LINECODE=2&STATIONCODE=243&UPDOWN=0&EXPRESS=false 부산교통공사 홈페이지 양산역 열차시간표]</ref> 또한 1구간 개통 이후 호포역이나 부산 시내까지 운행하던 양산 시내버스의 이용객이 크게 감소하자,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의견 또한 일고 있다.<ref>{{뉴스 인용|url=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82&aid=0000165244|제목=양산버스 "지하철 때문에…" |날짜=2008-01-25|출판사=부산일보|확인일자=2010-08-04}}</ref> 2011년 5월 21일 부로 시행된 광역환승제로 인해 시내버스들의 상황이 다소 나아진 편이다.
 
== 미래 ==
줄 576 ⟶ 555:
 
== 반대편 승강장 횡단 ==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은 반대편 승강장으로 횡단할 수 없는 역이 [[부산 도시철도 1호선]]에 비하면 적지만, 비교적 많은 편이다. 2호선에서 개찰구가 승강장별로 분리되어 있어 반대편 승강장으로 횡단할 수 없는 역은 [[양산역]], [[증산역 (양산)|증산역]], [[금곡역 (부산)|금곡역]], [[율리역]], [[화명역 (도시철도)|화명역]], [[수정역]], [[구명역]], [[구남역]], [[모라역]], [[모덕역]], [[덕포역]], [[사상역 (도시철도)|사상역]], [[감전역]], [[주례역]], [[냉정역]], [[민락역]], [[센텀시티역]], [[벡스코역]], [[동백역 (부산)|동백역]]까지 총 19개 역이다. 덕천역은 환승통로를 이용해 횡단이 가능하다.
 
2호선에서 개찰구가 승강장별로 분리되어 있어 반대편 승강장으로 횡단할 수 없는 역은 [[양산역]], [[증산역 (양산)|증산역]], [[금곡역 (부산)|금곡역]], [[율리역]], [[화명역 (도시철도)|화명역]], [[수정역]], [[구명역]], [[구남역]], [[모라역]], [[모덕역]], [[덕포역]], [[사상역 (도시철도)|사상역]], [[감전역]], [[주례역]], [[냉정역]], [[민락역]], [[센텀시티역]], [[벡스코역]], [[동백역 (부산)|동백역]]까지 총 19개 역이다. 덕천역은 환승통로를 이용해 횡단이 가능하다.
 
== 사진 ==
줄 585 ⟶ 562:
파일:Yangsanstation.jpg|[[양산역]] 전경
</gallery>
 
== 각주 ==
{{위키공용분류|Busan Subway Line 2}}
<references/>
 
== 바깥 고리 ==
* [http://www.humetro.busan.kr/korea/main/ [[부산교통공사]]]
 
{{대한민국 도시 철도}}
줄 598 ⟶ 571:
{{경상남도의 교통}}
{{양산시의 교통}}
== 각주 ==
 
<references/>
[[분류:부산 도시철도 노선| 2]]
[[분류:1999년 개통한 철도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