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독립선언서: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TedBot (토론 | 기여)
잔글 봇: 문단 이름 변경 (외부 고리 → 외부 링크)
1번째 줄:
'''대한독립선언서'''(大韓獨立宣言書) 또는 '''무오독립선언서'''(戊午獨立宣言書)는 [[1919년]] [[2월 1일]]에 발표된 독립선언서이다. 일명 '''대한독립선언'''이라고도 불리며 [[3·1 운동]]의 전초가 된 독립선언서 발표 사건이다.
 
[[1919년]] 2월 1일 만주 [[지린]]에서 [[만주]]와 [[연해주]] 및 [[중국]], [[미국]] 등 해외에서 활동 중인 독립운동가들 39명의 명의로 독립선언서가 발표되었다. 이때가 [[음력]]으로 [[기미년]]인 [[1919년]] 1월 1일<ref>"선언 시기가 양력으로 1919년 2월이지만 음력으로는 무오년이기 때문에 그렇게 부른다"고 하는데, 양력으로 1919년 2월 1일은 실제로는 음력으로 1919년 1월 1일, 이 역시 기미년이다. 발표 시기가 무오년이라는 것은 잘못 알려진 사실이다.</ref>인데, 선언서의 작성과 서명이 그 이전에 이루어졌음을 고려하고, 기미독립선언과 구별하기 위해 '무오독립선언'으로 불린 것으로 보인다.
무오독립선언 직후 일본 [[도쿄]]에서 [[백관수 ]] 등 한국 유학생들이 중심이 되어 [[2·8 독립 선언]]을 발표하였고, 곧이어 당시 한성에서 [[민족대표 33인]]의 [[3·1 운동|기미독립선언]]과 함께 [[3·1 운동]]이 전국적으로 일어났다.
[[File:1918 Korean Independence declaration.jpg|무오독립선언서 석판 인쇄본|thumb]]
==무오독립선언서==
15번째 줄:
 
