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미술: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6번째 줄:
대략 1860년대에서 1970년대에 이르는 기간의 예술 작품들을 포함하며, 또한 이 기간에 생겨난 예술의 형식과 철학을 의미한다.<ref>Atkins 1990, p. 102.</ref> 현대미술은 통상 [[모더니즘]] 실험 정신을 추구하며 과거의 전통을 버린 예술과 관련되어 있다.<ref>Gombrich 1958, p. 419.</ref> 현대미술가들은 새로운 시각과 예술의 재료와 역할의 본성에 대한 신선한 생각으로 실험하였다. 전통적 예술의 특징인 [[묘사]]에서 벗어나 [[추상 (예술)|추상]]을 지향하는 것이 더욱 현대적인 미술의 특징이다.
 
현대 미술을 20세기 미술의 역사와 그 변천된 과정으로 가정해볼 때 이 시대에는 다양하고도 획기적인 미술 운동이 일어났다. 20세기에 들어서자 그야말로 불길처럼 폭발한 [[야수파]]를 필두로 독일의 표현주의, 프랑스의 [[입체파]], 이탈리아의 [[미래파]], 소련의 [[쉬프레마티슴]]과 [[러시아 구성주의|구성주의]](構成主義), 그리고 네덜란드의 [[더 스테일|신조형주의]], 다시 프랑스에서의 [[순수주의]]와 [[쉬프레마티슴|절대주의]], 그리고 여기에 다시 [[다다이즘]]과 [[초현실주의]]를 곁들여 20세기 미술은 가히 백가쟁명의 양상을 띠고 있다.<ref name="글로벌_1">세계미술/서양미술의 흐름/현대미술/현대미술 《글로벌 세계 대백과》</ref>
 
우선 20세기 전반기의 미술을 두고 볼 때, 이 시기에 대두된 갖가지 미술운동은 한가지의 기본적인 과제를 앞세우고 있는 것이 분명하다. 그것을 우리는 '순수에의 의지(意志)' 또는 '순수에의 노력'이라는 말로 집약시킬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순수라는 것은 바로 조형요소들, 즉 색채와 형태의 순수성을 말한다. 유럽에 있어서의 19세기까지의 미술전통은 한마디로 [[사실주의]] 미학을 바탕으로 하는 것이었다. 또한 이 사실주의란 다름 아닌, 현실 내지는 자연의 충실한 재현(再現)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그리하여 모든 조형 수단은 오로지 이 지상 명령에 봉사하는 예속적인 구실밖에는 못해 왔으며, 따라서 독자적인 조형언어로서의 미술의 자율성과 순수성은 그 전통이라는 이름 아래 그동안 거의 말살되어 온 터였다. 그러나 20세기 미술은 바로 미술의 자율성과 순수성에 대한 각성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르네상스]] 이래 미술의 유일한 규범으로 간주되어 오던 이 사실주의 전통에 대한 반기를 들고 20세기 미술은 새로운 조형적 질서를 창조하기 위해 조급한 모색을 거듭하였거니와 한편에서는 순수한 형태의 조형성을, 또 한편에서는 색채의 독자적인 표현력을 제각기 추구하면서 끝내 반(反)사실주의의 절정인 [[추상 (예술)|추상 미술]]에 도달하였다. 그러나 또 한편에서는 사실주의 전통과 쌍벽을 이루는 또 하나의 유럽정신의 기틀, 즉 [[합리주의]] 정신에 대한 반항도 또한 20세기를 특징짓는 요인의 하나로서 나타나며, 그러한 움직임의 가장 획기적인 표명으로서 우리는 [[다다이즘|다다이슴]]과 [[쉬르레알리슴]]을 들 수 있다.<ref name="글로벌_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