붕당: 두 판 사이의 차이

내용 삭제됨 내용 추가됨
90번째 줄:
 
== 역사적 평가 ==
당쟁의 폐해를피해를 조선의 멸망 원인으로 보던 지적에 대해 [[일본]]의 [[식민사관]]의 영향이라는 설이 확산되었으나, 조선 시대에도 당대 지식인들의 당쟁에 대한 비판이 존재하였다. [[이익 (1681년)|이익]]은 '붕당론'을 통해 당쟁의 폐단을 지적하고 있으며, 당쟁의 원인은 관직을 차지하기 위한 싸움이라고 비판하였다. 그리고 시데하라 아키라 등은 한국인의 민족성이 본래 싸움을 좋아하고, 잔혹하고, 사람의 목숨을 경시하기 때문에 당쟁이 가열되었다고 주장하였다<ref>대한 제국 학정 참여관 시데하라 아키라(幣原 坦), 시학관 오다 쇼고(小田省吾) 그리고 호소이 하지메(細井 肇), 하야시 야스스케(林 泰輔)의 주장이다. {{서적 인용 |저자=신복룡
|제목=한국사 새로 보기
|날짜=2001-12-20
101번째 줄:
그러나 붕당은 계급 의식이 깨어나지 않았던 근대 이전의 시대적 한계 속에서 발전된 정치 형태로서의 기능을 훌륭히 수행했음을 부정할 수 없다. 붕당 정치는 외척과 공신의 폐해가 컸던 조선 사회에서 특정 가문이나 공신 집단의 횡포를 효과적으로 견제하였다. 또한 절대 군주제 하에서도 신하들의 소수 의견이 자유롭게 개진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정치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중소 지주 계급 전체로 확대하는 데 기여했다. 오히려 [[조선 순조|순조]] 이후 붕당 정치가 붕괴하고 특정 가문이 독재하는 세도 정치가 시작되면서 조선 왕조가 휘청대기 시작했다는 점에서 거꾸로 붕당의 정치적 자정 기능을 짐작할 수 있다.
 
또한 종래에 학자들이 시데하라 아키라오타쿠아키라 등의 의견을 받아들여 당쟁으로 말미암아 무수히 많은 사람이 사약을 받아 죽었다고 주장해 왔으나 사실무근이다. 당쟁이 격심했던 이 시기는 [[1680년]](숙종 6년) [[경신대출척]]으로부터 [[1727년]](영조 3년) [[정미환국]]까지 50년 정도였으며, 이때 정치적 이유로 희생된 사람의 수는, [[이건창]]이 지은 《당의통략》에 따르면, 모두 79명으로 1년에 약 1.6명이다.
이는 서양에서 당파 사이의 대립이 격심했던 때에 비하면 매우 적은 수가 희생되었다.(서양의 경우는 민중 혁명이며, 조선의 당파와는 그 성격이 다르다는 점을 참고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프랑스혁명]] 당시인 [[1792년]] [[8월 10일]] 하루에만 무려 1천3백 명이 정치적 이유로 희생되었으며, [[파리 코뮌]] 기간, 흔히 “피의 주간”이라 불렸던 [[1871년]] [[5월 21일]]부터 28일까지 7일 동안 2만5천 명이 희생되었다. 러시아의 “피의 일요일”이라 불리는 [[1905년]] [[1월 22일]] 당일에는 150명이 사형에 처해졌다. 게다가 당쟁이 격심했던 그 시기에 가장 민생이 안정되었음을 볼 때 역설적이게도 당쟁이 있었기 때문에 백성이 살기 좋았다. 이는 오늘날 역사에 '견제와 균형만이 평화를 가져다준다'는 교훈을 일깨워준다. 이와 반대로 분열과 대립이 없는 정치는 독재정치거나 요순임금과 같은 지극히 이상적인 정치밖에 될 수없다는 것이다.