==무오독립선언의 의의 ==
*무오독립선언은 [[3.1 운동|기미독립선언]]에 앞서 발표된, '''최초의 [[독립 선언]]'''이다.
*무오독립선언 연서자들은 의병활동을 지원하고 항일독립운동의 서막을 연 [[연해주]] 지역의 인사들을 중심으로 '''해외의 모든 독립운동가들이 뜻을 모은 독립선언'''이다.
*무오독립선언을 통해 독립을 쟁취하기 위한 수단으로 일본에 대해 결사항전과 강력한 '''무장투쟁을 선언'''했다.
*무오독립선언 연서자들 대부분이 독립운동사에서 지대한 업적을 남긴, '''핵심적 독립운동가'''들이다.
*무오독립선언 연서자들 대부분이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주도'''하였다.
*무오독립선언 연서자들 중에는 [[이탁 (변절)|이탁]](李沰) 외에는 변절자가 없다.
41번째 줄:
|-
| [[김교헌]](金敎獻)
| 1868
| 1923
| 경기 수원
| 대종교
| 공화주의
| 북로
| 만주
52번째 줄:
| -
|-
| [[김규식 (북로군정서)|김규식]](金奎植)
| 1882
| 1931
| 경기 양주
| -
| 공화주의
| 북로군정서
| 만주
64번째 줄:
| <ref>김규식(金奎植)은 북로의 [[김규식 (북로군정서)|김규식]](1882~1931)과 임정의 [[김규식]](1881~1950)이 있는데, 무오독립선언 연서자는 북로 김규식으로 본다. 북로 김규식은 무오독립선언에 연서한 [[김좌진]]과 함께 하며 만주에 있었던 데 반해, 임정 김규식은 1918년 12월에 상해에 있었고, 12월 말에는 난징에서 김순애와 재혼한 뒤 상해로 돌아와 있었으며, 보름 뒤 1919년 1월에는 상해를 떠나 파리강화회의에 파견되어 3월 13일 프랑스 파리에 도착했다. 정황 상 무오독립선언 연서자 김규식(金奎植)은 북로의 김규식으로 본다. </ref>
|-
| [[김동삼]](金東三)
| 1878
| 1937
| 경북 안동
| 대종교
| 공화주의
| 서로, 임정
| 만주
76번째 줄:
| -
|-
| [[김약연]](金躍淵)
| 1868
| 1942
| 함북 회령
| 기독교
| -
| 북간도국민회
88번째 줄:
| -
|-
| [[김좌진]](金佐鎭)
| 1889
| 1930
| 충남 홍성
| 대종교
| 공화주의
| 북로
| 만주
100번째 줄:
| -
|-
| [[김학만 (독립운동가)|김학만]](金學萬)
| 1884
| 1931
112번째 줄:
| -
|-
| [[정재관]](鄭在寬)
| 1880
| 1930
| 황해 황주
| 기독교
| 공화주의
| 미주, 노령
| 미주
124번째 줄:
| -
|-
| [[조용은]](趙鏞殷)
| 1887
| 1958
| 경기 파주
| -
| 공화주의
| 임정
| 만주
136번째 줄:
| 일명 [[조소앙]]
|-
| [[여준]](呂準)
| 1862
| 1932
| 경기 용인
| 대종교
| 공화주의
| 서로
| 만주
148번째 줄:
| -
|-
| [[유동열|류동열]](柳東說)
| 1879
| 1950
| 평북 박천
| -
| 공화주의
| 임정
| 만주
161번째 줄:
|-
| [[이광]](李光)
| 1879
| 1966
| 충북 청주
| -
| 공화주의
| 만주, 상해
| 중국 본토
172번째 줄:
| -
|-
| [[이대위]](李大爲)
| 1878
| 1928
| 평남 평양
| 기독교
| 공화주의
| 미주
| 중국 본토
184번째 줄:
| -
|-
| [[이동녕]](李東寧)
| 1869
| 1940
| 충남 천원
| 대종교
| 공화주의
| 서로, 임정
| 노령
196번째 줄:
| -
|-
| [[이동휘]](李東輝)
| 1872
| 1935
| 함남 단천
| 기독교
| 공화주의
| 임정
| 노령
208번째 줄:
| -
|-
| [[이범윤]](李範允)
| 1856
| 1940
| 경기 고양
| -
| 복벽주의
| 북로
| 만주
220번째 줄:
| -
|-
| [[이봉우 (1873년)|이봉우]](李鳳雨)
| 1873
| 1921
| 경남 동래
| -
| 공화주의
| 간도
| 만주
232번째 줄:
| -
|-
| [[이상룡]](李相龍)
| 1858
| 1932
| 경북 안동
| 대종교
| 공화주의
| 서로, 임정
| 만주
244번째 줄:
| -
|-
| [[이세영 (1869년)|이세영]](李世永)
| 1869
| 1938
| 충남 청양
| -
| 복벽주의
| 만주
| 만주
256번째 줄:
| -
|-
| [[이승만]](李承晩)
| 1875
| 1965
| 황해 평산
| 기독교
| 공화주의
| 미국, 임정
| 미주
268번째 줄:
| -
|-
| [[이시영]](李始榮)
| 1869
| 1953
| 한성
| -
| 공화주의
| 서로, 임정
| 만주
280번째 줄:
| -
|-
| [[이종탁]](李鍾倬)<ref name="gm">[[이종탁]], [[임방]] 2인은 가명으로 연서했을 가능성이 있다.</ref>
| -
| -
292번째 줄:
| 가명 추정
|-
| [[이탁 (변절)|이탁]](李沰)
| 1872
| -
| 평북 정주
| -
| 공화주의
| 서로
| 만주
304번째 줄:
| 본명 이용화(李溶華),변절
|-
| [[문창범]](文昌範)
| 1872
| 1938
| 함북 경원
| -
| 공산주의
| 만주, 임정
| 노령
316번째 줄:
| -
|-
| [[박성태 (독립운동가)|박성태]](朴性泰)
| -
| -
| 한성
| 대종교
| 공화주의
| 북로
| 만주
328번째 줄:
