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추바이: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편집 요약 없음
Jeck62 (토론 | 기여)
잔글편집 요약 없음
2번째 줄:
 
== 생애 ==
[[1899년]] [[장쑤 성]]의 지방관리 가문에서 태어났다. 1917년 베이징의 러시아어수료관에 입학했으며 1919년부터 국립 [[베이징 대학]]에서도 수업을 청강하면서 도서관장으로 있던 [[리다자오]]의 마르크스주의연구회에 가입하였고 [[1919년]]에는 [[5.4운동]]에 참여했다. [[6월]] 3일에 경찰에 연행 후 1주 뒤에 풀려났다. 러시아어를 전공했던 그는 [[1920년]] 8월에 베이징의 유력신문연구계 유력신문이었던 <신보(晨報)> 통신원으로 들어가 [[소비에트 연방]]에 머물면서 [[러시아 혁명]] 후 발생한 소련인의 삶과 경제적 변화 등에 관한 취재활동을 했다. [[레닌]]을 만나 취재도 했던 그는 [[볼셰비키]]의 [[러시아 혁명]]에 빠져들면서 신문사 일을 그만둔 후 [[1921년]] 5월에 소련의 모스크바동방대학에서 수학했으며 [[1921년]] 6월에는 중국 공산당의 [[모스크바]] 지부에서 장태뢰의 소개로 [[중국 공산당]]에 가입했다. [[1922년]] 12월 [[천두슈]]가 모스크바에 왔을 때 통역을 맡은 뒤 얼마 후 천두슈 초청을 받고 중국에 돌아갔으며 [[1923년]] 4월부터 공산당 기관지 <새청년[[신청년]](新靑年)>의 편집원을 맡아 [[코민테른]]의 지도자였던 [[레닌]]과 [[스탈린]]의 혁명 사상, 운동 책략 등을 중국 국내에 보급하였다. [[1924년]] 7월 [[코민테른]]의 전략에 따른 [[제1차 국공합작]]에서 공산당 측의 중앙위원에 선거되기도 했다. [[1925년]] 1월 중공 중앙위원, 정치국 위원에 선출되었다.
 
[[1927년]] 4월 취추바이는 [[마오쩌둥]]의 '호남농민운동고찰보고'라는 혁명지도서에 서문을 써주기도 하는 등 [[마오쩌둥]]의 혁명 선배였으며 얼마 후는 [[천두슈]]와는 라이벌 관계를 형성했다형성하게 된다. 취추바이는 [[1927년]] 4월~5월에는 '중국혁명의 논쟁문제에 관해'라는 보고서를 확산시키고 노동자 무장 혁명혁명이 실패된 실패를것을 [[천두슈]]의 '우경 기회주의'로 비판하였으며 그 뒤로 공산당 정치국 상무위원에 올랐다. [[1927년]] 7월 천두슈가 [[코민테른]]으로부터 총서기에서 해임되면서 [[장궈타오]]의 대리를 거쳐 당해 8월부터 [[코민테른]]으로부터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총서기|중앙위 총서기]]로 임명되었다.
 
취추바이는 [[난창봉기]] 후 [[1927년]] 7월부터 [[1928년]] 4월까지 세 차례 이상의 프롤레타리아트 도시 무장폭동을 지도했으며, 1927년 7월 11일 [[무한]](武漢) 폭동, 12월 10일 [[창사]](長沙) 폭동, 12월 11일 [[광저우]](廣州) 폭동이었다. 공산당 요원들이 일으킨 무장 폭동은 그러나 정부의 반격으로 모두 진압됐으며, 그는 [[1928년]] 3월~4월 공산당 임시 상임회의에서 '좌경맹동주의(左傾盲動主義)'로 자아비판자아 비판 후 5월에는 [[모스크바]]로 불려갔다. 중공 주모스크바 대표로 2년을 머물렀으며 이 기간 [[중화민국]] 현지의 공산화 지도는 신진 세력으로 부상한 [[리리싼]]과 [[샹중파]]에게로 넘어갔다.
 
그러나 [[4.12사건]] 뒤로 전국에 몰아친 공산당원에 대한 탄압으로 중공 지도부가 분열하는 중에 [[1929년]] [[왕밍]] 등이 [[광저우]]에서 일으킨 [[28인의 볼셰비키]] 봉기 세력의봉기의 배후로 지목받고 당내 지도부로터 다시 공격받았다. [[1930년]] [[코민테른]]은 이를 중재하여 취추바이의 중공 모스크바 대표직을 철회하였고 취추바이는 당해 8월 모스크바를 떠나 [[상하이]]로 귀국했다. [[1931년]] 1월 [[코민테른]]은 취추바이의 중앙위원 직을 박탈하였고 지도 권력은 [[샹중파]]에게로 되돌아갔다.
 
취추바이는 [[상하이]]에서 [[1931년]] 이후는 지하 중국좌익작가연맹의 지도자 중 하나로하나가 되어 문화예술계에 [[소비에트 연방]]의 영향력을 확장하는 작업을 지도하였으며, 국민당의 시장 경제를 활용해 [[마르크스-레닌주의]] 혁명 진지를 확대하는 방안이 채택되었다. 이 기간 [[루쉰]], [[마오둔]] 등도 [[상하이]]에서 그에 지도급으로 가담한 작가들이다. 취추바이는 중국어를 소련어로 기재해 보급하는 방안을 연구하기도 했다.
 
[[1934년]] 2월 [[마오쩌둥]]의 [[중화소비에트공화국|장시 해방구]]로 들어갔으며 [[중화소비에트공화국]]의 중앙집행위원과 교육부장을 맡았다. 홍군(紅軍)의 [[장정]]이 시작될 무렵에는 [[장시성]] 후방 전선을 호위하라는 지시를 받았고 선전부장이 되어 유격전을 지원하였다. [[결핵]] 치료 차 [[상하이]]로 피신 중에 [[1935년]] 4월 유격전에 참여했던 포로의 누설로 [[국민혁명군]]에 붙잡혔으며 국민 전향을 거부하였다. 수감 중에 6월에 처형되었다.
31번째 줄:
[[분류:홍군 대장정 관련자]]
[[분류:중국 공산당의 정치인]]
[[분류:중국의 공산주의자]]
[[분류:창저우 시 (장쑤 성) 출신]]
[[분류:중국의 작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