| -
|-
| [[박용만 (1881년)|박용만]](朴容萬)
| 1881
| 1928
| 강원 철원
| 기독교
| 공화주의
| 미주
| 미주
340번째 줄:
| -
|-
| [[박은식]](朴殷植)
| 1859
| 1925
| 황해 황주
| -
| 공화주의
| 임정
| 중국 본토
352번째 줄:
| -
|-
| [[박찬익 (1884년)|박찬익]](朴贊翊)
| 1884
| 1949
| 경기 파주
| 대종교
| 공화주의
| 임정
| 만주
364번째 줄:
| -
|-
| [[손일민]](孫逸民)
| 1884
| 1940
| 경남 밀양
| -
| 공화주의
| 임정
| 만주
376번째 줄:
| -
|-
| [[신규식|신정]](申檉)
| 1879
| 1922
| 경북 고령
| 대종교
| 공화주의
| 임정
| 중국 본토
388번째 줄:
| 본명 [[신규식]](申圭植)
|-
| [[신채호]](申采浩)
| 1880
| 1936
| 충남 대덕
| -
| 공화주의
| 연해주, 계몽
| 중국 본토
400번째 줄:
| -
|-
| [[안정근]](安定根)
| 1885
| 1949
| 황해 신천
| 카톨릭
| 공화주의
| 중로, 임정
| 만주
412번째 줄:
| -
|-
| [[안창호]](安昌浩)
| 1878
| 1938
| 평남 강서
| 기독교
| 공화주의
| 연해주, 미주
| 미주
424번째 줄:
| -
|-
| [[임방]](任邦)<ref name="gm"/>
| -
| -
437번째 줄:
|-
| [[윤세복]](尹世復)
| 1881
| 1960
| 경남 밀양
| 대종교
| 공화주의
| 대종교
| 공화주의
| 대종교
| 만주
| 독립장
449번째 줄:
|-
| [[조성환|조욱]](曺煜)
| 1875
| 1948
| 한성
| 대종교
| 공화주의
| 임정
| 만주
460번째 줄:
| 본명 [[조성환]](曺成煥)
|-
| [[최병학 (독립운동가)|최병학]](崔炳學)
| -
| -
470번째 줄:
| -
| -
| 재만 한인 대지주
|-
| [[한흥 (독립운동가)|한흥]](韓興)
| 1888
| 1959
| 함남 신흥
| -
| 공화주의
| 신간회
| 국내
484번째 줄:
| -
|-
| [[허겸|허혁]](許爀)
| 1851
| 1939
496번째 줄:
| 본명 [[허겸]](許蒹)<ref>디지털구미문화대전 '허겸', 'http://gumi.grandculture.net/Contents?local=gumi&dataType=01&contents'</ref>,[[허위 (1854년)|허위]]의 중형
|-
| [[황상규]](黃尙奎)
| 1890
| 1941
| 경남 밀양
| -
| 공화주의
| 북로, 임정
| 만주
524번째 줄:
! 비고
|-
| [[나우(독립운동가)|나우]](羅愚)<ref name="njjsss"/>
| 1884
| -
| 평남 용강
| -
| -
536번째 줄:
| 본명 나순응(羅順膺)
|-
| [[정안립]](鄭安立)<ref name="njjsss">[[나우(독립운동가)|나우]](羅愚), [[정안립]](鄭安立), [[정신 (1898년)|정신]](鄭信), [[서상용]](徐相庸), [[서일]](徐一), [[신팔균]](申八均) 등 6명은 선언에 참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어떤 사정으로 선언서에 누락되었거나 가명으로 연서하였을 것으로 추정된다.</ref>
| 1873
| 1948
| 충북 진천
| -
| -
548번째 줄:
| [[정안립|정영택]]
|-
| [[정신 (1898년)|정신]](鄭信)<ref name="njjsss"/>
| 1898
| 1931
| 함남 홍원
| 대종교
| -
| 북로, 임정
560번째 줄:
| -
|-
| [[서상용]](徐相庸)<ref name="njjsss"/>
| 1873
| 1961
| 함북 길주
| -
| -
572번째 줄:
| -
|-
| [[서일]](徐一)<ref name="njjsss"/>
| 1881
| 1921
| 함북 경원
| 대종교
| -
| 노령
584번째 줄:
| 본명 [[서일|서기학]](徐夔學)
|-
| [[신팔균]](申八均)<ref name="njjsss"/>
| 1882
| 1924
| 충북 진천
| -
| -
598번째 줄:
 
==무오독립선언에 대한 평가==
*무오독립선언이 국내의 [[3.1운동|기미독립선언]]에 비해 덜 알려져 있으나, 가장 앞선 독립선언이며, 연서자들의 활동상과 공헌이 저평가되었다.
 
*[[3.1운동|기미독립선언]]에 참여한 [[민족대표 33인]] 중 조국 광복을 본 사람은 15인인 데 비해, 평균연령이 5세나 적은 [[무오독립선언]] 연서자들은 39인 중 불과 11명만이 광복을 맞았다. [[무오독립선언]] 연서자들이 조국 광복을 위해 얼마나 치열하게 투쟁했는지를 알 수 있다.
609번째 줄:
* [[민족대표 33인]]
 
== 외부 고리링크 ==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9/02/13/2009021300951.html "육탄혈전으로…" 우리 민족 첫 독립선언서 原本 발견] 조선일보 2009.02.14
* 《광복회보》 제281호/1면 (2007.2.26) [http://www.kla815.or.kr/newspaper/281/281-01.php 대한독립선언 선포 제88주년 기념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